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Middle Aged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 적용

  • Received : 2013.12.02
  • Accepted : 2014.04.21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he capability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would need to be strengthened for leveraging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middle aged people. It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 smart learning model by utilizing the formative intervention based on the logic of change laboratory to target learners of 'K organization', As a results, smart learning model was composited several activities and supporting systems such as learning instructions of Smart Pad, communication games and SNS, using self-diagnosis and making posters and role-playing video by the internet application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hat it finds efficient method to fit design of smart learning and the needs of target learners by using them as testbed which is mixed with different background and digital communication experiences.

중장년층이 온라인상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협력적 지식구축과 문제해결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K 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변화실험실을 실시하여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의 세 가지 영역인 디지털미디어의 도구적 활용, 창의적 생산 활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구성요소로 개발되었다. 각각은 스마트 패드 사용법 익히기, 앱을 이용한 자기 진단, 앱을 이용한 포스터 제작, 역할극 동영상 제작, 의사소통 게임 및 SNS활용하기 등으로 적용되었다. 본 논문은 다양한 배경과 미디어 사용 경험을 가진 중장년층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반영하는 스마트 러닝의 설계방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V Zunker, Career Counseling:Applied concept of life planning, Pacific Grove, CA:Brooks/Cole, 2002.
  2. M. Prensky,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1," On the Horizon, Vol.9, No.5, pp. 1-6, 2001.
  3.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2호, pp. 198-225, 2012.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5. 진선미, 이정은,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를 위한 아이패드 활용 학습활동 설계 :변화실험실 방법에 기반하여", 한국콘텐츠학회 국제학술대회, 2013.
  6.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러닝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10).
  7. 장상필, 김지일, "중장년층 사무직 종사자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와 의사소통 능력의 종단 관계 연구", HRD연구, 제14권, 제4호, pp. 1-24, 2012.
  8. http://ec.europa.eu/culture/media/media-content/media-literacy/studies/eavi_study_assess_crit_media_lit_levels_europe_finrep.pdf
  9.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 150-187, 2011.
  10. P. Gilster, Digital Literacy, Wiley, 1997.
  11. E. Hargittai and G. Walejko, "The Parti-cipation divide:Content creation and sharing in the digital ag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1, No.2, pp. 239-256, 2008. https://doi.org/10.1080/13691180801946150
  12. P. Celot,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 General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Media Literacy Unit, Oct. 2009.
  13.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A plan foraction: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 The Aspen Institute, 2010.
  14. 이원태, 황용석, 이현주, 박남수, 오주현, 디지털컨버전스 환경에서 정보격차 해소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15. 김현진, 허희옥, 김은영, 스마트교육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2012.
  16. 김회수, "디지털 환경과 스마트러닝",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3-10, 2013.
  17. 임걸,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설계 모형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 33-45, 2011.
  18. 노규성, 주성환, 정진책, "스마트러닝 개념 및 구현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 79-88, 2011.
  19.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러닝의 교수.학습 도구로써 3D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 483-496, 2012.
  20. Y. Engestrom, J. Virkkunen, M. Helle, M. Pihlaja, and R. Poikela, "The change laboratory as a tool for transforming work," Life Long Learning in Europe, Vol.2, pp. 10-17, 1996.
  21. S. Barab and K. Squire, "Design based research:Putting as take in the ground,"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Vol.13, No.1, pp. 1-14, 2004.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301_1
  22. 이정은, 모바일 상황학습 설계:형성적 중재에 근거하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