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erformance Enhancement of VANET Warning Message Propagation on Electric Wave Blind Area Problem in the Urban Environment

도심의 전파 사각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VANET 경고 메시지 전달 기능의 개선

  • Lee, Won Yeoul (Dept. of Cyber Police and Science, YoungSan University)
  • Received : 2014.08.04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Emergency Warning Service will be the most important service of VANET. Transmission delay i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criteria of the warning service. Most legacy research takes a way to minimize the packet collision. However those approach has a critical weak point on urb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a blind area of electric wave. So another issue is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enhanced warning message propagation technique to overcome the urban environment problem. In this paper, I proposed an enhanced warning message propagation scheme in the poor electric wave environment as the intersection area. Proposed scheme forwards the warning message to the blind area by enhanced forwarding node selection technique. For efficiency of warning message propagation, I suggest forwarding priority for decision of forwarding node. And the node has a direct mode or redirect mode depending on neighbor nodes. The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 has the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legacy warning message technique.

Keywords

1. 서 론

VANET 통신은 차량과 차량 혹은 차량과 인프라간의 통신을 통해 위험 경고, 운전 편의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자동차 산업의 거대함을 감안하면 VANET 기술의 산업적인 파급효과는 상상 이상으로 크리라 예상된다.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기술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기술이 위험 경고 서비스이다[1].

VANET의 위험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기술은 차량의 이동성과 장애물로 인한 전파 환경때문에 항상 어려움을 겪는다. 그 이유는 긴급 상황이 일정 시간 내에 전달되지 않으면 서비스의 효과는 크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달 지연 시간이 경고 서비스에서의 가장 큰 이슈가 되는 성능 기준이다. [2]의 연구에서는 1.5초 정도의 시간이면 전체 사고의 약 60% 정도를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방 차량의 정지등을 본 후 브레이크를 밟는 데까지 약 0.7초에서 1.5초가 소요된다는 [3]의 연구 결과에서 타당성이 입증된다.

VANET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경우 라우팅 관련 정보를 유지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더 나은 경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VANET 프로토콜은 라우팅을 위해 인접 노드 정보를 유지한다. 인접노드 정보는 차량의 위치, 속도, 이동 방향, 인접 노드 정보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각 지대로의 경고 메시지 전달을 위한 전달 노드 선택에 활용할 수 있다.

Fig. 1에서와 같이 노드 1의 긴급 상황을 노드 2의 운전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후속 차량들인 노드 3, 4의 운전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만일 VANET 경고 서비스가 가능하다면 노드 3, 4의 운전자도 전방의 긴급 상황을 미리 알고 사고를 회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경우는 비록 시야는 확보되지 않지만 전파 환경이 양호하여 경고 서비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전파 환경이 열악한 Fig. 2의 경우는 좀 더 지능적인 경고 서비스의 설계가 필요하다.

Fig. 1.Case of favorable electric wave environment.

Fig. 2.Electric wave blind area on the crossroad.

Fig. 2와 같이 노드 1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노드 3과 4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나 노드 2는 장애물로 인해 경고 메시지를 직접 수신할 수 없다. 만일 노드 2가 노드 1의 위치로 이동 중이라면 노드 2로의 경고 메시지 전송이 가장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장애물 등으로 인한 열악한 전파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경고 메시지 전달 기능이 필요하다.

도심과 같은 환경에서는 전파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매우 많다. 건물과 같은 장애물,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기들의 간섭 그리고 노드의 밀집도가 높아 발생하는 패킷 충돌 등이 열악한 전파 환경을 조성한다[4]. 따라서 VANET 경고 서비스는 이러한 환경을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와 같은 전파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고자 하는 기법은 모든 노드가 인접 노드의 정보를 활용해 자신과 인접 노드의 전달 우선순위(Forwarding Priority)를 계산한다. 가장 높은 전달 우선순위의 노드는 스스로 전달 노드가 되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만일 사각지역이 존재할 경우 다음 전달 노드를 선정하여 사각지역으로의 경고 메시지 전달을 시도 한다.

본 논문은 2장에서 경고 서비스를 위한 기존의 VANET 연구에 대해 고찰할 것이며 3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선된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을 설명한다. 4장에는 기존의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에 비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하기 위한 성능 평가 결과를 보이고 5장에 결론을 맺는다.

 

2. 기존 연구

지금까지 제안된 VANET 긴급 서비스는 LCN(Least Common Neighbor) 방식[5] 그리고 DDT(Distance Defer Transmission) 방식[6]의 개념과 근본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다. 즉 패킷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메시지 전달 노드를 미리 결정하는 방법이 LCN 기법의 기본 개념이다. LCN 기법은 메시지 전송 시 인접노드 정보를 이용해 다음 메시지 전달 노드를 결정함으로써 패킷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달리 각 노드의 대기시간을 스스로 판단하게 하여 패킷 충돌을 회피하자는 개념이 DDT 기법의 기본 개념이다. 이 기법은 각 노드가 스스로 판단함으로써 부가되는 오버헤드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이동성을 가진 VANET 환경에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과 달리 [7]에서는 긴급 노드의 발생 이후 관련 노드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을 가정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였다. 주변 노드들의 위치에 따라 경고 메시지 전송률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패킷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노드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 AV(Abnormal Vehicle) state, flagger AV State, non-flagger AV state로 나누어 각 상태에서의 노드 동작을 설계하고 rate decreasing algorithm을 개발하여 패킷 충돌의 가능성을 줄였다. [8]에서도 송신 노드와의 거리와 자신의 노드 밀집도를 이용하여 재전송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패킷 충돌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경고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의 노드 1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면 노드 2와 노드 4가 긴급 메시지를 직접 수신한다. 노드 4가 노드 2에 비해 먼거리에 위치하므로 다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노드 2는 노드 4의 긴급 메시지 전송을 알 수 있음으로 메시지 재전송을 포기한다. 이로 인해 노드 3과 노드 5는 자신에게 닥친 위험 상황을 미리 감지할 기회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Fig. 3.Limitation of legacy warning message propagation technology on the crossroad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지금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VANET의 긴급 서비스 기능은 대부분 브로드캐스팅으로 인한 패킷 충돌의 감소,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전달 노드 선택 등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기능 개선에 접근하였다. 대부분의 VANET 환경에서 이러한 제안들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나 도심의 교차로와 같은 열악한 전파 환경서는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경고 서비스는 가장 빠른 시간에 가장 멀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도심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3. 개선된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

VANET 통신 기술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기본적인 라우팅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9]. 본 논문에서는 라우팅에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여 부가 정보 없이 전달 노드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가정하는 라우팅 정보는 인접 노드의 위치, 속도, 이동 방향, 인접 노드 정보이다. 인접 노드의 인접 노드 정보를 활용하면 두 노드가 서로 사각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긴급 상황 발생 노드를 AV(Abnormal Vehicle)라 하고 교차로와 교차로 사이의 도로를 Sector라고 하며 교차로 영역을 Junction Area 라고 한다. 노드의 인접 노드 리스트에 특정 Sector 의 노드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Sector를 Blind Sector라고 한다.

만일 교차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Sector에 인접 노드가 존재하면(Blind Sector가 없으면) 그 노드는 Junction Area에 있다고 판단한다. 노드가 Junction Area에 있다는 것은 모든 Sector에 인접 노드가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노드가 물리적으로 Junction Area에 있다 하더라도 인접 노드가 없는 Sector가 있는 경우에는 Junction Area에 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Junction Area의 노드가 아니더라도 일부 Sector에 인접 노드가 있을 수 있다. 타 노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Sector에 인접 노드가 있는 노드가 전달 노드로의 역할 수행에 더 유리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접 노드가 전체 Sector에 분포된 정도를 Junction_Weight 값으로 표현한다. Num(Sector_Neighbor)는 인접 노드가 있는 Sector의 수를 의미하고 Num(Sector_Total)를 Junction Area에 연결된 Sector의 수라 했을 때 Junction_Weight는 식 (1)과 같이 된다. Junction_Weight가 1이면 노드가 Junction Area에 있는 것이다.

Junction Area에 있는 노드의 상태를 Direct Mode라 하고 Blind Sector가 있는 노드의 상태를 Redirect Mode라 한다. 전달 우선순위는 Direct Mode의 노드 즉 Junction_Weight가 1인 노드가 모든 Redirect Mode 노드들에 비해 높다. 따라서 Redirect Mode 노드의 인접 노드들 중에 Direct Mode 노드가 있으면 자신은 전달 노드를 포기하고 대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달 노드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전달 우선순위(FP: Forwarding Priority)를 제안하였다. 노드 k의 전달 우선순위 FP(k)는 노드 자신과 인접 노드들의 속도와 인접 노드 수를 기반으로 계산한다. 노드 k의 전달 우선순위 계산식은 Direct Mode일 경우와 Redirect Mode일 경우에 식 (2)와 (3)과 같이 계산한다.

식 (2)에서 Velocity_Weight는 노드 자신을 포함해서 자신의 인접 노드들의 속도 중에 가장 낮은 속도에 대한 자신의 속도를 의미하고(식 (4)), Neighbor_Weight는 자신의 인접 노드 수에 대한 자신과 인접 노드들 중 가장 많은 인접 노드 수를 의미한다(식 (5)). 만일 자신의 속도가 가장 낮으면 Velocity_Weight는 1이 되고, 자신의 인접 노드 수가 가장 많으면 Neighbor_Weight는 1이 된다. 즉 이동 속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인접 노드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전달 우선순위를 가지게 된다.

Redirect Mode의 전달 우선순위는 AV 노드의 Blind Sector 중에서 가장 많은 Sector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노드가 높은 전달 우선순위를 가진다. Blind_Sector(AV)는 AV의 Blind_Sector를 의미하고 Neighbor_Sector(k)는 노드 k의 인접 노드가 있는 Sector를 의미한다. 따라서 식 (3)의 Num({Blind_Sector(AV)}∩{Neighbor_Sector(k)})는 AV의 Blind_Sector 중에 노드 k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Sector의 수를 의미한다.

3.1.1 전달 노드 선택 과정

긴급 노드(AV)로부터 최초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노드는 자신과 인접 노드들의 전달 우선순위 FP를 계산한다. 자신의 전달 우선순위(FP)가 가장 높은 경우 자신이 전달 노드가 되어 경고 메시지를 재전송 한다. 만일 노드가 Junction Area에 위치하면 모든 Sector로의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Blind Sector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전달 노드는 인접 노드를 통한 Blind Sector로의 메시지 전달을 시도하여야 한다.

Redirect Mode 전달 노드는 Blind Sector로 메시지 전달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접 노드들 중에서 Blind Sector에 인접 노드가 있는 노드를 다음 전달 노드로 선택해서 메시지를 전송한다. AV로부터 최초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Direct Mode 노드와 Redirect Mode 노드의 전달 노드 선택 과정을 Fig. 4와 5에 나타내었다. Fig. 5에서 알 수 있듯이 Redirect Mode일 경우에는 다음 노드를 선택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Fig. 4.Process of Direct Mode node.

Fig. 5.Process of Redirect Mode node

Fig. 6은 노드 2가 Direct Mode로 전달 노드가 되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노드 1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노드 1에서 전송 된 경고 메시지는 노드 2와 노드 4에서 수신 가능하지만 노드 2와 노드 4는 자신과 인접 노드들의 전달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자신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스스로 전달 노드가 된다. 노드 2와 노드 4가 모두 최초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지만 노드 4는 노드 2가 Direct Mode임을 알고 대기한다. 노드 2는 direct Mode 노드이므로 자신이 전달 노드가 되어 모든 Sector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Fig. 6.Message forwarding process of Direct Mode node.

Fig. 7 (a)는 노드 2와 노드 4의 사각 지역을 나타내었다. Fig. 7 (b)를 보면 노드 1에서 전송한 경고 메시지를 노드 4가 수신한다. 노드 4는 인접 노드 정보를 통해 노드 2가 노드 1의 사각 지역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전달 노드가 되어 사각 지역으로의 경고 메시지 전달을 시도한다. 그러나 노드 4는 노드 5의 존재를 알 수 없으므로 해당 Sector가 사각 지역이라고 판단한다. 노드 4는 인접 노드 2의 인접 노드 정보에 노드 5의 정보가 있으므로 노드 2를 다음 전달 노드로 결정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메시지에는 Redirect Mode 정보와 노드 2가 선택된 다음 전달 노드임을 포함한다.

Fig. 7.Message forwarding process of Redirect Mode node.

3.1.2 경고 메시지 전달 과정

경고 메시지는 Direct Mode 경고 메시지와 1차 및 2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로 나뉜다. 경고 메시지의 형태를 분류하는 이유는 각각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의 동작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Direct Mode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노드는 자신이 속해 있는 Sector를 기준으로 가장 신속하고 멀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노드가 다음 전달 노드가 된다. 이 경우 타 Sector의 노드로부터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자신이 속한 Sector 의 인접 노드까지 메시지 전달이 되지 않으면 자신이 또 다시 재전송 하여 모든 Sector로의 메시지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타 Sector 노드로부터의 메시지가 자신이 속한 Sector의 인접 노드로 전달 가능한지 여부는 메시지를 전송한 타 Sector 노드의 인접 노드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는 1차 전달 노드의 메시지와 2차 전달 노드의 메시지로 분류된다. 1차 전달 노드가 전송하는 1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에는 Redirect Mode 정보와 2차 전달 노드 정보를 포함하며, 2차 전달 노드가 전송하는 2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에는 Redirect Mode 정보만을 포함한다. 2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은 Direct Mode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Fig. 8은 경고 메시지 전달 과정을 보이고 있다. 노드 1이 AV로 최초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노드 2가 Redirect Mode 노드로 전달 노드가 된다. 노드 2는 Sector N이 Blind Sector이므로 노드 3을 다음 전달 노드로 정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노드 2가 전송한 메시지는 노드 3, 4, 6이 수신하게 된다. 노드 3은 자신이 다음 노드로 선택 되었으므로 경고 메시지를 재전송 한다.

Fig. 8.Warning message forwarding process of each sectors.

이 과정에서 노드 4는 노드 2에서 전송한 경고 메시지를 수신했고 노드 3이 또 다시 경고 메시지를 재전송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노드 4는 재전송을 포기한다. 그 이유는 노드 2가 전송한 메시지를 노드 3이 재전송했기 때문에 자신은 재전송 노드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에서 노드 4는 노드 3의 인접 노드와 자신의 인접 노드를 비교해서 노드 8이 노드 3의 인접 노드가 아니면 메시지 재전송을 한다.

Sector W의 노드 6도 노드 2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가 1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이며 다음 전달 노드가 노드 3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노드 3이 Sector S의 노드이기 때문에 자신과 노드 2의 인접 노드를 비교해서 노드 7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재전송을 수행한다.

Fig. 9는 Direct Mode 노드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의 동작을 나타내었다. 자신이 속한 Sector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기존의 경고 메시지 전달 동작에 따라 전달하면 된다. 전달 노드 외의 노드들은 경고 메시지를 수신했을 경우 자신이 속한 Sector로 재전송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만일 Direct Mode 노드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LCN 기반 혹은 DDT 기반으로 Fig. 9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재전송 우선순위의 노드가 재전송을 결정하면 된다.

Fig. 9.Process of Direct Mode node when receives warning message.

Fig. 10은 1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의 동작을 나타내었다. 다음 전달 노드로 선택된 노드는 경고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나머지 노드는 다음 전달 노드가 재전송 할 때까지 대기한다. 만일 다음 전달 노드가 자신의 인접 노드가 아닌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2차 Redirect Mode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은 다음 전달 노드 판단 동작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Fig. 10.Process of Redirect Mode node when receives warning message.

 

4. 성능 평가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방식은 경고 메시지 전송 노드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노드가 재전송하는 DDT 기반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목적인 교차로 사각 지역으로의 메시지 전달 여부를 가장 중요한 성능으로 정하였고 전파 반경의 변화에 따라 성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제안 기법과 DDT 기법의 동작을 구현하였으며 사거리에 노드가 무작위로 분포할 경우 실제 무선 링크가 있는지 여부도 같이 판단하였다. 즉 노드의 거리가 멀어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의 경우에는 어떠한 기법도 메시지 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선 패킷 전달 순서에 따라 전체 노드 중에서 어느 정도의 노드에게 메시지가 전달이 되는지를 평가하였다. Fig. 11, 12, 13은 전체 사거리에 노드가 10대, 20대 30대일 경우에 대해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Legacy 그래프는 기존의 기법인 DDT 기법의 성능을, Proposed 그래프는 제안 기법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결과 그래프의 X축은 패킷 전달 회수를 나타내며 Y축은 메시지 전달 성공률을 나타낸다.

Fig. 11.Message arrival probability when 10 nodes exist.

Fig. 12.Message arrival probability when 20 nodes exist.

Fig. 13.Message arrival probability when 30 nodes exist.

Fig. 11, 12, 13의 결과에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제안 방식이 전체 노드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능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노드수가 작은 경우 기존의 방식은 전체 노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능력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V로부터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중에 가장 먼 거리의 노드가 재전송을 하여 Blind Sector로의 메시지 전달 기회를 상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4, 15, 16은 전파 범위의 변화에 따라 성능의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Ideal 실선은 무선 링크가 존재하는 노드의 비율을 나타낸다. 즉 가장 이상적인 기법이라면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노드의 비율을 의미한다. 전파 범위를 30m에서 100m까지 증가시키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에서 제안 기법의 성능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Fig. 14.Message arrival probability according to propagation range when 10 nodes exist.

Fig. 15.Message arrival probability according to propagation range when 20 nodes exist.

Fig. 16.Message arrival probability according to propagation range when 30 nodes exist.

Fig. 15와 Fig. 16의 결과를 보면 전파범위 30인 경우 기존 방식에 비해 제안 기법의 성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드가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전파 범위가 작으면 기존의 방식이 좀 다 나은 성능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먼 거리의 노드가 전달 노드로 선택이 되기 때문에 flooding에 가까운 통신 형태로 메시지가 전달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제안기법은 전파 범위가 작으면 대부분의 경우 Redirect Mode로 동작하게 되어 Blind Sector로의 경로 탐색에 실패할 가능성이 다소 발생한다. 이로 인해 기존 방식에 비해 낮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파 범위는 현실성이 다소 떨어지는 가정이므로 무시하여도 될 것으로 보인다.

Fig. 14, 15, 16을 보면 전파 범위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식의 결과가 Ideal 값에 근접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가장 먼 거리의 노드가 전달 노드로 선정이 되면 Blind Sector로의 메시지 전달이 불가능 해지므로 이와 같은 치명적 결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사거리를 대상으로 한 성능 평가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식의 문제점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경우의 실험에서 기존의 방식에서는 전체 노드로의 메시지 전송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전파 환경이 열악한 환경인 도심에서의 경고 메시지 전달 방식이 개선되어야 함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도심과 같이 전파 환경이 열악한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는 경고 메시지 전송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심 환경에서의 경고 메시지 전달 방식의 개선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경고 메시지 전달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사거리와 같이 전파 환경이 열악하고 기존의 경고 메시지 전달방식이 가장 취약한 환경에서도 경고 메시지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동작 설계를 하였다.

기존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고 노드의 상태를 Direct Mode와 Redirect Mode로 나누어 동작하게 함으로써 더 나은 성능을 추구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평가 결과 기존의 방식에 비해 성능의 우수함을 보였으며 앞으로 더 복잡한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성능 개선을 시도할 것이다.

References

  1. I. Chisalita and N. Shahmehri, "A Peer-to-Peer Approach to Vehicular Communication for the Support of Traffic Safety Applications," Proceeding of 5th IEEE Conference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p. 336-341, 2002.
  2. C.D. Wang and J.P. Thomps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and Tracking of Objects in a Region for Collision Avoidance Utilizing a Real-time Adaptive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5-613-039, U.S.A., 1997.
  3. M. Green, "How Long Does It Take to Stop?" Methodological Analysis of Driver Perception- Brake Times," Transportation Human Factors, Vol. 2, No. 3, pp. 195-216, 2000. https://doi.org/10.1207/STHF0203_1
  4. G.Z. Ko, H.D. Kang, J.H. Oh, I. Kim, M.S. Song, and C.J. Choi, "Overview of Interference Management and GoS Control Techniques for Next Generation WLAN Network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29, No. 3, pp. 107-117, 2014.
  5. Sukdea Yu and Gihwan Cho, "A Selective Flooding Method for Propagating Emergency Message in Vehicle Safety Communications," Proceeding of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brid Information Technology, Vol. 2, pp. 556-561, 2006.
  6. M.T. Sun, W.C. Feng, T. Hwang, Yamada K., Okada H., Fujimura K., "GPS-Based Message Broadcast for Adaptive Inter-Vehicle Communications," Proceeding of IEEE VTC 2000, Vol. 6, pp. 2685-2692, 2000.
  7. Xue Yang, Jie Liu, and Feng Zhao,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operative Collision Warning," Mobile and Ubiquitous Systems: Networking and Services, pp 114-123, 2004.
  8. Jae Su Kim, "Dynamically Adjusted Probabilistic Broadcasting Mechanism based on Distance Ratio and Node Density for MANET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6, No. 9, pp. 1077-1088,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3.16.9.1077
  9. Won Yeoul Lee, Wan Jik Lee, "An Enhanced Rerouting Function using the Failure Information in a VANET Unicasting Routin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7, No. 2, pp. 191-199,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2.191

Cited by

  1. 차량 통신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능형 WAVE/DSRC 플랫폼 기술 연구 vol.20, pp.9,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7.20.9.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