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 of Needing Dentur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행태가 의치필요와의 관련성

  • 정유연 (충북대학교 약물학교실) ;
  • 박효정 (대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4.04.16
  • Accepted : 2014.06.10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for promotion elderly people's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upon the appearance of dentur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utilizing health questionnaire survey and oral examination survey for first year(2010) law data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419 people who were aged over 65 and completed the oral examination and oral questionnaire surve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eed of denture was indicated highly in the male elderly. Factors of having relationship with a need of denture in oral health condition were indicated to be chewing difficulty(p<0.001) and dental caries(p<0.0001). The case of not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high in a need of denture(p<0.001). Also, a case of not dental treatment was indicated to be high in a need of denture(p<0.001). Through these related findings, the elderly's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indicated to have high relationship with a need of denture. There is a need of securing basic data for promoting the elderly's oral health in the future and of seeking a plane for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lderly's health in the aging society.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securing and seeking elderly's health program which is considered the aging society's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elderly's health promotion.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의치필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2010)원시자료'의 건강설문조사와 구강검진을 활용하여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필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목표 모집단을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며, 65세 이상 노인표본 1,419명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의치필요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과 교차비 확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중 씹기 불편(p<0.001)과 말하기 불편(p<0.001)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치아우식증 유병률(p<0.001)이 있는 노인에서 의치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 필요도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과 치과치료를 받지 않는 노인에서 의치필요도가(p<0.001)매우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노인의 주관적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의치필요도가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결과의 바탕으로 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 보존될 수 있도록 활발한 구강보건교육 및 전문가 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2. 강현경, "부산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 치위생과학회지, 제6권, 제3호, pp.219-225, 2006.
  3. 심수현, 김진수, "일부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2호, pp.71-77, 2010.
  4. 한정란, "중.고등학생들의노인에 대한 태도", 미래교육원, 제23권, 제4호, pp.181-194, 2003.
  5. 노은미, 백종옥,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4호, pp.233-239, 2010.
  6. 임현주, 이은경,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 노인의 현존 자연치아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3권, 제4호, pp.693-700, 2013.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693
  7. 정정옥, "시술장소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의치 보철 실태 조사연구", 한국 치위생과학회지, 제7권, 제3호, pp.113-119, 2007.
  8. C. McGrath, R. Bedi, and M. S. Gilthorp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views of the puplic in the United kingdim," Community Dent Health, Vol.17, No.1, pp.3-7, 2000.
  9. V. Deschamps, "Nutrition status ofhealthy elderly persons living in Dordongne, France and relation with mortality and cognitive or functional decline," Eur J clin Nutr, Vol.56, No.4, pp.305-312, 2002. https://doi.org/10.1038/sj.ejcn.1601311
  10. 이현숙, 장문성, "가족형태에 따른 여자 노인의 영양소 섭취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28권, 제4호, pp.934-941, 1999.
  11. D. R. Herman, "Self-rated health and its relationship to functional status and well-being in a group of elderly Guatemalan subjects Asia pacific," J Vlin Nutr, Vol.10, No.3, pp.176-182, 2001.
  12. 원영순, 김지현, 김수경, "서울 일부 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4호, pp.375-380, 2009.
  13. 김남희, 김현덕, 한동현, 진보형, 백대일, "서울지역 노인 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 증상과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41-150, 2006.
  14. F. L. Marjorie and H. Clayton, "Interaction and adaptation: Intimacy as a critical variabl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3, No.1, pp.20-30, 1968 https://doi.org/10.2307/2092237
  15. A. W. Russell, R. S. Susan, and L. Mark, "Subjective network assess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J of Gerntol, Vol.39, No.1, pp.93-101, 1984. https://doi.org/10.1093/geronj/39.1.93
  16. 조은별, 구강기능향상운동이 노인의 구강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보건학과 보건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7. D. Kushnir, S. P. Zusman, and P. G. Robinson,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 Public Health Dent, Vol.64, No.2, pp.71-75, 2004. https://doi.org/10.1111/j.1752-7325.2004.tb02730.x
  18. B. J. Baum, J. A. Ship, and A. Wu, "Salivary gland function and aging: a model for studying the interaction of aging and systemic disease," Crit Rev Oral Bio Med, Vol.4, No.1, pp.53-64, 1992. https://doi.org/10.1177/10454411920040010401
  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연구, 2000.
  20. M. T. John, G. D. Slade, A. Szentpetery, and J. M. Setz,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treated with fixed, removable, and complete dentures 1 month and 6 to 12 months after treatment," Int J prosthodont, Vol.17, No.5, pp.503-511, 2004.
  21. J. Smith and A. Sheiham, "How dental conditions handicap the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7, No.6, pp.305-310, 197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79.tb01238.x
  22. 장종화, 백성희, 김애정, 정세환, 김옥수, 김숙향,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0권, 제4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