Analysis of an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 Received : 2014.01.01
  • Accepted : 2014.02.03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some measures to improve policy issues by analyzing policy related to a child care service program in the community. Gilbert and Terrell's social policy analysis framework is used to analyze an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urthermore, the Elementary Care Class(including the After-school Program),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referred to as public care services, are employed to analyze community care service programs for children. The Elementary Care Class,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application of the care service program for children, and mainly serve children in low-income groups. In addition, although user overlapping is an inevitable problem because the operating time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and After-school Program coincides with that of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it is structurally very hard to adjust the content of service, operating time, and so on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delivery system for each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unified delivery system to manage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s for children and create a new special control tower to solve these problems. Furtherm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services to children from general double-income family, which is a blind spot of the care service.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07).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 공계순.박현선.오승환.이상균.이현주 (2008). 아동복지론. 서울 : 학지사.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엄마품 온종일 돌봄교실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4. 김영란.황종임.박진영(2011). 맞벌이가구 자녀돌봄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네트워크 모델 개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 김홍원(2008). 방과후학교 법률안 및 시행령안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김홍원(2011).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초등학교 방과후 돌봄교실의 과제와 정책방향. 한국 방과후지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34.
  7. 남기민(2011).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학지사.
  8. 남기민.조명희.조영희.윤혜미.김영석 (2006). 충북복지론. 충북개발원.
  9. 닐 길버트.폴 테렐(2005). 남찬섭.유태균 역 (2007). 사회복지정책론-분석 틀과 선택의 차원. 서울 : 나눔의집.
  10. 박정호(2012).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학지사.
  11. 보건복지부(2011).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12. 서영숙.김진숙.김현자.서지영.서혜전. 신지현.신혜경.윤매자.이향란(2010). 방과후 아동지도. 서울 : 양서원.
  13. 서정아.조흥식(2010). 지역사회중심 아동 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 송혜림.조영희.정영금.고선강.김유경 (2010). 일-가정 양립을 위한 자녀돌봄 요구 및 정책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15. 송혜림.조영희.라휘문.김유경(2011). 조손 가정 지원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분석. 여성가족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6. 양계민.김승경.조영희(2010). 2011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양계민(2011). 방과후 돌봄서비스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여성정책연구원(2007). 2006 여성통계연보. 여성정책연구원.
  19. 오정수.정익중(2013). 아동복지론. 서울 : 학지사.
  20. 윤소영.정지영.김효은.이승미.조성은. 김명희(2007). 맞벌이 가족의 자녀방과후 돌봄 사업운영 모델 개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안건강가정지원센터.
  21. 이태수.정익중.김신열.박경수.이호균. 이경림.박주현(2008). 아동청소년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22. 이태수(2011). 방과후 돌봄서비스 연계 정책토론회. 여의도연구소.
  23. 장혜경.홍승아.김영란.김미숙.손석옥. 김용희(2009). 아동케어 실태 및 사각지대 해소방안. 여성정책연구원.
  24. 조영희(2012). 아동청소년 방과후 돌봄서비스 현황과 가족정책적 과제. 2012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9-157.
  25. 조영희.송혜림(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보육 및 학교 영역에서의 요구도와 정책.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65-84.
  26. 조혜영.김호순(2008).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모형 개발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지역아동정보센터(2011). 전국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지역아동정보센터.
  28. 통계청(2011). 2011년 맞벌이가구 및 경력단절여성 통계 집계 결과. 통계청.
  29.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2011a). 2013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평가편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30.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2011b). 2013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평가위원 워크숍 자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31.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2011c). 2013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실무자 업무메뉴얼.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32. 한인영.홍순혜.김혜란(2004).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 나남출판.
  33. 교육부. www.mo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