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Accessibility of Library Mobile Applications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장보성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개발과) ;
  • 남영준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4.01.15
  • Accepted : 2014.02.07
  • Published : 2014.05.30

Abstrac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accessibi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libraries based on the accessibility guideline from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this current research covers both the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accessibility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research found four main results. First, we found that only 21 libraries (31%) provide alternative texts. Out of the 21 libraries, only one provide alternative texts across all sections of the mobile applications, including the main page, data search, information assistance, etc. Second, most of the mobile applications provide contents in texts, and the subtitles, sign language, blinking and background music provided as required or recommended standard by the guideline lack correlation. Third, alternative texts, focus movement, accessibility of operating system, button motion control, spacing between control and alarm functions must follow the standard guidelin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the mobile applications. Fourth, follow-up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ccessibility standard for library mobile appli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freely use the library mobile applications.

본 연구에서는 안전행정부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기반으로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교차로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체 텍스트 제공은 21개 도서관(31%)만이 제공하고 있으며, 메인화면, 자료검색, 정보안내 등 모든 영역에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1개관뿐이다. 둘째,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위주의 콘텐츠가 대부분이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지침에서 권고 또는 준수 기준으로 제시하는 자막, 수화 등의 제공, 깜박거림의 사용제한, 배경음 사용금지 등은 연관성이 떨어졌다. 셋째, 장애인 이용자가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대체 텍스트 제공, 초첨 이동, 운영체계 접근성 기능 지원, 누르기 동작 지원, 컨트롤 간 충분한 간격 유지, 알림 기능은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넷째, 장애인들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기준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중억. 2011.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75-101.(Gu, Jung Eok. 2011. "Analysis and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of Mobil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75-10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075
  2. 안전행정부. 201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고시 2011-38호). 서울: 안전행정부.(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1. Mobile Applications Accessibility Guidelines. Seoul: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3. 이성일. 2011. 모바일 접근성 지침의 내용과 의의. TTA jounal, 137: 47-51.(Lee, Seong Il. 2011. "Content and significance of Mobile accessibility guidelines." TTA jounal, 137: 47-51.)
  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Android) 접근성 점검 매뉴얼(v1.0).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Mobile applications (Android) Check the manual accessibility(1.0).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5. 한은정. 2012. 국내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분석: 시각장애인 접근성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Han, Eun Jeong. 2012. Accessibility analysis of Korean smart phone banking application: focused on the accessibility for the visual impairments. Thesis, Hongik University.)
  6. 현준호, 김석일. 2011. 아이핀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의 평가결과와 개선방법. 보조공학저널, 5(1): 18-36.(Hyun, Joon Ho and Kim, Seok Il. 2011.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I-PIN Application Accessibilities." Jouranl of Assistive Technology, 5(1): 18-36.)
  7. 디지털타임스. [online] [cited 2013. 12. 11.] (DIGITALTIMES. [online] [cited 2013. 12. 11.] )
  8. 한국정보화진흥원. [online] [cited 2013. 12. 1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online] [cited 2013. 12. 11.] )
  9. Accessibility Programming Guide for IOS. [online] [cited 2013. 12. 11.]
  10. Android Designing for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13. 12. 11.]
  11. Apple. [online] [cited 2013. 11. 11.]
  12. Brian Cragun and David Todd. 2013. "How do Mobile Apps Measure Up to Accessibility Standards." [online] [cited 2013. 11. 11.]
  13. RINB. [online] [cited 2013. 11. 11.]
  14. Web Standard Darum.
  15. W3C. [online] [cited 2013.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