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ereotyp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ontents of Fashion and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a Method to Form Network

패션을 콘텐츠로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유형화와 네트워크 형성 방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프로세스

  • Im, Min-Jung (Dept. of Fashion Design & Branding Pyeongtaek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임민정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12.07
  • Accepted : 2014.02.11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as a method to develop designs. Fashion design process was system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element and method of network form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design processes using SNS were suggested through survey study. This was done by applying formation of network and its method in SNS with contents of fashion to stage of process to develop fashion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5 stages. Second, SNS types with contents of fashion were classified to five types: blog, community, connection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and fashion SNS game. Among them, types wher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nd product distribution was done by formation of network are connected type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type. Fashion design development can be done by compiling, having contests, and cooperative work.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making assessments and decision is voting and predicting the market. Third,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the stages such as planning, compiling, analysis, decision, implementation, and formation of network. It was analyzed that by connecting stages of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users, new contents were produced and there was a structure that was cycled continuously.

Keywords

References

  1. S. Ogawa & F. Piller (2006), Reducing the Risks of New product development,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7, pp. 65-72.
  2. Frank T. Piller, "Open Innovation with Customers: Crowdsourcing and Co-Creation at Threadless", 자료검색일 2011. 5. 31, http://ssrn.com/abstract=1688018, p. 2.
  3. 은명진 (2004),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형 의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인터넷 쇼핑 환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4. 이호정 (1999), 패션디자인, 서울: 교학연구사, p. 140.
  5. 김이영 (1999), CR(Cosumer Response)을 위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프로세스제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전경호, 나영주 (2006), 섬유.패션스트림간 신속대응을 위한 상품기획 프로그램개발, 한국콘텐츠학회, 6(10), pp. 163-173.
  7. 한태임, 조규화 (2010),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전략적 특성과 패션경향연구, 패션비즈니스, 14(5), pp. 21-34.
  8. 장성환 (2010), 패션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패션 머천다이징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의류학회, 34(1), pp. 175-188. https://doi.org/10.5850/JKSCT.2010.34.1.175
  9. 강죽형, 성윤영 (2010), 정보기술 발전에 따른 패션산업프로세스 혁신과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ZARA의 패스트패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4(1), pp. 1-13.
  10. 이지원 (2002), 대량 맞춤화형, 나염 의류상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진아 (2003), 대량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제품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모형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 석사학위논문.
  12. 박진아, 이주현 (2005), 대량 맟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제품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 29(7), pp. 897-908.
  13. 은명진, 이주현 (2006), 대량 맞춤형 의류상품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모형연구, 제 1보: 인터넷 쇼핑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0(2), pp. 187-197.
  14. 김세미 (2011), Digital Textile Printing(DTP)을 이용한 맞춤 주문형 의류의 대량 생산 프로세스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나령, 이승희, 오나영 (2007), 창조적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1(2), pp. 129-144.
  16. 김윤경, 박혜원 (2010),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디자인 전개프로세스연구, 복식, 60(9), pp. 95-105.
  17. 김지언 (2007) 3D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7(2), pp. 45-58.
  18. 한성지, 김이영 (2007), 패션디자인, 서울: 교학연구사, p. 254.
  19. 장성환 (2003), 패션업체의 조직구조와 패션 머천다이징 프로세스,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지언 (2007) 3D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7(2), pp. 64-70.
  21. 한혜원, 심세라 (2010), 소셜 게임의 사용자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2), p. 138.
  22.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1), p. 216.
  23. 홍선영 (2009), 제품혁신의 숨겨진 원동력 집단지성, SERI 경영노트: 삼성경제연구소, 41, pp. 1-10.
  24. 채승병 외 (2010), 가치창출을 위한 새로운 원천, 집단지성,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778, pp. 1-20.
  25. 정정호 (2011),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자인 사고 중심의 창조적 가치창출: 기업의 집단지성활용방안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96(24), pp. 285-296.
  26. 정정호 (2011),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자인 사고중심의 창조적 가치창출: 기업의 집단지성활용방안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96(24), p. 291
  27. "소셜네트워크게임", 자료검색일 2012. 5. 31,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C%85%9C_%EB%84%A4%ED%8A%B8%EC%9B%8C%ED%81%AC_%EA%B2%8C%EC%9E%84
  28. 석영희 (2007),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통한 정보생산의 사회적 의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29. 석영희 (2007),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통한 정보생산의 사회적 의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2.
  30. "디지털네이티브", 자료검색일 2012. 5. 31. http://ko.wikipedia.org/wiki/%EB%94%94%EC%A7%80%ED%84%B8_%EB%84%A4%EC%9D%B4%ED%8B%B0%EB%B8%8C

Cited by

  1. Analysis on the Contents of Digital-related Studies in the Field of Costume vol.66, pp.6,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6.135
  2.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애슬레저 룩의 디자인 특성 연구 vol.45, pp.1,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21.4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