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치매환자 돌봄제공자의 부양부담감(Burden)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to Reduce Their Burden

  • 김연주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Yeon-J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4.06.05
  • 심사 : 2014.06.30
  • 발행 : 2014.06.30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부양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05년부터 2014년 까지 국내 외 학회지에 게재된 문헌을 RISS,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2차 분류를 통해 총 9개의 실험연구 문헌이 대상문헌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9편의 문헌은 국외 논문이 국내 논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내적타당도는 PEDro score 3.5~7점 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사용된 중재는 교육적 중재가 가장 많았으며, 부양 부담감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로는 모두 Zarit Burden Interview(ZBI)를 사용하였다. 결론 : 늘어나는 치매 환자와 돌봄 제공자에 비해 치매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환자 돌봄 제공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효과 실험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to reducing burden. Through this study, we have to analysis the studies. Methods :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rom 2005 to 2014, using RISS, Pubmed, 9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ults : Selected 9 studies were Pedro score from 3.5 to 7. The most using intervention is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the Zarit Burden Interview(ZBI) was used in all studies for measured the degree of burden of caregivers. Conclusion : The studeis about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to reduce their burden are limited in Korea. In the futu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tudies for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must be activate.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vol.55, pp.None, 2014, https://doi.org/10.16975/kjfsw.2017..55.006
  2. 치매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vol.19, pp.3, 2014, https://doi.org/10.14400/jdc.2021.19.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