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work performance and the factor contributing to the work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 & school dieticians

영양교사 (정규직)와 학교영양사 (비정규직)의 직무수행도 및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n, Jang-Il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College of Hotel & Culinary, Woosong University)
  • 한장일 (우송대학교 호텔외식조리대학 외식산업경영학과)
  • Received : 2013.11.26
  • Accepted : 2015.10.30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performances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work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15 school dieticians from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rea. This survey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measured using the ${\chi}^2$-test while analysis of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of 57 variables grouped according to 12 categories by mean ${\pm}$ SD was performed using student t-test.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 on work performances. Results: All 14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In 12 of 57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compared using average work performance, 5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5 domains were other works (T = 6.050), dietary habit guide (T = 4.789), menu (nutrition) management (T = 3.524), foodservice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T = 2.757), and production and service management (T = 2.588). Overall,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comparably higher than those of school dietitians.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pational (working or foodservice) environments and work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students, meal frequency a day, annual salary, age, foodservice years of school, and school type. Conclusion: Meanwhile, the work performances of school dietician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employees, meal frequency a day, work hour, education level, age, school type, and service years as a dietitian.

정규직 및 비정규직 학교급식 영양(교)사들의 근무환경, 급식환경 및 직무 수행도를 비교하고, 이들 근무환경 및 급식환경의 변수들이 정규직 및 비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전 충남 지역의 학교영양사 4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에서 정규직 영양교사는 223명, 비정규직 영양사는 192명이었으며, 정규직 영양교사의 60%는 36~40세, 비정규직 영양사는 25세 이하를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정규직 영양사 모두 4년제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고, 비정규직 영양사의 석사이상 학력자는 정규직 영양교사보다 많았다. 2. 정규직 영양교사는 초등학교에서의 근무비율이 높았고, 비정규직 영양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근무비율이 비슷하였다. 정규직 영양교사는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근무시간이 더 길었고, 11년 이상 장기근무자가 더 많았으며 연봉도 더 많았다. 3. 급식수가 400인 이하는 비정규직 영양사가 많았으나, 1,200인 이상은 정규직 영양사가 많았다. 정규직 영양교사는 비정규직 영양사 보다 급식년수가 10년 이상 된 학교에서 더 많이 근무하였다. 종업원 수가 5인 이하인 경우는 비정규직 영양사가 더 많았으나, 종업원 수 6~10인은 정규직 영양사가 더 많았다. 4. 급식생산 관련 5개 직무영역의 직무수행도에서 식단(영양)관리 영역에서는 5개 모든 세부직무가. 구매 및 저장관리에서는 2개 세부직무가, 생산 및 배식관리 영역에서는 4개 모든 세부직무가, 퇴식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가, 급식시설 및 기기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가 정규직 영양교사에서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5. 급식경영 영역의 3개 세부직무에서, 노무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에서, 기타직무에서는 3개 세부직무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높았다. 위생관리 영역은 정규직 및 비정규직 학교영양사 간에 직무수행도에 차이가 없었다. 6. 식생활지도 영역은 5개 모든 세부직무에서, 영양교육영역은 5개 중 2개 세부직무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에서 보다 높았다. 영양상담 영역의 직무수행도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7. 학교영양사의 12개 직무영역의 평균 직무수행도 중 5개 직무영역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기타직무가 가장 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그 다음 식생활 지도, 식단관리, 급식경영관리, 생산 및 배식관리의 순이었다. 직무수행도가 가장 낮았던 직무는 두 군 모두 영양상담과 영양교육이었다. 8. 정규직 영양교사는 1일 급식횟수가 많을수록, 급식수가 많을수록, 종업원 수가 많을수록, 고등학교에서 근무할 수록 기타직무와 식생활지도 영역의 직무수행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구매 및 저장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아졌으며, 연봉이 높을수록 식단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은 편이었고, 반대로 노무관리의 직무수행도는 낮았다. 종업원의 수가 많을수록 특히 급식경영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았다. 9. 비정규직 영양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년수가 짧을수록, 1일 급식횟수가 적을수록, 급식수가 적을수록, 종업원 수가 적을수록, 근무학교의 급식년수가 길수록, 초등학교일수록 기타직무의 수행도가 높았다. 비정규직 영양사의 퇴식관리의 직무수행도는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1일 급식횟수가 적을수록, 급식수가 적을수록 높아졌다. 위생관리의 직무수행도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급식수가 많을수록, 종업원의 수가 많을수록 높아졌다. 구매 및 저장관리의 직무수행도는 특히 비정규직 영양사의 학력이 낮을수록 높아졌고, 식생활지도의 직무수행도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영양사에서 높았다. 영양상담직무의 수행도는 급식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규직 영양사의 일반사항, 근무 및 급식환?을 나타내는 14개 변수 모두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구직 영양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57개 세부직무들 중 1개 세부직무를 제회한 26개 세부직무에서, 12개 직무영역 중 5개 직무영역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의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일반사항, 근무 및 급식환경 변수들과 학교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와의 회귀분석에서도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규직 영양사의 직무수행도에 대한 영향변수와 상관성이 각기 다르게 분석되고 있었다. 현재 한국의 학교급식 영양사의 51%를 차지하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직무수행도는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은 학교급식의 양적 질적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51%에 달하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고용안정화 확대를 통한 처우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학교영양사들의 직무수행도의 향상을 통해 학교급식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이로써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향상이 이루어져 궁극적으로는 국민전체의 건강증진과 복지국가 실현을 앞당길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KR). Comprehensive plan for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2007-201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KR). School foodservice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3.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KR). School foodservice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4. Han JK, Kim H. Comparative study of th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job importance level of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Korean J Food Cult 2009; 24(5): 525-532.
  5. Kim JR.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technical support system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2.
  6. Sung KH, Kim HA, Jung HY.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permanently and temporarily employed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Gyeongsangna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808-817. https://doi.org/10.3746/jkfn.2013.42.5.808
  7. Chin JH, You JS, Chang KJ. Comparison of role conflict,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t school food servic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Korean J Nutr 2012; 45(1): 64-79. https://doi.org/10.4163/kjn.2012.45.1.64
  8. Lee KH, Choi BS, Lee I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mong Nutrition Counseling by Nutrition Teachers in Ky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0; 12(6): 1018-1028
  9. Lee MJ, Jang MS, Lee J. Analysis of recognized changes in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dietitians transposed to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08; 14(3): 243-258.
  10. Kim MA, Lee YS, Rho JO. Analysis of perceive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of nutrition teachers by school administrator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Nutr 2010; 23(2): 203-211.
  11. Shin KH, Shin EK, Park YH, Kim HH, Bae IS, Lee YK.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to set up the job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2006; 12(2): 105-117.
  12. Kim AJ, Yang HS, Han MR, Rho JO. A comparative study of job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and office foodservice dietitians. Korean J Hum Ecol 2011; 20(4): 871-884. https://doi.org/10.5934/KJHE.2011.20.4.871
  13. Bae HJ, Lee HY, Chun HJ. An assessment of dietitian job tas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service operations and dietitia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7; 23(6): 858-866.
  14. Choo YJ, Lee JH, Yoon J, Ryu SH.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dietitians'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4): 546-554.
  15. Cha MH, Seo SH. Comparison analysi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work valu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expectation to be a nutrition teach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3): 361-373.
  16. Kim HK, Khil J. Job analysis and satisfaction of dietitians, nutrition teacher in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type in Gwangju and Jeonnam area. Korean J Nutr 2012; 45(3):274-282. https://doi.org/10.4163/kjn.2012.45.3.274
  17. Hong YS, Lee JH. Current status and strategic plan of nutrition education comparing nutrition teachers with dietitians in schools, Gyeo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33-242. https://doi.org/10.5720/kjcn.2013.18.3.233
  18. Youn JS, Kim OS, Hwang SY, Chung YK, Kang KO. The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management for school dietitians in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2): 256-264.
  19. Kim GM, Lee YH.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2003; 9(1): 57-70.
  20.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05; 11(4): 393-404.
  21.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2006; 39(4): 403-416.
  22. Cho YO.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cooking employees in Jeonnam school foodservice [dissertation]. Mokp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3.
  23. Ko HS.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s: focus on Daejeon and Chungnam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s [dissertation]. Industrial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3.
  24. Kang KO. Studies on the sanitary recogn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2): 264-275.

Cited by

  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Foodservice Operati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Tasks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Jeju, Korea vol.9, pp.10, 2017, https://doi.org/10.3390/nu9101157
  2. 급식종사자의 급식관리 지식수준에 따른 급식관리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충북지역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vol.34, pp.1, 2021, https://doi.org/10.9799/ksfan.2021.3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