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care Staff

보육교직원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 박진옥 (동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서혜전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4.04.15
  • Accepted : 2014.08.16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South Korea has strengthened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childcare teachers while amending the Infant Care Act in January 2005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Since then, there was a change in the legal basis related to childcare staff such as introduc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name change, strengthene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directors and teachers, training system maintenance and repair, strengthened credit standards of teachers' care related qualification courses, and maintenance provisions of continuing education nursery teacher qualifications. And that is because childcare staff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a very important variable who has direct influence on infants.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describes the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hildcare staff. This study covers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relevant historical flow was reviewed and the concepts of the role, expertise, and legal status of childcare staff were investigated. Second, staff training institutions, emissions certification, employment, and the status of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ir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training system, eligibility criteria, continuing education and its training system, and treatment improvement were proposed.

우리나라는 양적으로 확대된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해 2005년 1월 영유아보육법을 개정하면서 보육교사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였다. 이후 원장의 국가자격증 도입, 명칭 변경, 원장과 보육교사 자격기준 강화와 보수교육 체계 정비, 보육교사 자격취득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기준 강화, 2012년에는 보수교육 보육교사자격검정 등 업무위탁관련 조항을 정비하는 등 보육교직원 관련 법적 근거의 변화가 있었다. 이는 보육교직원이 보육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과 관련된 법적 근거 규정이 계속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문헌조사와 분석을 통해 보육교직원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서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측면을 다루고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관련 역사적 흐름을 리뷰하고 보육교직원의 개념과 역할, 전문성, 법적지위를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양성기관, 자격체계, 재직 보육교직원, 처우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이 모든 것을 토대로 양성체계, 자격기준, 보수교육과 훈련체계, 처우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5(1), 71-88.
  2. 교육부(2012). 2012 교육통계연보.
  3. 구혜란(2003). 전문직 자율성의 사회경제적 토대. 한국사회학, 37(2), 231-248.
  4. 권혜진(2013).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육교사 자질에 대한 시설장의 소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51-178.
  5. 권혜진, 김지현, 신혜원, 이강이, 이완정, 임지영(2014).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방안.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1-76.
  6.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육아정책연구소. 수탁보고 2009-05.
  7. 김은설, 황미영(2011). 보육교직원의 효율적 보수교육 추진체계 구축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04.
  8. 김은주(2009). 초등교직의 전문직 성립요건과 전문직 위상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61-287.
  9. 김의향(2013). 보육교직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격관리와 처우개선 방안.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 김정신(2011). 보육교사교육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21(1), 1-19.
  11. 김지현, 임지영(2014). 소주제2. 외국의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9-57.
  12. 김현숙(2008). 보육료 지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재정학연구, 1(2), 1-103.
  13. 문영경, 민하영, 박진옥, 이미정, 이주연, 황옥경(2014). 영유아교사 자격체계 방안.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77-136.
  14. 법제처(2011). 영유아보육법.
  15. 법제처(2013). 영유아보육법.
  16. 법제처(2014). 평생교육법.
  17.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2012). 2012년 보육통계.
  18.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2013). 2013년 보육통계.
  19. 보건복지부(2012). 2012년 보육실태조사.
  20. 보건복지부(2014). 2014년도 보육사업안내.
  21.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2013). 보육교직원 자격기준 변경사항 안내.
  22. 서문희, 김혜진(2012).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24.
  23. 서문희, 이미화, 구미진(2006). 어린이집 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24. 서문희, 이혜민(2013).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28.
  25. 서문희, 최혜선(2010). 2010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0-12.
  26. 서영숙(2012). 보육수요 급증과 보육교사의 선행과제. 무상보육의 실효성 및 쟁점 분석.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 서영숙, 서혜전, 김영명, 채혜선, 김진숙(2013). 보육학개론. 양서원.
  28. 서영숙, 서혜전, 박진옥, 노성향(2012). 돌봄강사의 자격 표준화 및 신분보장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12-21.
  29. 서영숙, 서혜전, 정영희, 안소영, 양영아, 이종현, 남미선(2012). 보육과정. 공동체.
  30. 심영회, 성소영(2013).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아동교육, 22(2), 121-138.
  31. 양옥승(2002). 유치원 교사 양성체계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131-153.
  32.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형주(2008). 유아교사론. 정민사.
  33. 유희정, 이미화, 민현주(2009). 2009년도 전국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여성정책연구원.
  34. 유희정, 이미화, 장명림, 김은설, 김은영, 송선영(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일원화체제를 위한 협력과 통합 방안. 육아정책개발센터.
  35. 윤재석(2013).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재정지표와 보육교사 급여성 보조금 및 직무만족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윤현숙(2010). 한국과 프랑스의 보육교사 양성체계 및 역할 비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경선(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이미정(2013). 유보통합: 교사의 통합플랜과 과제.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5-127.
  39. 이미정, 강란혜(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40. 이미화(2006).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양성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육아정책포럼, 3호
  41. 이미화, 여종일, 엄지원(2012). 2013-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19.
  42. 이상철(2012). 교육전문직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과제. 지방교육경영, 16(2), 22-46.
  43. 이정환(1993).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44. 이화도, 원수현(2007). 프랑스 유아교사 및 영유아 보육교사 양성 체계연구. 유아교육연구, 27(5), 33-63.
  45. 조정신, 황성원(2004). 프랑스의 영.유아 보육체제가 한국의 보육정책에 주는 시사점. 한국영유아보육학, 36, 45-72.
  46. 조희연(2011). 저출산과 프랑스 영유아교육.보육 협력 사례 연구. 여성연구, 81, 237-269.
  47. 지성애(2005). 영유아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8-168.
  48. 최윤경, 김재원(2011). 보육교직원 보수체계 개선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05.
  49. 최은영, 김정숙, 송신영(2013). 2013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29.
  50. 한국보육진흥원(2010). 보육교사를 위한 표준보수교육과정.
  51. 한국보육진흥원(2013). 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 지도.
  52. 한국보육진흥원(http://www.kcpi.or.kr) 출력일 2013년 10월 1일.
  53. 한유미, 오연주, 권정윤, 강기숙, 백석인(2005). 스웨덴의 아동보육제도. 서울 : 학지사.
  54. 허혜경, 박인숙(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1-41.
  55. 인터넷자료(http://gajokstory.com) 출력일 2014년 5월 30일.
  56. 인터넷자료((http://www.moe.gow.sg) 출력일 2014년 6월 3일.
  57. Barbour, N., & Lash, M. (2009).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Feeney, S., Galper, A., & Seefeldt, C. (Eds.),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58. European commission (2010).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n Norway. (http://sweden.se/society/education-in-sweden) 출력일 2014년 6월 3일.
  59. Katz, L. G. (1988). Where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profession?. In Spodek, D. B., Saracho, O. N. & Peters, D. L.(eds.). Professionals and family life. C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0. Ritzer, G. (1987). Working: Conflict and chang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nc.
  61. Saracho, O. N., & Spodek, D. B. (2003). The preparation of teachers for the profes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aracho, O. N., & Spodek, D. B. (eds.), Studyi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Greenwich, CT : Information Age Publishing.
  62. Spodek, D. B., Saracho, O. N. & Davis, M. D. (1987).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Cited by

  1. Legal Status Analysi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vol.21, pp.5, 2014, https://doi.org/10.24159/joec.2015.21.5.203
  2. 시계열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수급 전망 vol.12,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123
  3. Job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wareness 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of Preschool Teachers via DACUM Method vol.8, pp.1, 2014, https://doi.org/10.30528/jolss.2018.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