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iability Improvement for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강의평가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방안 연구

  • Kwon, O-Young (School of Management, Dongyang Mirae University) ;
  • Park, Young-Tae (School of Design, Dongyang Mirae University) ;
  • Hwang, Il-Kyu (Department of Automation Systems, Dongyang Mirae University) ;
  • Ahn, Tae-Won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yang Mirae University) ;
  • Kim, Kyeong-Sook (Department of Biochemical Engineering, Dongyang Mirae University)
  • 권오영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
  • 박영태 (동양미래대학교 디자인학부) ;
  • 황일규 (동양미래대학교 자동화시스템과) ;
  • 안태원 (동양미래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 김경숙 (동양미래대학교 생명화공과)
  • Received : 2014.01.14
  • Accepted : 2014.03.03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ways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based on reformation of the system and design of user interfac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reformation of the system aspect, there are the improvements of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the feedback of course evaluation to the lecturers. In the design aspect, a computer screen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is redesigned to reflect the reformation of the system aspect issues. The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in the reliability improve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맹희. 박찬정(2003). 웹기반 수업에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1): 109-120.
  2. 김명화(2005).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아시아 교육연구, 6(3): 1-24.
  3. 김학일 외(2007).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10(4): 58-77.
  4. 류춘호. 이정호(2005).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9(1): 249-278.
  5. 백순근. 신효정(2008).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 분석. 교육평가연구, 21(2): 1-24.
  6. 오은주(2009). 강의평가 실태조사를 통한 강의평가 개선 방향 연구. 교육방법연구, 21(2): 1-20.
  7. 이강우. 신연순(2009). 공학인증: 교육목표와 학습성과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71-82.
  8. 이석열. 허영주(2010). 대학 강의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16(1): 287-309.
  9. 한경수. 최숙희. 박재철(2011). 강제적인 대학 강의평가의 문제점.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8(1): 35-45.
  10.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2005).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3(3): 379-403.
  11. 홍경선(2006). 대학교 강의평가에 나타난 일관적 응답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97-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