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ttributed to Nonpoint Sources in Nakdonggang Basin, Korea

낙동강수계 권역별 비점오염원 오염도 평가

  • Lee, Jaewoon (Nakdonggang Wat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won, Heongak (Nakdonggang Wat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Hanyoung (Eulji University)
  • 이재운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권헌각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최한영 (을지대학교)
  • Received : 2014.07.08
  • Accepted : 2014.10.22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nonpoint sources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Nadonggang basin regional water quality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discharged. And were selected the banks of first admini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the next administration. As a results of estimating the water quality about BOD concentration in the mid influence area in the Nakdonggang basin, it was founded that 10 sites for 'Ia' water quality level, 6 sites for 'lb' water quality level, 5 sites for 'II' water quality level, 1 sites for 'I' water quality level. The estimation of COD concentration in the mid influence area, It showed that 9 sites for 'Ib' water quality level, 6 sites for 'II' water quality level, 6 sites for 'III' water quality level, 1 site for 'IV' water quality level. The assessment of water quality made Mid influence area of Gumhogang, Nakdong Goryung, Nakdong Milyang and Namgang selected as the mid influence area of high pollution. And delivery loads of nonpoint sources were calculated for mid influence area in Nakdonggang basin(max delivery load : 17,706.7 kg/day for Gumhogang influence area).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NPS(nonpoint sources) delivery load and water quality at influence area in Nakdonggang basin, Gumhogang influence area was selected as an area for management priority among nonpoint sources.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 수질평가 및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여, 낙동강수계 권역별 비점 오염원 오염도를 평가하고, 우선관리유역 선정 및 향후 관리방향을 설정하였다. 낙동강수계 수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중권역별 BOD농도를 기준으로 Ia등급에 해당하는 중권역이 10개, Ib등급이 6개, II등급이 5개, III등급이 1개 중권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 농도의 경우, Ib등급에 해당하는 중권역이 9개, II등급이 6개, III등급이 6개, IV등급이 1개 중권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권역 내 수질 오염도를 검토하여 오염도 순위를 적용하는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금호강 중권역, 낙동고령 중권역, 낙동밀양 중권역 및 남강 중권역이 선정되었다. 중권역별 토지계 원단위를 활용하여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가장 많은 비점오염부하량을 배출하는 중권역은 금호강 중권역 으로 17,706.7 kg/day로 나타났다. 낙동강수계 비점오염원에 대한 수질평가 및 부하량 산정 결과 금호강중권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12.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
  2. 김성수, 김종석, 방기연, 권은미, 정욱진. 2002.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지, 24(11), 2019-2027.
  3. 김성원, 우수혜, 오종민. 2006. 화성호 유역 비점오염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4. 권헌각. 2011. 유역모형과 중분류토지피복을 적용한 비점오염부하의 정량적 평가.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이현동, 안재환, 배철호, 김운지. 2001. 강우시 유출부하량을 이용한 팔당상수원 유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 발생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17(3), 313-326.
  6. 차진명, 신성의, 차규석. 1999. 영산강 수계의 비점 오염원에 관한 연구 1:토지이용 및 강우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8(1), 41-49.
  7. 환경부. 1995.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8. 여중현, 김건하. 2003. 금강의 수질에 대한 비점오염원 영향 분석. 공동 추계 학술발효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Cited by

  1. Trend Analysis of Monthly Water Quality Data in Nakdong River Based on Seasonal Mann-Kendall Test vol.57, pp.6,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5.57.6.153
  2.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유황별 LOADEST 모형의 적정 회귀식 선정 연구: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vol.59, pp.4, 2017, https://doi.org/10.5389/ksae.2017.59.4.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