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 Youn, Jeong-Mi (Urban Environmental Design Lab., Changjo Architects) ;
  • Choi, Mack Joo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정미 (창조건축 도시환경디자인연구소) ;
  • 최막중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14.06.10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In terms of quality of life, leisure and health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with increasing incomes and decreasing working hours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emphasizing that parks, river banks, and physical activity sites can provide opportunities such as walking, jogging, stretching, and cycling, free of charge to all residents. Based on 2010 sample survey data on leisure activities, multiple regression model as well as hierarchical linear model are estimated, taking account of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demand and environmental/areal factors on supply side, including open space. Major findings include: first, urban open space significantly increases residents' outdoor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effect is more significant for the elderly and third, the effect is more valid for those with relatively low incomes and less edu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urban open space could be available as a local public good to cope with population aging and to realize health city and social welfare, since this space is not only a leisure place but also public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중시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강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특히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가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와 공급요인 중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수요측면의 개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공급측면의 환경적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분석자료는 개인의 거주지역 정보가 행정동의 근린수준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2010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함께 위계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백수경, 박경훈(2014)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3): 1-12. https://doi.org/10.9715/KILA.2014.42.3.001
  2.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 Coombes, E., A. P. Jones and M. Hillsdon(2010)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to objectively measured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use. Social Science & Medicine 70: 816-822.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9.11.020
  4. Fuzhong, L., P. A. Harmer, B. J. Cardinal, M. Bosworth, A. Acock, D. Johnson-Shelton and J. M. Moore(2008) Built environment, adiposity,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aged 50-75.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1): 38-46. https://doi.org/10.1016/j.amepre.2008.03.021
  5. Hong, S. H. and S. H. Kim(1997)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by the type of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trai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5(4): 253-267. 홍성희, 김성희(1997) 노인의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53-267.
  6. Huh, J. S.(2002) Determinant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urban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2): 227-247.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227-247.
  7. Jeon, Y. C.(1997)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rban parks through to leisure lifestyles and behavior of user: Focused on Seoul Grand Park. Journal of Tourism Development 6(1): 217-246. 전영철(1997) 도시공원이용자의 여가활동과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서울대공원을 중심으로. 관광개발논총 6(1): 217-246.
  8. Kim, E. J. and M. K. Kang(2011)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7(3): 27-42. 김은정, 강민규(2011)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7(3): 27-42.
  9. Kim, J. W.(2006) A study on the time of the elderly in Korea: Analysis their use of time upon work, family and leisur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149-178. 김진욱(2006)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8.
  10. Kim, S. Y. and M. S. Park(2000) A study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8(1): 67-84. 김성연, 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11. Lee, G. O.(1994) Analysis and political issues of the elderly living stat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이가옥(1994) 노인생활 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Lee, H. Y. and S. C. No(2013) Theory of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Moonwoo. 이희연, 노승철(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서울: 문우사
  13. Lee, K. H.(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3(7): 3237-3243. 이경환(2012)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7): 3237-3243. https://doi.org/10.5762/KAIS.2012.13.7.3237
  14. Lee, K. H. and K. H. Ahn(2008)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105-118. 이경환, 안건혁(2008) 근린환경이지역주민의건강에미치는영향: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2(6): 105-118.
  15. Lee, K. Y., H. G. Joh, O. S. Kim, Y. S. Lee, S. M. Lee, D. S. Hong, H. S. Joh, Y. K. Kim, S. Y. Kim and S. I. Jeong(2006) Allocation of time between work and leisure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3): 131-148. 이기영, 조희금, 김외숙, 이연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소영, 정수인(2006) 고령화사회 농촌노인의 노동과 여가의 시간배분. 한국가 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31-148.
  16. Lee, S. S.(2011) A study on the time usage of the retired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2): 311-325. 이신숙(2011)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2): 311-325. https://doi.org/10.5934/KJHE.2011.20.2.311
  17. Lee, Y. J. and S. H. Jeong(2004) An analysis of the effect variables of the leisure time consump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4(4): 1-19. 이윤정, 정순희(2004) 노인의 여가시간 소비의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학 연구 14(4): 1-19.
  18. Moon, C. H.(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1): 97-119. 문창현(2001)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 97-119.
  19. Park, M. S. and Y. R. Lee(2003) A study on the leisure tim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1): 37-48. 박미석, 이유리(2003) 한국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20. Park, J. C.(2010)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isure Activity in the Aging Society. Ph. 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박종천(2010) 고령화사회 노인여가활동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Romsa, G. and W. Hofman(1980) An application of nonparticipation data in recreation research: testing the opportunity theory.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321-328.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58
  22. Seong. H. G.(2011) A study on the impacts of residential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on personal health indicators: Focused on the planning elemen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235-251. 성현곤(2011) 주거지 근린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의계획요소를중심으로. 국토계획46(3): 235-251.
  23. Yang, J. J.(2007) Status and evaluation of the elderly-used leisure park: The case of Yongdusan Park.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1(2): 83-104. 양재준(2007) 고령자의 여가공간으로서 공원이용실태와평가에 관한연구: 용두산공원을 사례로. 관광학연구 31(2): 83-104.
  24. Zoh, K. J., Y. G. Kim and Y. H. Kim(2014)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27-40. 조경진, 김용국, 김영현(2014)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1): 27-40. https://doi.org/10.9715/KILA.2014.4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