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siness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Chungcheongbukdo-Based Top 300 Enterprises: Focused on Sales Relationship

충청북도 300대 기업 네트워크 특성분석: 판매관계를 중심으로

  • 김선덕 (충북대학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 홍성호 (충북발전연구원 지역발전연구부) ;
  • 이만형 (충북대학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Received : 2014.07.17
  • Accepted : 2014.09.16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of Chungcheongbukdo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this study highlights networking features of Chungcheongbukdo-based top 300 enterprises. In particular, it has paid attention to network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ng enterprises and their basic structure, all of which play pivotal roles in provincial development. Major networking features among Chungcheongbukdo-based top 300 enterprises are dichotomized between structural and positional dimensions. Firstly, in terms of structural approach, this research confirms that both relational density indices and average connectivity levels among key enterprises have been extremely low. Therefore, the exchange networks seem relatively limited. That is, two enterprises could be interconnected after 1.1 stages in average, implying that the most popular types come from direct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ng enterprises. In addi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7 major networks hinged upon 'distributed centralization types' present active information exchange, taking in charge of brokerage roles, all of which have contributed to broader network formation. Nonetheless, as the weight of minor network outweighs that of major network, more active supporting measures should be designed.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충청북도 지역 경제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충청북도 300대 기업의 판매구조의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현대 도시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 상호 간의 실질적인 네트워크 관계를 규명하여 지역 경제성장의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네트워크 설계가 가능하도록 정책적 제언함에 연구목적이 있다. 충북의 소재한 300대기업의 판매관계만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들 기업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참여 기업들 사이의 네트워크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은 크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측면과 지위적인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주로 중심성 지수들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업들 간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미약했으며 네트워크 관계의 범위도 협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보다는 기업과 기업들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분산집중형의 네트워크 형태로서 다수의 '브로커' 역할을 하는 기업들을 통해 네트워크 내 교류가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메이져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마이너 네트워크들이 다수 존재하는바 이를 잇는 정책 차원의 체계적인 네트워크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역균형발전협의체,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및 지역균형발전 방안 연구, 2014.
  2. L. C. Freeman,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an Emphasis on Recent Events," in J. Scott and P. J. Carrington, eds.,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London: Sage, 2012.
  3. 문정수, 지역평생교육추진체제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경미,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통한 바이오.의료산업의 네트워크 특성분석 : 충청권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 C. S. Dempwolf and L. W. Lyles, "The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Plan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of Planning Literature, Vol.27, No.1, pp.3-21, 2012. https://doi.org/10.1177/0885412211411092
  6. N. Waters, "Social Network Analysis," in M. M. Fischer and P. Nijkamp, eds., Handbook of Regional Science, Berlin:Springer-Verlag, 2014.
  7. 김선배, "기업간 네트워크의 형성현황과 요인: 한국 컴퓨터산업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33권, 제2호, pp.309-324, 1998.
  8. P. N. Cooke and K. Morgan, "The Network Paradigm: New Departures in Corporate and Regional Development," Enviroment and Planing, Vol.11, pp.543-564, 1993.
  9. E. Feser, S. Sweeney, and H. Renski, "A Descriptive Analysis of Discrete U.S. Industrial Complex," J. of Regional Science, Vol.45, No.2, pp.395-419, 2005. https://doi.org/10.1111/j.0022-4146.2005.00376.x
  10. A. Eraydın, B. A. Koroglu, H. E. Ozturk, and S. S. Yasar, "Network Governance for Competitiveness: The Role of Policy Networks i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ettlements in the Izmir Region," Urban Studies, Vol.45, No.11, pp.2291-2321, 2008. https://doi.org/10.1177/0042098008095869
  11. X. Liu and B. Derudder, "Analyzing Urban Networks through the Lens of Corporate Networks: A Critical Review," Cities, Vol.31, pp.430-437, 2013. https://doi.org/10.1016/j.cities.2012.07.009
  12. 홍성호,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기법에 근거한 지식 네트워크 구조와 창발형태 분석 : 충청권 지역전략산업을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조병설, 대기업 연결망에 기반한 도시 네트워크 특성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14. 홍성호, 김경미, 백운성, 이만형,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에 근거한 충남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식 네트워킹 분석", 국토계획, 제45권, 제4호, pp.183-196, 2010.
  15. 최영출, "지역전략산업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책분석평가학회보, 제19권, 제2호, pp.277-304, 2009.
  16. 송미경, 사회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한 충청북도 지역 전략산업 네트워크 특성 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7. 박치성, "사회네트워크 분석의 활용을 통한 조직진단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제6권, 제2호, pp.1-32, 2009.
  18. S. Wasser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9. Cyram, Net Miner Help, Cyram, 2008.
  20. 김용학, 김진혁, "지역감정의 관계적 분석:결혼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24권, pp.65-84, 1992.
  21.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2.
  22. 송미경, 이만형, 조병설, 홍성호, "충북에 소재한 대학이 수행한 공동연구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분석 및 클러스터 정책에 관한 시사점", 지역연구, 제29권, 제2호, pp.105-124, 2013.
  23.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4.
  24. L.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No.3, pp.215-239, 1979.
  25. 김선덕,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충청남도 디스플레이 산업 네트워크 특성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