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08.16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demand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lectures. In order to verify this purpose, it was applied to 228 pre-service teachers in a 3-year early childhood teacher - training department. There were 3 grades which finish the teacher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y repor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teaching skills they acquired in their preliminary program helped them in making class leading plans and leading skills for every activity pattern. Second, pre-service teacher wanted hands on practical activity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in the field.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이연승, 유희정(2009).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유아교육연구, 29(6), 301-319.
  2. 교육부(2012). 유치원 및 초등.중동, 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12-27호.
  3. 김기예, 박은주(2012).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87-508.
  4. 김낙흥(2008). 유아교사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2), 195-212.
  5. 김다영, 황은희, 이경옥(201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 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유아교육연구, 32(6), 287-305.
  6. 김선구, 이대균(2010). 교수 및 동료 예비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한 '유아과학교육' 교과목 수강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5-61.
  7. 김영숙((2008). 예비초등영어 교사를 위한 반성적 모의 수업 모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24(2), 159-181.
  8. 김영실, 임양금, 최인숙, 안진경(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21-136.
  9. 김정주(2006). 과학영역 운영에 관한 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지영(2002).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의 변화: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5(4), 133-151.
  11. 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69-597.
  12. 김현진(2008).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4), 169-187.
  13. 남소현(2006).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은혜(2002).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 유아교육연구, 22(1), 105-124.
  15. 박은혜, 김소혜(1999). 유아교육기관에서 교과내용의 성격과 전문성. 대한어린이 교육협회 제6차 연구발표회자료, pp.54-95. 11월 20일. 서울 : 한국어린이육영회.
  16. 배지희(2005). 예비유아교사의 관점에 본 실제 교수활동 중심의 유아과학교사교육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25-146.
  17. 보건복지부(2011).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12 제1항.
  18. 서지원(2007).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성원경, 이춘자(2010).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전공수업의 특징 및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6(1), 55-78.
  20. 송연숙(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태도 증진을 위한 포트폴리오 수업 효과 및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55-174.
  21. 유승연(2000).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수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 증진과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163-184.
  22. 이대균, 김선구(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23. 이연섭, 이석순, 박은미, 이명순, 손혜숙(2004). 유아교육실습. 서울 : 양서원.
  24. 이은진(2010).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강좌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임경희(2006). 예비교사의 성격, 학습양식, 수업선호 및 지향하는 수업양식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19(1), 81-104.
  26. 조덕주(2011).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적용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39-167.
  27. 조부경, 김정화(2005). 유아교육실습: 이론과 실제의 통합. 서울 : 학지사.
  28. 조부경, 백성혜, 이은진(2005). 물에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것에 대한 탐색 활동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59-85.
  29. 황해익, 송연숙, 조영기(2004).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4), 129-150.
  30. BBecher, R. M., & Abe, W. (1982). The relationship of field placement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potential field performance abilities to clinical experiences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2), 24-30.
  31. Bryan, L. A., & Aell, S. K. (1999). Reconceptualising the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using a reflection orient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8, 153-166.
  32. Henderson, L. W., Basile, K. C., & Henry, G. T. (1999). Prekindergarten longitudinal study: 1997-1998 school year annual report. Atlanta : Georgia State University Applied Research Center.
  33. Korthagein, F. A. J.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34. Lundsteen, C. T. (1997). Reflections on the process and product of a unit constructed by a pre-service cla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8(2), 12-23. https://doi.org/10.1080/1090102970180203
  35. Ozgun-Koca, S. A., & Sen, A. I. (2006). The beliefs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subject-area dominant teacher education program about effective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7), 946-960. https://doi.org/10.1016/j.tate.2006.04.036
  36. Plonczak, I. (2008). Science for all: Empow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Citizenship and Social Justice, 3, 167-181. https://doi.org/10.1177/1746197908090081
  37. Van Aalderen-Smeets, S. I., Walma van der Molern, J. H., & Asma, L. J. F. (2012). Primary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 new theoretical framework. Science Education, 96(1), 158-182. https://doi.org/10.1002/sce.20467
  38. Weiss, I. R. (1987). Report on the 1985-1986 national survey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riangle Park, North Carolina :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Evaluation, Research Triangle Institute.
  39. Yayli, D. (2009). Reflection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a listening skill course in an ELT department.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 1820-1824. https://doi.org/10.1016/j.sbspro.2009.0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