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age Type of the Korean Traditional Child Rearing: Focused on Mothers with Infancy and Early Childhood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4.10.05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types of the traditional child rearing by mothers with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rough Q-methodology. To conduct that, Q-group was first formed from mothers who raised their child in traditional way after their brainstorming about the method and interviewing them. Based on the subject's shared statements, Q-standard was made with 40 subjects. The 40 subjects were asked to grade each statement from one to nine and then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y QUANL program. The image typ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There were 'Type 1: Relationship-oriented parenting through harmony' 'Type 2: Archetypal Parenting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values,' 'Type 3: Practice-oriented Parenting to respect life,' and 'Type 4: Attachment Parenting modern variants necessary.' This study serves as a momentum to see the impact of traditional child rearing on modern child upbringing by examining mother's viewpoints on traditional child rearing.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육아를 경험한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어머니들에게 전통육아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Q-모집단을 마련하였다. 그 중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표본을 만들고, 40명의 어머니들에게 진술문의 동의수준을 9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전통육아에 대한 인식 유형은 네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 '조화로움을 통한 관계 지향적 육아', '한국 고유의 전승가치를 담은 원형적 육아', '생명을 존중하는 실천 중심적 육아', '현대적 변형이 필요한 애착육아'로 명명되었다. 이 연구는 어머니들이 가지는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전통육아의 전승과 효과적 실천을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 국어연구원 (1999). 표준 국어대사전. 서울: 두산 동아.
  2. 김광호 (2012). 지식과 본능의 충돌, 이 시대 엄마들은 불안하다.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25-137.
  3. 김미애, 류경화 (2004). 놀이지도. 서울: 도문사
  4. 김수연 (2003).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은주 (2012). 부산일보. 2012. 3. 2.
  6. 김흥규 (2008). Q방법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민하영, 유안진 (2003).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출생의례 및 아기 행사에 대한 비교연구. 아동학회지, 24(3), 54-56.
  8. 박덕숭 (2012). 한국 전통사회 육아의 현대적 의의. 韓榮論叢 , 16, 381-405.
  9. 박영신, 김은주 (2004). 김지하 생명사상의 생태유아교육적 함의. 생태유아교육연구, 3(1), 21-42.
  10. 신미아, 최정현 (2010). 미혼 대학생의 성지식과 태교인식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9(4), 613-624. https://doi.org/10.5934/KJHE.2010.19.4.613
  11. 안세희 (2013).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전통육아의 의미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위혜숙 (2004). 육아 시초로서의 태교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유가효 (1999). 한국과 미국의 자녀양육 방식의 비교 문화적 고찰과 방향모색. 한국 아동학회 95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63-88.
  14. 유안진 (1986).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유안진 (1990).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6. 이경화 (2003). 제주지역 전통 육아문화에 대한 비교연구(I). 열린유아교육연구, 8(2), 333-354.
  17. 이민규, 김효창, 김수정, 조연동 (2007). 방송 프로그램에 나타난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한국적문화 특성 연구: KBS 1TV <아침마당> 출연자들의 이야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3), 241-175.
  18. 이숙재 (2001). 유아 놀이 활동. 서울: 창지사.
  19. 이어령 (2009).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10) 돌상 앞의 한국인4 어머니 어깨너머로 본 세상. 중앙일보 2009. 5. 4.
  20. 이원영 (1998). 한국인의 심리에 비추어 본 양육태도. 한국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13, 1-18.
  21. 이은화, 고은경(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이미지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45-177.
  22. 임소영, 김은주 (2011). 태교에 대한 예비부모의 이미지 분석: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2(3), 327-349.
  23. 임재해 (2012). 한국 전통육아, 왜 잊혀졌는가?. 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 2012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1-48. 6월 16일. 대전, 한남대학교 성지관.
  24. 조미진, 김광호 (2012). '오래된 미래, 전통육아의 비밀. 서울: 라이온북스
  25. 조복희, 이재연, 윤종희 (1993). 연변지역 조선족의 가족생활 및 육아 실태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1(1), 35-44.
  26. 최기영, 이정미 (2002).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한국아동학회지, 23(1), 105-119.
  27. 최익정, 최영희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3), 63-70.
  28. 편해문 (2003). 우리 민속문화에서의 아이들 삶. 생태유아교육연구, 2(1), 41-29.
  29. 하봉준 (1999). 제품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이미지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하순련, 서현아 (2013).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31-15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31
  31. 한승희 (2004). 일 지역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전통 육아방식 비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현정환 (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33. 황혜자, 김지영 (2001). 부모-자녀관계와 자녀 인성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개관. 학생연구, 29, 79-96.
  34. EBS 다큐프라임(2012). 오래된 미래, 전통육아의 비밀 편. 2012. 1. 4.
  35.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36. Gross, D. (1992). The past in ruins: Tradition and the critique of modernity.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37. Torrance, E. P.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ew York: Robert E. Krieger.

Cited by

  1.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