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4.18
  • Accepted : 2014.06.16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239 Korean college student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April 20 to May 30, 2013.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14.38(SD=9.81) and 27.6% of the subjects were depression risk group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job-seeking stress (${\beta}$=0.31, p<.001) and adult attachment (${\beta}$=0.32, p<.001)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fter adjusting for gender, grade, living arrangement, satisfaction for major.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4% of depression (F=12.20, p<.001). Therefore,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job-seeking stress and to control attachment-related anxiety, avoidance as a way to regulate depress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와 전라도 소재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평균 14.38점(SD=9.81)으로 우울 위험수준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2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거주유형, 전공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취업스트레스(${\beta}$=0.31 p<.001)와 성인애착(${\beta}$=0.32, p<.001)이 대학생의 우울의 약 3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20, p<.001). 그러므로 대학생이 직면한 취업스트레스와 성인애착관련 불안과 회피수준을 조절하여 안정된 애착 패턴을 갖도록 도와주는 간호중재가 대학생의 우울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3.
  2. 나희진, 무용전공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417-435, 2009.
  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 국민건강통계, 2013.
  5. 전해옥,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우울과 생활스트레스의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148-2155,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5.2148
  6. 이용길, 강경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결정효능감 분석: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60-67, 2011.
  7. J. Battl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s, Vol.42, pp.745-746, 1978. https://doi.org/10.2466/pr0.1978.42.3.745
  8. 강석화, 나동석,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49-71, 2013.
  9. 정경아, 김봉환,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89-104, 2010.
  10. 강수진, 최영희,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양식과 사회불안을 매개변인으로", 인간발달연구, 제18권, 제3호, pp.53-68, 2011.
  11. 이지연, 임성문,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969-984, 2006.
  12. M. B. Sperling and W. H. Berman, Attachment in Adults: Clin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p.360, 1994.
  13. 김종운, 이명희,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 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506-516, 2014.
  14. 김은정, 권정혜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성인기 애착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7권, 제1호, pp.139-153, 1998.
  15. D. R. Lehman, J. H. Ellard, and C. B. Wortman, "Social Support for the Bereaved: Recipients 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What is Helpfu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4, pp.438-446, 1986. https://doi.org/10.1037/0022-006X.54.4.438
  16. M. R. Leary, Self-presentation: Impression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Behavior, Madison, WI: Brown & Benchmark, 1996.
  17. 박재연, 김정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21권, 제1호, pp.167-189, 2014.
  18. 김민경,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8권, 제2호, pp.101-129, 2011.
  19. 윤명숙, 이효선,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09-137, 2012.
  20. 양경미, "남.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 강박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연구, 제21권 제1호, pp.1-11, 2013.
  21. 강정규, 전상남, 신학진, "일부 대학생의 자기완벽성, 우울, 절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0호, pp.527-536, 2013.
  22. 김은주 ; 최경원, "대학생의 우울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31-239, 2012.
  23. 서인균, 김승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복지, 제14권, pp.81-99, 2012.
  24. 심지은, 안하얀, 김지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제32권, 제1호, pp.103-118, 2011.
  25. 진미경,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문제 및 이성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85-300, 2013.
  26. 최연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성인애착, 관계중독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상담학 연구, 제13권, 제2호, pp.689-704, 2012.
  27.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8. 김혜정, 강유리,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무용학회지, 제8권, 제2호, pp.57-64, 2008.
  29. R. C. Fraley, N. G. Waller, and K. A. Brennan, "An Item-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pp.350-365,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8.2.350
  30.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1. I. A. McCormick, "A Simple Version of the Rathus Assertiveness Schedule," Behavioral Assessment, Vol.7, pp.95-99, 1984.
  32. 조영, 자기표현성, 진로결정수준, 교내.외 활동 참여 정도가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3.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4. 조맹제, 김계희, "주요 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2권, pp.381-399, 1993.
  35. 신동우, 유계숙,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 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3-22, 2012.
  36. 박은혁, 이응택,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4호, pp.5-30, 2013.
  37. 김병직, 오경자,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반추와 정서 억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3호, pp.357-375, 2009.
  38. 진미경,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및 이성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85-300, 2013.
  39. 김현남, "무용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69-83, 2011.
  40. M. Paeezy, M. Shahraray, and B. Abdi,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Assertivenes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Iranian Female Secondary Studen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5, pp.1447-1450, 2010.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7.305
  41. T. T. Larijani, M. Aghajani, A. Baheiraei, and N. S. Neiestanak, "Relation of Assertiveness and Anxiety among Irani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No.17, pp.893-899, 2010. https://doi.org/10.1111/j.1365-2850.2010.01607.x
  42. 박미정, 최지혜, 이은영, 박미영,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46-35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46
  43. S. Schieman, K. Gundy, and J. Taylor,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Depressive Symptom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ory and Suppression Influence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4, No.2, pp.260-285, 2002. https://doi.org/10.1177/089826430201400205
  44. http://www.jobkorea.co.kr/
  45. 염영란, 최금봉,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04-113, 2013.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04
  46. 석정민, 손정락,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이 몰두형 애착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4호, pp.627-642, 2013.

Cited by

  1.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mong Some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vol.13, pp.10,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367
  2.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Focused on Acculturative Stress, Academic Stress and Career Stress vol.16, pp.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063
  3.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Depression vol.22, pp.1,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14
  4. Dysfunctional attitud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vol.25, pp.6, 2016, https://doi.org/10.1111/inm.1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