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and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4.01
  • Accepted : 2014.06.12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41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province.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er relationship, dysfunctional family an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all of the subvariables except for conflict, distrust and university of adaptation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of significance, conflict resolution, problem parents, recognition and attention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e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isfit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various policy establishm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권, pp.248-259, 2013.
  2. P. J, Lustman., C. J, Sowa, and K. J, O'Hara,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 health: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distress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p.28-35, 1984. https://doi.org/10.1037/0022-0167.31.1.28
  3. 김은정,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연세상담연구", 제8권, pp.85-114, 1992.
  4. 권석만, 인생의 2막 대학생활, 학지사, 2010.
  5. H. Gerdes and B. Mallinckrodt, "Emotional,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of reten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2, pp.281-288, 1994.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4.tb00935.x
  6. 송정애, 장정순,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1호, pp.119-144, 2010.
  7. R. W. Barker and B. Siryk,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manual,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8. 조명희, 박수선,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학생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pp.88-95, 1999.
  9. 백지숙,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45권, pp.127-137, 2000.
  10. 강유진, 문제우,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가족요인의 영향; 가족 배경요인과 가족관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1호, pp.283-315, 2005.
  11.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 제10권, 제2호, pp.1-25, 2011.
  12. 장성화, 구승신, 이주연,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67-83, 2013.
  13. 하정희, 정은선, 송수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1권, 제4권, pp.1375-1392, 2010.
  14. A. J, Fuligni and J. S. Eccle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sand early adolescents' orientation toward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9, No.4, pp.622-632, 1993. https://doi.org/10.1037/0012-1649.29.4.622
  15. 양혜선,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이사라, 박성연, "부모의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아동학회지, 제22권, 제4호, pp.17-32, 2001.
  17. Y. B. Li, A. D. Lynch, C. Kalvin, J. J. Liu, and R. M. Lerner, "Peer relationships as a context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engagement durin gearly adolesc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35, No.4, pp.329-342, 2011. https://doi.org/10.1177/0165025411402578
  18. K. H. Rubin, K. M. Dwyer, C. Booth-LaForce, A. H. Kim, K. B. Burgess, and L. Rose-Krasnor, "Attachment, friendship,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4, No.4, pp.326-356, 2004. https://doi.org/10.1177/0272431604268530
  19. 보건복지부, 국제이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보고서, 보건복지부.
  20. 박준성, 안헤정, 정태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연구, 제21권,제1호, pp.51-60, 2013.
  21. 조수진,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2. 김지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3. 박유하, 대학생의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의 대학생활적응도와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4. 한혜준, 이화자, "분리개별화와 가족응집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pp.187-194, 1994.
  25. 김미선, 청소년 전환기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긍정.부정 정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6. 장성화, 진석언,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의 인과적 구조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25-50, 2010.
  27. W. M. Bukowski, A. F. Newcomb, and B. Hoza, "Friendship conceptions among early adolescents: A longitudinal study of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7, pp.143-152, 1987. https://doi.org/10.1177/0272431687072002
  28. J. G. Parker and S. R. Asher, "Peer relations and social adjustment: are friendship and group acceptance distinct domauns?" In W. M. Bukowski(Chair), Properties, process, and effects of friendship relation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Sympoium conducted at the bir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cevelopment, kansas city. Mo, 1989.
  29. 이현정, "아동이 지각한 교우관계의 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우논총, 제12권, pp.191-220, 1994.
  30. 김기형,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가족관계, 교우관계, 학교적응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1. 김홍규, 상담심리학, 형설출판사, 2003.
  32. 민동일, 양정미,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의 역기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제22권, 제2호, pp.45-66.
  33.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p.179-189, 1984.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Cited by

  1. Hypothetical Research Model and Program Design for Improving Transfer Student's Learning vol.30, pp.3, 2018, https://doi.org/10.13000/JFMSE.2018.06.30.3.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