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erception on SW Education of Students with Scratch-Day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Kim, Soohwan (Chongsin University) ;
  • Han, Seonkwan (Dept. of Computer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4.09.01
  • Accepted : 2014.12.1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about junior SW education by giving the questionnaire to the participants in Scratch-day. We taught the creative computing to 558 juniors on Scratch-day in 2013, 2014 and research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ir perceptions of creative computing educa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W education from this process and extracted considerations about elementary SW education. We also propose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observed that students think that creative computing education is fun and useful, and want to apply it to the public school education. Also, male students think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s about an intention to use,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with Scratch education consider it more useful and positive intention to use than those who have no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model, it is found that the pleasure, easy of use, and usefulness of creative computing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 that it should be applied to public school education.

본 논문은 스크래치데이 행사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SW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3, 2014년에 실시된 스크래치 행사에 참여한 558명의 학생에게 창의컴퓨팅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을 통하여 우리나라 SW 교육의 인식을 파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창의컴퓨팅 교육을 재미있고,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의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전에 스크래치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용성, 사용의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창의컴퓨팅 교육의 재미, 용이성, 유용성이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교육이 초 중등 교육에서 필요하며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vol.19, pp.2,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87
  2.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Using the Unplugged Robot Education System on the Perceived Useful and Easy vol.20, pp.8,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5.20.8.121
  3.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을 활용한 정보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vol.19, pp.3,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3.271
  4. 자녀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의 구조방정식 모형 vol.20, pp.5,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5.443
  5. 의미분별법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 vol.21, pp.5,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27
  6. 초등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과 이해도 분석 vol.22, pp.1,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81
  7.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의도와 영향 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vol.18, pp.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215
  8.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vol.22, pp.3,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