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isk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복지시설 이용 청소년의 위험요인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박선아 (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미림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재영 (하늘사랑교실 지역아동센터)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7.29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ego-resilience shows mediating effects between risk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data was conducted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of risk factors and ego-resilience on subordinate variable of Juvenile Delinquency were significant. Second, the personal risk factors and ego-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nd ego-resilience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personal risk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Third, school related risk factors and ego-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nd ego-resilience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school related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본 연구는 복지시설 청소년의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한편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비행행동 사이에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 비행행동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둘째, 학교 환경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도 청소년 비행행동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아탄력성이 개인적 위험요인과 청소년 비행행동간의 부분매개효과 있는 것뿐만 아니라 역시 학교 환경위험요인과 청소년 비행행동 간에서도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처럼 자아탄력성은 청소년 위험요인과 청소년 비행행동 간의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위험요인 상황에 놓여 있는 청소년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진 청소년이라면 어느 정도 비행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균, "위험요인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가족 친밀도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4권, 제2호, pp.137-155, 2007.
  2. 여성가족부, 2013년 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 2013.
  3. 이은경, 지승희, 이지은, 최수미, 정찬석, "청소년 비행 위험요소.보호요소 척도의 개발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2호, pp.57-70, 2003.
  4. 조계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 홍미란, 부모.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장정현, 고재흥,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희망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101-116, 2010.
  7. 강명희, 이수연,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제9권, 제4호, pp.281-302, 2012.
  8. 박연수,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이예승,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0.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70, pp.1067-1079, 1996.
  11. 이희연, "청소년기 탈비행화 과정", 한국청소년 연구, 제16권, 제1호, pp.383-420, 2005.
  12. 한상철, 이수현,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들의 집단간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제3권, 제1호, pp.1-14, 2006.
  13. 김진석, "청소년 비행유형과 관련 요인", 학교사회복지, 제25권, pp.311-332, 2013.
  14. 양종국, 김충기, "비행청소년의 비행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재비행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제10권, 제2호, pp.101-121, 2002.
  15. 이석형,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3권, 제1호, pp.55-76, 2007.
  16. 김현순,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7. 고재흥, 윤경란,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1호, pp.185-212, 2007.
  18. 이주연, 장성화, "청소년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 상담치료학회지, 제4권, 제1호, pp.41-53, 2013.
  19. 조계연, 이은희, "초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부모의 양육행동, 가족건강성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의 매개역할",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1호, pp.79-106, 2007.
  20. 한상철, 청소년학: 청소년이해와 지도, 서울: 학지사, 2004.
  21. 김향초, 가출청소년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98.
  22. 김준호, 청소년비행론, 서울: 청목출판사, 2009.
  23. J. E. Donovan, R Jessor, and F. M. Costa, "Adolescent health behavior and conventionality -unconventionality: An extension of problembehavior theory," Health Psychology, Vol.10, pp.52-61, 1991. https://doi.org/10.1037/0278-6133.10.1.52
  24. R. Jessor and S. Jessor, Problem behavior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New York: Academic, 1977.
  25. 지승희, 이은경, 이지은, 최수미, 정찬성, 청소년 비행 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I ,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26. J. Polland, R. F. Catalano, J. D. Hawkins, and M. Arthur, "Development of a school-based survey measuring risk and protective of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populations. Manuscript under review," Journal of School. Health. Vol.60, pp.64-105, 1997.
  27. B. E. Compas, B. R .Hinden, and C. A. Gerhardt,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6, pp.265-293, 1995. https://doi.org/10.1146/annurev.ps.46.020195.001405
  28.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9.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 증상 공종집단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27-144, 2003.
  30. J. D Coie, N. F. Watt, J. D. Hawkins, J. R. Asanow, H. J. Markman, S. L. Ramey, Shure, and B. Long, The Science of prevention : A Conceptual framework and directions for a national research program, American Psychologist, Vol.46, pp.1013-1022, 1993.
  31. J. D. Hawkins, M. W. Arthur and R. F. Catalano, Preventing substance and abuse, In M. Tonry & D. P. Farrington (Eds), Building a safer society: Strategic Approaches to Crie prevention, Crime and justice, 19. (pp.343-427).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32. E. G. Sharp, Epidemiology of gangs, level of association of risk factors memb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lden University, 2001.
  33. D. A. Butcher, The relationships among engagement in youth development program,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problem behaviors: An exploratory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tah University, 2000.
  34. 권지은, 청소년 비행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5. 김장대, 청소년비행의 원인과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6. 유성경,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비행수준별, 유형별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분석,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37. M. Rutter,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In E. Rahdert, D. C. & I. Amsel (Eds.) Adolescent drug abuse: Clinical assess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Rockville, MD: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pp.7-38, 1990.
  38.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nllins(ED), The Minnew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Hillsdale, NJ: Erlbaum, Vol.13, pp.39-101, 1980.
  39. N. Garmezy, Stress-resistant children: The search for protective factors. In J. E. Stevenson (Eds.), Rec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Book Suppement, Oxford, England: Pergamom, No.4, pp.213-233, 1981.
  40. 오순옥, 중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과 관계,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1. 허정선, 가족의 애착, 귀인양식 및 자아탄력성이 표출정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2. 이건성, 정서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3. J. H.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70,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4. 이은미, 박은전,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제1호, pp.3-24, 2002.
  45. 장진아, 신의천,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3호, pp.569-592, 2006.
  46. L. D. Kirby and M. W. Fraser,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W. Fraser(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Washington D.C,: NASW Press, pp.10-33, 1997.
  47. 김윤희, 황순택, "부모갈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제신념과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2호, pp.343-362, 2003.
  48.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43-161, 2003.
  49. 원형중, "청소년의 중독성 물질남용, 여가참여, 여가권태, 여가만족의 인과모형 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12권, pp.46-57, 1995.
  50. S, E. Iso-Ahol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nd recreation,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80.
  51. 이진호, 김문희, 최덕묵, 김기범, "청소년의 여가 활동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자살위험간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지, 제4권, 제2호, pp.41-55, 2008.
  52. A. S. Masten and J. D. Coatsworth,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Vol.53, pp.205-220, 1998. https://doi.org/10.1037/0003-066X.53.2.205
  53. 박서연, 정영숙,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7-32, 2010.
  54. 김교헌, 권선중, 심미영,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0권, 제1호, pp.113-126, 2005.
  55. 김미예, 박완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비행성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15-422, 2008.
  56. 양해경, 환경의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7. 김동일, 홍성두, 청소년 위기 평정척도 개발연구,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춘계 학술대회 교육심리학회, 경인교육대학교, 2006.
  58. 윤은희, 위기 청소년 위험요소 타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9. 성영순, 고등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자아 탄력성 및 성별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0. 박기성, 가족구조, 가족기능 및 자아통제력이 청소년 비행과 범죄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2.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83-104,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1.83
  63. K. J. Preacher and A. F.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No.4, pp.717-731, 2004. https://doi.org/10.3758/BF03206553
  64. 주소영, 이양희, "청소년용 탄력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03-13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