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수추출 시간에 따른 대구육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d Stock by Hot Water Extraction Time

  • 김동석 (서원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 신경은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 이욱 (영남사이버대학교 호텔외식창업경영학과) ;
  • 배금광
  • Kim, Dong-Seok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Arts, Seowon University) ;
  • Shin, Kyung-Eun (Dept. of Culinary Science &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Lee, Wook (Dept. of Hotel Food Service Planning Management, Youngnam Cyber University) ;
  • Bae, Gum-Kwang (Dept. of Hospitality Management, University of Missouri)
  • 투고 : 2013.10.18
  • 심사 : 2014.03.10
  • 발행 : 2014.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뼈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방식으로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었다. 제조한 육수의 이화학적 검사(수분함량, pH, 염도, 당도, 무기질), 관능검사(묘사분석, 기호도 검사)를 통해 열수추출방식을 이용한 대구육수 제조의 표준 제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 증가 시 유의적(p<0.001)으로 낮아졌으며, 색도는 이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30분 가열시료인 CS1이 가장 낮았고, CS5가 가장 높았다. 염도와 당도는 육수의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은 137.87~154.17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g와 Fe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 Mg, Fe의 함량은 가열시간이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K, Ca은 비례적인 변화가 없었다. 대구육수의 관능검사 중 묘사분석 결과, 육수색의 강도, 투명도, 비린 냄새와 구수한 냄새, 짠맛, 감칠맛은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이며 강하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시원한 맛은 CS4가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대구육수의 기호도 검사결과 중 외관, 향, 맛, 뒷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CS4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가열시간 증가 시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제조 시 양파, 셀러리, 무, 바지락, 물, 대구뼈 등 모든 재료를 넣고 끓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60분을 가열하였을 때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은 높으며, 기호도는 상승된 우수한 대구육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make stock using cod bones with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Moisture content, chromaticity, pH, salinity, sugar content, mineral contents, quantitative analysis, and overall acceptance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standard formu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p < 0.001) and color value increased as heating time increased. The pH was highest in CS5 which was heated for 30 minutes and lowest in CS1. The salinity and sugar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ore heating time (p < 0.001). In terms of mineral contents, sodium was highest in 138.87~154.17 mg, magnesium and iron showed proportion difference with increased heating time. The mineral analysis test result revealed that sodium, magnesium and iron showed proportional difference with increased heating time, while potassium and calcium did not change.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est showed transparency, fishy smell, delicate flavor, savory flavor, salt taste and umami taste became stronger as high-pressure heating time increased. From these result, CS4 was evaluated to be the best in appearance, flavor, taste, aftertest and overall acceptance. Also, 60 minute high-pressure heating time is the most desirable to produce stock using cod bones as a main ingredi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훈 (2005). 붕어곰탕의 적정조리 조건 및 붕어요리 레시피 개발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1.
  2.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 96, 344.
  3. 김동석 (2007). 갈색육수와 데미글라스 소스 제조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 37-38.
  4. 김용식 (2003). 쇠고기와 닭고기의 배합비에 따른 Consomme의 관능적 및 이화학적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7.
  5. 민경찬, 이영남, 김현오, 김관우, 이애랑, 황금희, 이정실, 김애정, 김미옥, 박명수 (2007). 기초영양학. 광문각. 서울. p144-145.
  6. 박태균 (2005). 음식과 건강.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서울. p 119-120.
  7. 배금광 (2007). 대게를 이용한 소스개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3-9.
  8. 서정숙․서광희․이승교․최미숙 (1996). 최신 고급 영양학. 지구문화사, 서울. pp 273-335.
  9. 이남수 (2006). 식품소비의 트랜드와 수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 월간해양수산 265호. 서울. p 26-42.
  10. 유수현 (2013). 가열시간과 허브 첨가량에 따른 홍합육수의 품질특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45.
  11. 윤학봉 (2013). 토마토 첨가량을 달리한 대구육수의 품질특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2.
  12. 정영도 (2000). 식품조리재료학. 지구문화사. 서울. p 359.
  13. 조리교재발간위원회 (2002). 조리체계론. 서울. p 123-136.
  14. 최성은 (1999). 닭머리 soup base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이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3-10.
  15. Bea GK, Byun GI, Choi S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Crab and Red-Crab Stock Prepared by High Pressure Extract Metho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4):294-304.
  16. Kang TG, Choi SK, Yoon HH (200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Fish Stock Additions of White Win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213-224.
  17. Kim HR, Lee JH, Kim YS, Kim KM (2007).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83-288.
  18. Kim JS, Cho YJ, Lee NG (2006). 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J Korean Fish Soc 18(2):150-163.
  19. Kim MS (2006). The Effect on the Nutritional Value of Beef Leg and Rib Bone Soup by Boiling Time. Korean J Food Culture 21(2):161-165.
  20. Kim JS, Cho YJ, Lee NG (2006a). 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Jour Fish Mar Sci Edu 18(2):150-163.
  21. Kim JS, Cho YJ, Lee NG (2006b). Reports and Statistics on Korean Spicy Fish Soup Cooking in Busan. Jour Fish Mar Sci Edu. 18(2):164-171.
  22. Kim SK, Choi YI, Park PS, Choi JH, Moon SH (2000). Screening of Biofunctional Peptides from Cod Processing Wast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225-227.
  23. Kim SK, Jeon YJ, Lee BJ, Lee CK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latin from the Bone of Cod, Gadus marcrocephalus. Korea J Life Science 6:14-26.
  24. Kim YS, Choi IS, Koo SJ (2001).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for Korean Cold Noodle Stock.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589-597.
  25. Kim YS, Jang MS (2003). The Study of Acceptan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Consomme by Boiling Tim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3):271-279.
  26. Lee HR, Lee JM, Na SM (2003). Development and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of Naengmyun Broth using Edible by-products of Chicken. Korean J Food Culture 18(6): 584-591.
  27. Lee KH, Lee KI, Lee YN, Park HH. (2002).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637-643.
  28. Suh JS․Choi MW․Jun SS․Jang MW (2000). Physiological Effects and Utilization of Corbicula elatior Products -Effect of Cockle Extracts on Carcinogen-induced Cytotoxicity and Immune Response Related to its Antitumor Activity-. Korean J Food Nutr 29(2):235-240.
  29. Song CR, Choi SK. (2009).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s according to the main ingredi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25-31.
  30. You SH, Shin KE, Choi SK, Seo YW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sel Stock with Different Heating Time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3):209-217.
  31. Willan A (2004). The Good Cook. Stewart, Tabori & Chang. New York. pp 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