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Based on Integrated Understanding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 Received : 2015.01.12
  • Accepted : 2015.02.05
  • Published : 2015.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op-ranked high school students do integrated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For here, the meaning of integrated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is whether students understand tangent and velocity problems, which are occurrence contexts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by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and organically understand the concept, algebraic and geometrical expression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and applied situations about a differential coefficient. For this, 38 top-ranke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S high school, located in Cheo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analysis. The test was developed with high-school math II textbooks and various other book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ractising teachers and experts. It is composed of 11 questions. Question 1 and 2-(1) a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and algebraic and geometrical expression, question 2-(2) and 4 a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occurrence context of the concept and the concept itself, question 3 and 10 a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pression with algebra and geometry. Question 5 to 9 are about applied situations. Question 6 i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question 8 i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and expression with algebra, question 5 and 7 a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used besides math, and expression with geometry and question 9 i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used within math, and expression with geometry. The research shows the high rate of students, who organizationa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and algebraic and geometrical expression. However, for other connections, the rates of students are nearly half of it or lower than half.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상위권 학생들이 미분계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여기서 미분계수 개념의 통합적 이해란 미분계수의 발생맥락인 접선문제와 속도문제를 미분계수 개념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미분계수 개념, 미분계수의 대수적 기하적 표현, 미분계수를 다루는 응용 상황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청주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 2학년 상위권 학생 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미분계수 개념의 통합적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수학II 교과서와 여러 책을 참고하여 검사지를 개발한 후 현장 교사들과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검사지는 총 1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 1과 2-(1)은 미분계수 개념과 대수 기하 표현의 연결을, 문항 2-(2)와 4는 미분계수 개념의 발생맥락과 미분계수 개념의 연결을, 문항3과 10은 미분계수의 대수 표현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항 5~9는 미분계수의 응용상황들로 구성되었는데 문항 6은 미분계수 개념과 응용의 연결을, 문항 8은 미분계수의 응용과 대수 표현의 연결을, 문항 5와 7은 미분계수의 수학 외에서의 응용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문항 9는 수학 내에서의 응용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미분계수의 개념과 대수 기하 표현의 연결이 잘 이루어진 학생들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연결이 잘 이루어진 학생들의 비율은 거의 절반이거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향임 (2012).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학교수학, 14(4), 409-429. (Kang, H. I. (2012). Students' Reinvention of Derivative Concept through Construction of Tangent Line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al Modeling, School Mathematics, 14(4), 409-429.)
  2. 김승호 (1987). 교육의 과정에 있어서 개념의 위치 -인식의 틀로서의 개념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S. H. (1987). Position of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Concept as a Framework for Recogni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김혁재 (2000). 고등학교 학생의 미분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 및 오류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H. J. (2000).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Misconception and Error for the Differenti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4. 김현정 (2008). 로그 개념에 대한 이해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H. J. (2008).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Logarithm,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류희찬․조완영․손홍찬․조정묵․이병만․김용식․임미선․선미향․유익승․한명주․박원균․남선주․정성윤 (2010).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미래엔 (Lew, H., C. Cho, W. Y. , Son, H. C., Cho, J. M., Lee, B. M., Kim, Y. S., Lim, M. S., Seon, M. H., Lyou, I. S., Han, M. J., Park, W. G., Nam, S. J. & Jeong, S. Y. (2010). High School Math II, Seoul: Mirae-N.)
  6. 박선화 (1998). 수학적 극한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ark, S. H. (1998).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limit concept,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7. 박희진 (2007). 학생들의 미분개념 오류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ark, H. J. (2007). A Research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rrors that Students Make in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8. 송정화.신은주 (2006).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미분개념의 도입 방안. 교과교육학연구, 10(2), 595-614. (Song, J. H., Shin, E. J. (2006). A Study on the Teaching of Calculus Based on Historico-Genetic Principle, Journal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tudies, 10(2), 595-614.)
  9. 우정호 (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Woo, J. H. (2007). Educational Foundation of the School Mathema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0. 윤종관 (2003). 고등학교 학생들의 삼각함수에 대한 이해 실태 분석 및 오류 지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Youn, J. G.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Trigonometric Function and Correcting their Errors,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11. 이경화.신보미 (2005). 상위 집단 학생들의 함수의 연속 개념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15(1), 39-56. (Lee, K. H., Shin, B. M. (2005).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5(1), 39-56.)
  12. 이종희 (1999). 이해에 대한 수학교육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Lee, J. H. (1999). A Study on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Education,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이호철 (2005). 미분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한 연구 -수학 II 중에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ee, H. C. (2005). Research on the Error that Results during Differential Problem-Solving Process: in Math II,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14. 임선정 (2005).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개념 이해와 수학적 사고 스타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im, S. J. (2005). A Study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Differentiation and Mathematical Thinking Style of High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정연준 (2010). 미분계수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2(2), 239-257. (Joung, Y. J. (2010). An Investigat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erivative Concept, School Mathematics 12(2), 239-257.)
  16. 정영옥 (2012). 수학적 지식 구성의 사회적 인식론 고찰 -Steinbring의 인식론적 삼각형을 중심으로-. 과학교육 논총, 25(1), 23-53. (Chong, Y. O. (2012). Reflections on the Social Epistemology of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Focused on Steinbring's Epistemological Triangle,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25(1), 23-53.)
  17. 정인철 (2003). 수학교육에서 이해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1), 11-18. (Jung, I. C. (2003). Meaning and Structure of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1), 11-18.)
  18. 정현아 (2008). 고등학교 10-나 단계 삼각함수 개념의 이해와 지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Jeong, H. A. (2008).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out Concept of Trigonometric Function on Step 10-Na of High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 조완영 (2012). 예비교사의 미분영역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학교수학, 14(2), 233-253. (Cho, W. Y. (2012).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School Mathematics, 14(2), 233-253.)
  20. 최나영 (2001). 미분개념에 대한 오류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함수와 도함수 사이의 그래프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Choi, N. Y. (2001). A Study of Error and Misconception in the Concepts of Calculus: On the Basis of the 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Derivativ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1. 최승현 (2014). 고등학생들의 함수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Choi, S. H. (2014).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Functions,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2. 현원동 (2003). 수학교과서에서 나타난 미적분 개념의 접근방식과 학생들의 미적분 개념의 이해.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yeon, W. D. (2003). The Approach of the Concept of Calculus Shown in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of Calculu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3. Ferrini-Mundy, J. and Lauten, D. (1993). Teaching and learning calculus. In P. S. Wilson(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High School Mathematics (pp. 155-17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search Interpretation Project.
  24. Giambrone, T. M. (1983). The Philosophy Study of Epistemological nature of the Attainment of Understanding Mathematics.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5. Haylock, D. W. (1982).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Making connections. Mathematics Teaching, 98, 54-56.
  26. Steinbring, H. (2005). The Construction of New Mathematical Knowledge in Classroom Interaction-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NY: Springer.
  27. Stewart, J. (2008). Calculus. Albert Complex: Brooks/Cole. 수학교재편찬위원회 역(2009). 미분적분학. 서울: 청문각.
  28. Tall, D. (1987). Constructing the concept image of a tangent. Proceedings of PME 11, Montreal, 3, 69-75.
  29. Tall, D.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류희찬․조완영․김인수 역(2003). 고등수학적 사고. 서울: 경문사.
  30. Zandieh, M. (1998). The Role of a formal definition in nine students' concept image of derivative. In S. Berenson, K. Dawkins, M. Blanton, W. Coulombe, J. Klob, K. norwood, & L. Stiff (Eds.), Proceedings of the 20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36-141).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ited by

  1. 이차함수에서 두 변량사이의 관계 인식 및 표현의 발달 과정 분석: 민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vol.54, pp.4, 2015,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4.299
  2.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의 관계에서 거리함수의 상수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 vol.56, pp.4, 2015, https://doi.org/10.7468/mathedu.2017.56.4.387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정적분의 도입 및 활용 분석 vol.57, pp.2, 2015, https://doi.org/10.7468/mathedu.2018.57.2.157
  4. The Effect of Teaching Differential Coefficients in Social Science Contexts for High School Students vol.22, pp.5, 2018,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326
  5. High School Students’ Process-object Understanding of Derivatives at a Point in Multiple Contexts vol.29, pp.4, 2015,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