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cological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

  • Cho, Kwonhyung (Dep. of Computer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Soohwan (Chongsin University) ;
  • Han, Sungwan (Dep. of Computer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조권형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수환 (총신대학교) ;
  • 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4.10.09
  • Accepted : 2014.12.08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that the ecological factor ha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then validated the difference related to current smartphone addiction with actual state of dysfunction. To substanti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6th graders at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67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district as the ec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we found that a smartphone addiction is not cased by the personal inclinations, but has to cooperate individual, home, school and societ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으로서 통학구역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역기능 실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통학구역은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비율이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를 선정하여 769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체계요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통학구역에 따라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역기능 실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통학구역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적인 성향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가정, 학교 및 사회가 협력해야 하는 문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안산지역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행동과의 상관성 vol.44, pp.7, 2015, https://doi.org/10.3746/jkfn.2015.44.7.1007
  2.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vol.16, pp.9,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180
  3.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vol.16, pp.3,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3.395
  4.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Korean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vol.12, pp.2, 2018, https://doi.org/10.1016/j.anr.2018.0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