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s Based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Analysi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윤리적 소비행동에 따른 소비자 유형분류와 윤리적 소비동기 분석

  • Huh, Eunjeong (Department of Chil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o-S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Youngsan University)
  • 허은정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김우성 (영산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4.09.16
  • Accepted : 2014.11.13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It is important to comprehend motives related to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get the insight on why consumers are engaged i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onsumer types based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thical consumption motiv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classified consumer types.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n outside research compan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survey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1,000 adult consumer respondent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responses of respondents, using the items and scales found in Huh and Kim's (2012)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distinct consumer groups in term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Specifically, the four groups were 1) the 'medium-level practicing group' (34.6%) which carried out sub-area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n about the middle levels, 2) the 'high-level practicing group' (26.9%), 3) the 'low-level practicing group' (10.3%), and 4) 'the individual & transaction ethics practicing group' (28.2%) which performed relatively less social consumption behaviors but performed more individual or transaction-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moderation & simplicity and ethics in business transaction. Second, ethical consumption motives of consumers were classified as three types (a motive to overcome ethical burden, a social motive, and an individual motive).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motives, a social motive had the highest mean score and a motive to overcome ethical burden had the lowest mean score. Third, the analyses of the differences in ethical consumption motives among the 4 classified ethical consumer group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The high-level practicing group had the highest scores in all 3 ethical consumption motives and the medium-level practicing group had about middle scores in all 3 ethical consumption motives. The individual & transaction ethics practicing group had about middle score in a social motive but relatively low scores in the remained motives. Finally, the low-level practicing group had the lowest scores in all 3 ethical consumption motives.

윤리적 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윤리적 소비행동을 실천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왜 윤리적 소비행동을 하는가에 대해 통찰력을 얻기 위해서는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동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소비행동에 따른 소비자 유형 및 윤리적소비동기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소비자 집단 간에 윤리적 소비동기와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11월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성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윤리적 소비행동 항목들과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소비자들은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이 네 집단들은 윤리적 소비행동의 하위영역들을 중간수준으로 실천하는 집단(34.6%), 윤리적 소비행동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실천하는 집단(26.9%),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10.3%),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소비행동 수준은 낮은 반면에 절제와 간소, 상거래 윤리와 같은 개인적인 소비를 강조하는 개인 및 거래윤리 실천집단(28.2%)이다. 둘째,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 동기는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어려움, 불편함 등의 부담을 극복하고 윤리적 소비를 하는 동기(윤리적부담 극복 동기), 윤리적 소비를 통해 사회가 더 좋아지는데 기여하는 동기(사회적 동기), 개인적 동기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사회적 동기의 평균값이 가장 높고 윤리적 부담 극복 동기의 평균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집단 간 윤리적 소비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높은 수준 실천집단은 3가지 윤리적 소비동기 점수가 가장 높았고 중간 수준 실천집단은 3가지 소비동기 점수가 중간수준이었다. 개인 및 거래윤리 실천집단은 사회적 동기 점수는 중간수준이었으나 나머지 동기의 점수는 낮은 반면, 낮은 수준 실천집단은 3가지 소비동기 점수 모두가 가장 낮았다. 넷째, 소비자 집단 간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높은 수준 실천집단과 중간수준 실천집단은 둘 다 기혼, 대졸이상의 교육수준, 전문사무직 및 주부의 직업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에 개인 및 거래윤리 실천집단과 낮은 수준 실천집단은 둘 다 20대 연령층, 고졸이하의 교육수준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울산대학교

References

  1. 고애란(2009). 국내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 특성과 앞으로의 전망. 패션정보와 기술, 6, 54-62.
  2. 김선우(2013). 한국, 미국, 스웨덴 소비자의 이타적 책무감과 윤리적 기업제품 구매성향 비교. 소비자정책교육연구, 9(4), 29-53.
  3. 김송이, 박명숙(2011). 기혼여성의 윤리적 제품의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4(4), 95-117.
  4. 박소진, 유소이(2007). 건강동기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유기농 식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비문화연구, 10(4), 107-126.
  5. 서선영(2010). 한국 Eco-Mom(환경친화적 주부)의 정체성과 그린생활 의미 분석. 소비문화연구, 13(3), 123-139.
  6. 송인숙(2005). 소비윤리의 내용과 차원정립을 위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6(2), 37-55.
  7. 송인숙, 제미경(2006). 기혼 여성의 물질주의 성향과 비윤리적상거래행동. 소비문화연구, 9(3), 185-206.
  8. 엠비씨뉴스(MBC News). 세상을 바꾸는 윤리적 소비-착한 소비자 늘어난다. 2014년 3월 31일자.
  9. 제미경, Robert O. Weagley(2007). 한국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의 상거래 소비자 비윤리와 영향요인 비교 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3(2), 83-99.
  10. 차태훈, 하지영(2010). 공정무역 제품구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13(1), 1-20.
  11. 천경희, 홍연금, 윤명애, 송인숙(2010). 착한소비 윤리적 소비. 시그마프레스.
  12. 허은정(2011).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의도의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2(2), 89-111.
  13. 허은정, 김우성(2012).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과 관련 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3(4), 105-130.
  14. 홍연금, 송인숙(2008). 친환경농산물 소비자의 구매동기 분석을 통한 윤리적 소비행동 사례 연구. 소비문화연구, 11(3), 23-42.
  15. 홍연금, 송인숙(2010). 우리나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연구. 소비문화연구, 13(2), 1-25.
  16. 홍은실, 신효연(2010). 대학생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와 관련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131-149.
  17. 홍은실, 신효연(2011). 대학생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0(4), 801-817.
  18. Bennett, Peter D. (1995). Dictionary of Marketing Terms(2nd Edition), Chicago, IL: NTC Business Books.
  19. Freestone, Oliver M. and Peter J. McGoldrick(2008). Motivation of the Ethical Consumer. Journal of Business Ethics, 79, 445-467. https://doi.org/10.1007/s10551-007-9409-1
  20. Honkanen Pirjo, Bas Verplanken, and Svein O. Olsen(2006). Ethical Values and Motives driving Organic Food Choice.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5(5), 420-430. https://doi.org/10.1002/cb.190
  21. Kim, Gwang S., Jang G. Song, and Seung A. Lee (2009). The Effect of Fair Trade on Consumer Behavior: In Terms of Ethical Consumerism. 경영학연구, 38(1), 295-315.
  22. Koh, Ae R. and Ji Y. Noh(2009).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56-1964. https://doi.org/10.5850/JKSCT.2009.33.12.1956
  23. Lockie, Stewart, Kristern Lyons, Geoffrey Lawrence, and Kerry Mummery(2002). Eating 'Green': Motivations Behind Organic Food Consumption in Australia. Sociologia Ruralis, 42(1), 23-39. https://doi.org/10.1111/1467-9523.00200
  24. Loureiro, Maria and Justus Lotade(2005). Do Fair Trade and Eco-Labels in Coffee Wake Up the Consumer Science? Ecological Economics, 53, 129-138.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4.11.002
  25. McEachern, M. G. and P. McClean(2002). Organic Purchasing Motivations and Attitudes: Are They Ethic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2), 85-92. https://doi.org/10.1046/j.1470-6431.2002.00199.x
  26. Michaelidou, Nina and Louise M. Hassan(2008). The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Food Safety Concern and Ethical Identi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 Organic Foo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2(2), 163-170. https://doi.org/10.1111/j.1470-6431.2007.00619.x
  27. Pelsmacker, Patrick, Wim Janssens, Ellen Sterckx, and Caroline Mielants(2006). Fair-Trade Beliefs, Attitudes and Buying Behavior of Belgian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Nonprofit Voluntary Marking, 11(1), 125-138. https://doi.org/10.1002/nvsm.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