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Remodeling in Rural Housing for Residential Environments Improvement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농촌주택 리모델링 성능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김혜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홍광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문호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3.11.05
  • Accepted : 2014.01.07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Living environments in rural area have become deteriorated rapidly.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decline in agricultural income, polarization of wealth in rural community due to rural returners have caused severe decline and imbalance of living environments in rural area. Responding to this circumstances, governments currently develop projects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s focusing on individual housing which were excluded from governmental supports because those had been regarded as private property.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some gaps and problems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and suggesting effective solutions. It would be because standards and guidelines of the projects have been based on urban housing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 index for evaluating and monitoring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s in rural area. By applying Delphi method, the index has been created in four categories of 'security', 'convenience', 'comfortability', and 'durability' 'Security' consists of structural safety, crime, disaster, accident prevention. 'Convenience' includes three divisions of living, traffic, farm working. 'Comfortability' is divided into sanitation, indoor environments, and aesthetic appreciation. Lastly, 'durability' has four divisions of energy conservation, environmental friendliness, efficiency, and economics. Each sub-division also has different items from three to twelves. In the case of an index for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have been derived from energy conservation(6-items),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7-items). Items develop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rural living environments in this research might be good background information for remodeling project in rural housing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농림축산식품부, 2012, 농촌마을리모델링 시범사업 설명회 참고자료.
  2. 농촌경제연구원, 2010, KREI 현장서베이 2호,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자료.
  3. 淺見泰司편, 2001, 박인석 외 역(2003), 주거환경, p.43.
  4. 오유진, 2008, 전면개발방식에 의한 뉴타운 사업구역 개발전과 후의 주거환경성능 비교 평가 연구, 명지대 석사.
  5. 유민수, 2007,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
  6. 방영민, 2009, 초고층 공동주택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지표, 아주대 석사.
  7. 박영신, 2011, 지속가능한 주거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조선대 박사.
  8. 국토개발연구원, 1998, 주거환경의 질적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p.27-28.
  9. 경기개발연구원, 1995, 경기도의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p.33-34.
  10. 장준기, 1993,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활성화 방안,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 8 No.1.
  11. 서형욱, 2007,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공단계에서의 사업수행 프로세스 구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27 No.1.
  12. 최준순, 2002,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다가구주택 건축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 p.11.
  13. 장준기, 1991,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 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p.80.
  14. 서형욱, 2007,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성능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 석사, p.10-12.
  15. 농림축산식품부, 2010, 농어촌서비스 기준.
  16. 김도경, 2013, 도시공원 디자인 평가지표 연구, 조선대 박사.
  17. 홍영록, 1999, 지방도시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쾌적환경 지표설정 및 적용모형 연구, 청주대 석논.
  18. 이창효, 2009, 서울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주택가격과의 정합성 분석, 국토계획, Vol. 44. No. 3.
  19. 변정수, 2010,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주거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아주대 석사.
  20. 윤용건, 2011, 도시환경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향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Vol.29 No.1.
  21. 명지대 산학협력단, 2006, 거주성능관리시스템, 지역특성화 연구개발사업 제1차년도 중간보고서, 건설교통부.
  22. 오병록 외, 2005, 대단위 주거지정비에 의한 주거환경 비교연구-재개발사업에 의한 물리적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3. 윤병훈, 2011, 서울시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 정비 예정구역의 주거환경평가, 서울시립대 석사.
  24. 강부성 외4역, 2003, 주거환경, 시공문화사, p.27.
  25. 강미나, 2012, 농촌지역 주거수준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 정책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pp.53-57.
  26. 권용현, 2008,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구대 박논, pp.18-26
  27. 신상영, 2008, 서울시 주거환경의 질 지표와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8, 22, 36.

Cited by

  1.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ural Housing Remodeling for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 For Rural Residents in Jeollanam-do - vol.16, pp.3, 2014, https://doi.org/10.14577/kirua.2014.16.3.27
  2.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and Rating system for Remodeling in Rural Community Facility vol.20,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4.233
  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농촌 주거환경 연구 동향 vol.26, pp.1, 2020, https://doi.org/10.7851/ksrp.2020.26.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