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f Medical Act Article 34 the Amendment

의료법 34조 개정(안)에 대한 소고

  • 전영주 (조선이공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Received : 2014.10.13
  • Accepted : 2014.11.27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said that it issued advance notice of the amendment of medical act article 34 on Oct. 29 of last year. Another issue at the heart of controversy in 2009 was telemedicine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ose in the dead zone of medicine and supporting medical service industry. It failed, however, to enact legislation due to the strong opposition from medical profession as well as the apprehension about abuse of medical treatment and the rise of medical expenses. To amend and legislate a law, it is needed in advance to examine and analyze the rationality, propriety and feasibility of it.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amending a medical act, the validity should be acknowledged only when the right to life and health of the people is protected. Medical act article 34 is in the state of drift because of stiff resistance from medical and civic groups. This study purpose of analyze and to explain the amendment of recent proposition of Medical Act Article 34 and to suggest possible improvement methods.

정부는 작년 10월 29일 의료법 34조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과거 2009년 7월 29일에도 정부는 "의료사각 계층 해소 및 의료서비스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의료인과 환자간의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한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지만 의료계의 반발과 의료의 남용, 의료비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는 반대여론에 밀려 결국 국회입법에 실패했었다. 그런데 또다시 의료법 34조 개정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 법률을 개정하고 입법하기 위해서는 법의 합리성, 타당성, 실현가능성 등 충분한 검토와 부작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행해야 한다. 특히,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의료법 개정은 반드시 국민의 생명과 건강권이 담보되어야만 입법 취지의 타당성이 인정된다. 현재 의료법 34조 개정안은 의료단체 및 시민단체 등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아직까지도 표류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법 34조 개정안을 분석하고, 문제점 도출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화신, "원격의료에서 의사의 책임원리", 비교사법, 제15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p.561, 2005.
  2. 이우정, 홍승욱, 박정화, 정영철, "의료법상의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쟁점",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1집, 제1호, pp.50-51, 2003.
  3. 문종윤, 유병인, 박관준, 최종윤, 장원기, 박윤형, "환자-의사 간 원격의료 제도 도입에 대한 법적 사회적 적합성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1집, 제2호, pp.203-206, 2013.
  4. 장욱, 이승환, 김춘배, 김기경, "우리나라 원격의료제도의 개선을 위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8집, 제1호, p.84, 2010.
  5. 전영주,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19권, 제8호, p.170, 2014.
  6. http://www.moleg.go.kr/-paper.html
  7. http://likms.assembly.go.kr/-paper.html(이하 의안번호, 19099995를 바탕으로 연구)
  8. G. Wagnild, C. Leenknecht, and J. Zauher, "Psychiatrists Satisfaction with Telepsychiatry," Telemedicine and e-Health, Vol.12, Iss.5, pp.546-551, 2006. https://doi.org/10.1089/tmj.2006.12.546
  9. L. Lamothe, J. Fortin, F. Labb'e, M. Gatnon, and K. Messikh, "Impacts of Telehomecare on Patients, Providers, and Organizations," Telemedicine and e-Health, Vol.12, No.3, pp.363-369, 2006. https://doi.org/10.1089/tmj.2006.12.363
  10. M. Wallwiener, C. W. Wallwiener, J. K. Kansy, H. Seeger, and T. K. Rajab, "Impact of electronic messaging on th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Vol.15, No.5, pp.243-250, 2009. https://doi.org/10.1258/jtt.2009.090111
  11. G. King, H. Richards, and D. Godden, "Adoption of telemedicine in Scottish remote and rural general practices: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Vol.13. No.8, pp.382-386, 2007. https://doi.org/10.1258/135763307783064430
  12. 주지홍,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개정안에 대한 소고",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66-67, 2009.
  13. 백경희, 장연화, "대면진료와 원격의료의 관계에 관한 법적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법학, 제21집, 제3권, pp.473-474, 2014.
  14. 이얼, "의료법상 직접진료 원칙과 그 예외에 관한 소고:,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제22권, 제2호, pp.190-192, 2014.
  15. 최봉문, 조병호, 박환용, "고령자 중심의 헬스케어 도입을 위한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20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