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ccess and Failure Case Analysis of Crowdfunding : Focused on Community Art Project

크라우드펀딩의 성공·실패 사례분석 :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3.31
  • Accepted : 2014.07.08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implications for and analysis a CrowdFunding cases in order to activate domestic Community Art. First,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of CrowdFunding platform, search for Community Art' projects were selected examples of success and failure. As a result, differences in sample were compared in five items of Confidence & Information & Communication & Content & Benefit aspect etc,. Additional total analysis result, Genre and Period,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Promotion occurred, as well as the need to develop new goods and services compensation was raised.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is to be a practical implication to Community Art of difficult to create its own fundraising. On the other hand, we suspect the environment of the domestic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Community Art is insufficient, and so must be concurrent also study the framework of analysis and systematic evaluation to complement these par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의 활성화를 위한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 사례분석과 이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문화예술 영역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검색하여 성공 및 실패 사례들을 선정하였으며, 이후에는 신뢰 & 정보 & 소통 & 콘텐츠 & 보상 측면을 포함한 총 5가지 항목에서 각 사례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이를 종합 분석한 결과, 장르와 기간, 보상과 홍보 측면에서 비교적 분명한 차이점이 발생하였고 아울러 후원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보상 물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본 연구는 자체적인 재원조성이 어려운 커뮤니티 아트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커뮤니티 아트의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부족한 국내 여건 상, 향후에는 이러한 부분들을 보완할 체계적인 평가 및 분석틀의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커뮤니티 아트 진흥 방안 연구, 2007.
  2. 용호성, "문화정책 맥락에서의 커뮤니티 아트", 미술세계, special feature, 제3권, 제12호, pp.89-93, 2012.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4. 오지은, 커뮤니티 아트의 사례 분석과 지역에서의 발전 방안,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 이민규, 류상일, 이석표, 강형기,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방안: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130-14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130
  6. 박구원, 김흥식, "커뮤니티 문화타운의 관광사업적 특성과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 파주 출판문화 단지와 헤이리아트밸리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제3권, 제2호, pp.71-95, 2007.
  7. Valley and Vale Community Arts, 2013, http://www.valleyandvalecommunityarts.co.uk/about/what-is-community-arts/
  8. 오세형, 커뮤니티 아트의 유형과 사례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9. 김세준, "신화 또는 현실 : 정책, 예술가, 커뮤니티", 서울시 창작공간 국제심포지엄, 2012.
  10. 용호성, "문화정책 맥락에서 본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과제 : 신화 또는 현실-정책, 예술가, 커뮤니티", 서울시 창작공간 국제심포지엄, pp.113-138, 2012.
  1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2009.
  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시범사업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p.53, 2011.
  13. 변미리, 신경희, 백선혜, "지역공동체성 강화를 통한 소통과 통합전략",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SR-07, 2010.
  14. 박신의,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분석과 정책적 함의", 문화정책논총, 제27권, 제1호, pp.57-75, 2013.
  15. K. McCarthy, E. Ondaatje, L. Zakaras, and A. Brokkes, "Gifts of the Muse; Reframing the Debate about the Benefits of the Arts," RAND Institute, p.4, 2004.
  16. 라도삼, 마을문화만들기 사례와 전략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DI 정책리포트, 2012.
  17. 심보선, 강윤주, 전수환, "문화사회학적 견지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경영의 시론적 고찰:시민성, 지역성, 예술성 개념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제8권, pp.39-82, 2010.
  18. W. Alaka, Rebecca Severson, and Mario Longoni, The informal arts: finding cohesion, capacity, and other cultural benefits in unexpected places, THE CHICAGO CENTER FOR ARTS POLICY AT COLUMBIA COLLEGE, 2002.
  1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주도의 일자리 창출전략, p.22, 2011.
  20. 김태연, "영국 사례를 통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개념 정립과 정책적 시사점", 공간과 사회, 제23권, 제1호, pp.73-103, 2013.
  21. 이상엽, 정건섭,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5권, 제2호, pp.221-252, 2011.
  22. 박승배,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정보디자인학연구, 제20호, pp.111-120, 2013.
  23. Elizabeth M. Gerber, Julie S. Hui, and Pei-Yi Kuo), Crowdfunding: Why People Are Motivated to Post and Fund Projects on Crowdfunding Platforms, Julie Hui-PhD Student in The Creative Action Lab, 2011.
  24. 한국금융연구원, 영국의 크라우드펀딩 창업 활성화 및 전망, 주간 금융브리프, 제22권, 제15호, 2013.
  25. http://www.kickstarter.com
  26. 윤민섭,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Crowdfunding에 관한 법적 연구", 기업법연구, 제26권, 제2호, pp.185-226, 2012.
  27. 옥정원, 이종호, 박희화, "비영리단체의 자선충동 동기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348-36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348
  28. 김수진, 재능기부를 통한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9. http://www.smallknot.com
  30. 황수현, "공공미술의 실태, 또 벽화마을이냐... 다양한 장르 많은데 벽칠 '일색'", 한국일보 2014.01.25.
  31. 김상현,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품질이 펀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신뢰도와 만족도를 매개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2. 삼성경제연구소, 사람을 이어주는 투자 크라우드펀딩, SERI 경영노트, 제155호, 2012.
  33. 박인정,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 펀딩의 가능성:문화나눔 포털과 텀블벅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제6권, 제1호, pp.131-156, 2013.
  34. 신은주, 이영선,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제14권, 제2호, pp.177-207, 2012.
  35. 진승현, "크라우드펀딩과 영화영상미디어 콘텐츠 제작과의 관계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펀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1-91, 2013.

Cited by

  1. Dynamic Strategies on Firm Production and Platform Advertisement in Crowdfunding considering Investor’s Perception vol.2018, pp.1607-887X, 2018, https://doi.org/10.1155/2018/3726080
  2. Acceptance Factors of Appropriate Technology: Case of Water Purification Systems in Binh Dinh, Vietnam vol.10, pp.7, 2018, https://doi.org/10.3390/su10072255
  3. Crowdfunding as an Alternative Means for Funding Sustainable Appropriate Technology: Acceptance Determinants of Backers vol.10, pp.5, 2018, https://doi.org/10.3390/su1005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