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 이혜숙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
  • 유미애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 이수경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14.02.13
  • Accepted : 2014.03.19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family members' burden and to describe factors influencing on famiCX*//8ly caregiver's burden when they are planned to transfer to general war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s (ICU).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of 101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t S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Korea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level of object burden i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level of consciousness, number of patients' monitoring devices, and tracheostomy tube. The level of subject burd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tients' gender, patients' education level, and relationship with patients. Transfer anxiety wa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 found transfer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family caregiver's objective burden with explanatory power 12.7%. Family members' subjective burden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patients' gender and transfer anxiety. These factors explained 23.8% out of total variance of family members' objective burden. The structured individualized method of transfer is recommended with further research of ICU families to further examine the dimension of transfer anxiety and how it affects family members' burden and patient outcomes.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 Egol, R. Fromm, and K. K. Guntupalli, "Guidelines for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discharge, and triage, "Critical Care Medicine, Vol.27, No.3, pp.633-638, 1999. https://doi.org/10.1097/00003246-199903000-00048
  2. 장연수, "중환자실의 입실과 퇴실 기준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91-304, 2001.
  3. B. A. Leith, "Patients'and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Heart & Lung: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Vol.28, No.3, pp.210-218, 1999. https://doi.org/10.1016/S0147-9563(99)70061-0
  4. W. Chaboyer, L. Thalib, K. Alcorn, and M, Foster,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3, No.6, pp.362-369, 2007. https://doi.org/10.1016/j.iccn.2007.04.005
  5. 김은실, 박정숙, 박청자,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5호, pp.654-664, 2002.
  6. M. Elliott,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critical care, Vol.19, No.3, pp.96-104, 2006. https://doi.org/10.1016/S1036-7314(06)80004-4
  7. M. A. Coyle,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17, No.3, pp.138-143, 2001. https://doi.org/10.1054/iccn.2001.1561
  8. V. Printz-Feddersen,"Group process effect on caregiver burden, "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Vol.22, No.3, pp.164-168, 1990. https://doi.org/10.1097/01376517-199006000-00006
  9. 강수진, 이희주, 최스미,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 제공자의 부담감 관련요인", 재활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27-37, 2002.
  10. M. Foster and W. Chaboyer, "Family carers of ICU survivors: a survey of the burden they experien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17, No.3, pp.205-214, 2003. https://doi.org/10.1046/j.1471-6712.2003.00230.x
  11.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67-484, 1993.
  12. 김영자, 이평숙,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과 우울반응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4호, pp.766-779, 1999.
  13. 김은숙, 김희순,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 재활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9-46, 2009.
  14. 김인자, "뇌졸중 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불안과 부담감의 예측요인:자기효능과 돌봄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10, 2012.
  15. 김귀분, 한경숙, 석소현, "중환자실 입원 노인 중증도별 주부양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 비교",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87-198, 2009.
  16. 오순학,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7. D. C. Van Pelt, R. Schulz, L. Chelluri, and M. R. Pinsky, "Patient-Specific, Time-Varying Predictors of Post-ICU Informal Caregiver Burden The Caregiver Outcomes After ICU Discharge Project, "CHEST Journal, Vol.137, No.1, pp.88-94, 2010. https://doi.org/10.1378/chest.09-0795
  18. I. M. Soderstrom, B. I. Saveman, M. S. Hagberg, and E. G. Benzein, "Family adaptation in relation to a family member's stayin ICU, "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5, No.5, pp.250-257, 2009. https://doi.org/10.1016/j.iccn.2009.06.006
  19. 김은성, 박영우, 김영애,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대처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3호, pp.123-134, 2007.
  20. 조경진, 전은미, "정보제공이 중환자실에 입원한 뇌졸중환자 가족의 불안 및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3-61, 2007.
  21. P. Johnson, W. Chaboyer, M. Foster, and R. der Vooren, "Caregivers of ICU patients discharged home: What burden do they fa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17, No.4, pp.219-227, 2001. https://doi.org/10.1054/iccn.2001.1577
  22. W. Chaboyer, "Intensive care and beyond improving the transitional experience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2, No.4, pp.187-193, 2006. https://doi.org/10.1016/j.iccn.2006.05.001
  23. C. D. Spielberger, R. Gorsuch, and R. Lushene, The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est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alo Alto, 1970.
  24. J. Kim and D. Sh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 New Med J, Vol.21, No.11, pp.69-75, 1978.
  25. R. J. Montgomery, J. G. Gonyea, and N. R. Hooyman,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 Family relations, Vol.34, No.1, pp.19-26, 1985. https://doi.org/10.2307/583753
  26. 이지원, 임선영,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요구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421-42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421
  27. 이영신, 서문자, "입원환자 가족원의 부담감에 대한 연구", 간호학 논문집, 제8권, 제1호, pp.17-32, 1994.
  28. 권희경, 중환자실 퇴실시 환자 가족의 전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9. M. L. Mitchell, and M. Courtney, "Reducing family members' anxiety and uncertainty in illness around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0, No.4, pp.223-231, 2004. https://doi.org/10.1016/j.iccn.2004.05.008
  30. 김귀현, 정보제공이 중환자실 퇴실 환자가족의 불안 및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뇌졸중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1. S. R. Ferrario, A. M. Zotti, S. Zaccaria, and C. F. Donner, "Caregiver strain associated with tracheostomy in chronic respiratory failure," CHEST Journal, Vol.119, No.5, pp.1498-1502, 2001. https://doi.org/10.1378/chest.119.5.1498
  32. M. M. Nelson, M. A. Smith, B. C. Martinson, A. Kind, and R. V. Luepker, "Declining patient functioning and caregiver burden/health: The Minnesota Stroke Survey-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udy, "The gerontologist, Vol.48, No.5, pp.573-583, 2008. https://doi.org/10.1093/geront/48.5.573
  33. R. Holicky, "Caring for the caregivers: The hidden victims of illness and disability, " Rehabilitation Nursing, Vol.21, No.5, pp.247-252, 1996. https://doi.org/10.1002/j.2048-7940.1996.tb00837.x
  34. W. Chaboyer, E. Kendall, M. Kendall, and M. Foster, "Transfer out of intensive car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patient and family perceptions, "Australian Critical Care, Vol.18, No.4, pp.138-145, 2005. https://doi.org/10.1016/S1036-7314(05)80026-8

Cited by

  1. Impact of Delirium on Clinical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n Observational Study in a Korean General Hospital vol.53, pp.6, 2014, https://doi.org/10.4306/jknpa.2014.53.6.418
  2.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Burnout Caring for a Family Member in an Intensive Care Unit vol.29, pp.5, 2017, https://doi.org/10.7475/kjan.2017.29.5.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