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Decision Mak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enior Students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결정요인

  • Cho, Kyuhyu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yung, Chyul-Young (Depart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Workforce Development /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규형 (서울대학교) ;
  • 정철영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3.27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ed variables and predictability of employment decision making determinant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enior student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HGLM) method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systematic differences of student-leve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chool-level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employment decision making.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105,320 senior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2013 record. The research carried out a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considering gender, ratio of school location and students' major. Through this process, 640 students from 32 different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ampl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decision making in employ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eni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hools. Second, only considering school-level variables, employment supports from school, level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work experience opportunities offered by school, whether the school was located in city area, and whether the school wa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ll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mployment decision making of students. Third, at student-level, purpose of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supports form family,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who graduated a vocational high school, job-seeking efficacy, long-term part-time experience al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decision making of students. Fourth, Career supports from family and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who graduated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ystematically different across schools on the employment decision making.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student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career supports from family and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after graduating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almost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Purpose of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al aspirations, and job-seeking efficac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choice of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ross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들이 취업결정 여부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특성화고 3학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32개 특성화고에서 6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20일부터 2013년 11월 15일까지 우편 및 e-mail을 통해 이루어졌다. 학생특성과 학교 특성변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일반화 회귀분석(HGLM)을 활용하였으며, 총 622부의 유효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취업결정에 대해 학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 변인 중에서 가정의 진로지원과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자의 사회적 대우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생들은 취업을 결정하는 경향이 높았다. 특성화고등학교 입학 동기가 취업이 아닌 학생의 경우, 학교에서 지속적인 취업지도를 실시하더라도 졸업할 때까지 취업을 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이 학교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은 취업을 택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구직효능감은 학교에 따른 차이 없이 취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특성 중에서는 학교의 취업지원 및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운영 시 학생참여비율이 높고, 학교가 수도권 지역 및 도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학생들이 취업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안준기. (2010). 대졸자의 실업경험의 낙인효과. 한국경제연구, 28(2), 201-231.
  2. 강순희, 이상준. (2009). 진로지도가 전공 선택, 고용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4), 1-18.
  3. 강유진, 문재우, (2005).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 가족배경요인과 가족관계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청소년연구, 16(1), 283-316.
  4. 곽민호. (2012).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진로지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각연도). 교육통계연보. 서울: 저자.
  6.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2012).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선취업 후진학 및 열린 고용 강화 방안. 서울: 저자.
  7. 김강호. (2009).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활동이 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8(4), 183-200.
  8. 김경근, 변수용. (2006).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4), 1-27.
  9. 김기석. (2008). 한국고등교육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10. 김동규. (2012). 특성화고 선택의 자발성이 고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 연구, 31(3), 25-42.
  11. 김민선, 서영석. (2010). 자기효능감.개인배경.맥락적 변인이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1(2), 67-96.
  12.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 (2000). 학교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14. 김성남, 최수정. (2012). 전문대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진학.전공 결정에 관한 분석. 직업교육연구, 31(2), 339-356.
  15. 김정숙, 황여정. (2007).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0(3), 1-23.
  16. 김재흥. (2004). 제주도 실업계 고등학교의 진로지도 실태 분석.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창배. (2006). 대학생활의 복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나승일, 마상진. (2005). 실업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을 판별하는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4), 61-80.
  19. 남기곤, 윤진호, 이시균. (2010). 대학 재학 중 활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경제발전연구, 16(1), 143-172.
  20. 노경란, 허선주. (2012). 특성화고 졸업 청년층의 취업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5(2), 25-49.
  21. 류경희. (2003).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41(12), 147-168.
  22. 박성규. (2007).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성미. (2004).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태에 따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6(1), 11-20.
  24. 박태준. (2008). 직업교육 기피 해소를 위한 중등직업교육 국제 비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박환보. (2012). 고등교육 보편화 이후 대졸자의 취업 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서인석, 황홍익.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8(3), 159-180.
  27. 신익현. (2001).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 추진 지원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8. 신희경, 김우영. (2005).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 동기에 관한 연구 :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직업능력개발연구, 8(2), 47-83.
  29. 안재영, 이병욱. (2012). 현장 실습 요인이 특성화 고교생의 취업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27-47.
  30. 오석영, 임언, 진미석, 이강주, 임정만. (2012). 특성화고 진로이력 분석연구 2012.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31. 오창환, 정철영. (2009).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의 대학원 진학 선택 결정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4), 199-218.
  32. 오헌석, 배진현, 이상은, 장현진. (2010).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직업교육연구, 29(2), 245-265.
  33. 이건남, 정철영. (2005). 일반계 고등학생과 실업계 고등학생의 가정 및 학교생활과 진로선택 및 진로의식의 비교연구. 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573-610.
  34. 이민경. (2001).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상희. (2012).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눙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3(3), 1461-1479.
  36. 이지혜, 정철영. (2010).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25-47.
  37. 이종성, 정향진. (2004).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8. 장명희, 김종우, 최동선, 박철우, 나승일, 이영호. (2012). 고졸 취업 및 후진학 활성화 정책 성과 분석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9. 장원섭. (2001). 중고등학생의 시간제 취업 경험의 의미. 직업교육연구, 20(2), 95-108.
  40. 장현진, 이지혜. (2012).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5(2), 51-74.
  41. 정철영. (2001).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직업교육의 방향. 직업교육연구, 20(1), 93-115.
  42. 지민정. (2000).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 분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채창균. (2009). 전문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 선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4. 최근집. (1998).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전북: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동선, 최수정, 이건남. (201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I : 지적도구활용 영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6. 최동선, 정원호, 박동열, 이종범. (2011).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요인 분석.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47. 최동선, 허영준, 윤여인. (2012). 특성화고 취업률 조사 및 관리방식 개선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8. 허은정 학습조직으로서의 . (2011). 학교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9-53.
  49. Brown, S. D., & Lent, R. W. (1996). 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4(4), 354-366.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6.tb00451.x
  50. Crites, J. O. (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Washington, DC: American Personnel and Guidance Association.
  51. Haveman, R., & Wolfe, B. (1995). The determinants of children's attainment.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3(4), 1829-1878.
  52. Kim, Ki-Seok & Park, Hwanbo. (2010). "A historical sociology of tertiary education for all in Korea". In Lazin, F., Jayaram N. and Evans, M. (eds.), Higher Education and Equality of Opportunity: Cross-National Perspectives. MD: Lexington Books.
  53. Kostelecky, K. L., & Lempers, J. D. (1998). Stress, Family Social Support, Distress, and Well‐Being in High School Senior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7(2), 125-145. https://doi.org/10.1177/1077727X980272002
  54.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55. Metheny, J., McWhirter, E. H., & O'Neil, M. E. (2008). Development measuring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ts influence on adolescent career.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2), 218-237. https://doi.org/10.1177/1069072707313198
  56. Osipow, S. H. (1999). Assessing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 147-154. https://doi.org/10.1006/jvbe.1999.1704
  57. Raudenbush, S.W. & Bryk, A.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Second Edi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58. Raudenbush, S. W. (Ed.). (2004). HLM 6: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59. Super, D. E. (198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ur, 16(3), 282-298. https://doi.org/10.1016/0001-8791(80)90056-1
  60. Walsh, W. B., & Osipow, S. H. (Eds.). (1995).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sychology Press.
  61. Wanberg, C, R., Watt J. D., & Rumsey, D. J. (1996). Individual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76-87. https://doi.org/10.1037/0021-9010.8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