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 이영애 (수지구청 직장어린이집) ;
  • 부성숙 (경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2.25
  • Accepted : 2014.04.07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One hundred and fifty fiv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Suwon-si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 and career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Second, the family-teacher communication level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Third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family-teacher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보고, 두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기회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마련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및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은 36세 이상 나이 많은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았고, 경력과 학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보육교사의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년제 대졸 이상 교사의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2, 3년제 대졸 교사 보다 높았고,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C. Algyris, "Exploration in interpersonal competence," J.of Applied Behavior Science, Vol.1, No.3, pp.58-83, 1995.
  2. 이현숙, 김종경,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제16권, 제4호, pp.488-496, 2010.
  3.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4. K. Basaran, "Listening: An Importa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 for Leadership,"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ross-cultural perspectives, Presentations given at the Open Forum, University of Oulu, 2002. Retrieved September 21, 2012, http://herkules.oulu.fi/isbn9514268539/
  5. S. Fritz, F. W. Brown, J. P. Lunde, and E. A. Banset, Interpersonal skill for readership, NJ: Printice Hall, 1999.
  6. J. Burton and L. Burton, Interpersonal skills for travel and tourism, Essex: Addison Wesley Longman Ltd., 1997.
  7. M. Osborn and S. Osborn, Public speak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94.
  8. R. Bolton, People skills: How to assert yourself, listen to the others and resolve conflicts, Prentice-Hall, Inc., 1986.
  9. J. Brownell, "Listening questionnaire," In C. G. Coakley, and A. D. Wolvin (Eds.), Experiential listening: Tools for teachers and trainers. New Orleans, Spectra Inc., 1989.
  10. 박은혜,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010.
  11. J. Bryan,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 Professional School Counselling, Vol.8, pp.219-227, 2005.
  12. J. M. Minke and K. J. Anderson, "Familly-school collaboration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J.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Vol.7, No.3, pp.181-185, 2005. https://doi.org/10.1177/10983007050070030701
  13. 위수정,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4. M. T. Owen, A. M. Ware, and B. Barfoot,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5, No.3, pp.413-428, 2000.
  15. 배인자, 위수경,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영유아교육연구, 제7권, pp.25-47, 2004.
  16. 이은해, 최혜영, 박주희,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관점의 평가",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241-259, 2003.
  17. 위수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른 어머니-교사 의사소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8. 안선희, "어머니의 보육지식과 어머니-교사의 사소통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2호, pp.1-12, 2010.
  19. 김사녀, 부성숙,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11-524,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11
  20. 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3권, 제6호, pp.5-25, 2009.
  21. S. Gibson and M. H. Dembo, "Teachers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pp.569-582, 1984.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22.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제33권, 제5호, pp.71-89, 2012. https://doi.org/10.5723/KJCS.2012.33.5.71
  23. 노은숙, 부성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3집, 제4호, pp.113-135, 2012.
  24. 배주영,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5. 이상엽, 조직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차이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최지현,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조직몰입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99-3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28. M. Arnold, Effective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child care, NY: Tomson Delmar Learning., 2005.
  29. 최일선, 조운주, 유아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10.
  30. 김은영, 의료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수술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1. 박선하, 병원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2. 임숙빈, 김은경, "프리셉터 간호사의 대인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조사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471-480, 2008.
  33. 이재완,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37권, pp.127-149, 2003.
  34. 이성희, 박영신,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31-50, 2007.
  35.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91-2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36. http://www.naeyc.org/academy/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