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and Parents' Neglect/Abuse as Perceived by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성별과 학년 시기별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Received : 2014.12.15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parents' neglect/abuse as perceived by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The participants were 5th and 6th grade children and the instruments were parents' neglect/abuse scal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Using Korea Youth Panel data of Child Youth Policy Institute of Korea, 5th and 6th grad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eglect/abuse as perceived by childre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Children who had perceived more parents' neglect/abuse we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in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 parents' neglect and abuse is needed by showing the stability of the child's perception of the parents' neglect and abuse during the 5th-6th grade.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아동의 지각에 있어서 성별과 학년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종단적으로 탐색하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 2,264명과 3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6학년 2,2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성별과 학년 시기별에 따라 다르고 종단적으로 남아와 여아 모두 부모의 방임/학대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5, 6학년 시기에 안정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모의 학대와 방임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아, 류점숙, 신효식 (199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부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2), 43-55.
  2. 곽수란 (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3. 권지은, 이은정, 노충래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 교사 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2, 29-54.
  4. 금지헌, 손찬희, 채수은, 강성국 (2013).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0(2), 119-143.
  5. 길경숙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 학회지, 2(2), 147-164.
  6. 김미숙, 박명숙 (2004). 아동의 학습능력 저해요인으로서의 학대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5), 29-40.
  7. 김미정, 염동문 (2012). 아동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409-430.
  8.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4).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청소년연구, 25(4), 5-33.
  9.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종범 (2009).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6(2), 25-48.
  11. 김평화, 윤혜미 (2013).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결핍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41, 217-239.
  12. 김현옥 (2014). 학대피해경험이 아동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아-레질리언스의 조절 효과: 신체적 학대 피해경험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3(3), 25-43.
  13. 김혜금 (2014).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2(1), 11-19. https://doi.org/10.6115/fer.2014.52.1.11
  14. 나은숙, 정익중 (2007).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 성향, 자기 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관계. 아동복지학, 28(4), 35-49.
  15. 도현심, 김민정, 박보경, 황영은 (200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공격성 및 친사회성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85-195.
  16. 류경희 (2003).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41(12), 147-168.
  17. 문은식, 김충희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16(2), 219-241.
  18.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경인, 정승원, 신안나 (2013). 초.중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프로파일 분석: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2), 91-118.
  20. 박기원 (2014).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1), 1-15. https://doi.org/10.5723/KJCS.2014.35.1.1
  21. 박민정, 최보가 (2001). 아동학대 및 학교에서의 폭력경험과 아동의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3), 105-118.
  22. 박성혜, 윤종희 (2013).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147-169.
  23. 박영준, 성효정 (2014). 보호자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6, 85-114.
  24. 배화옥 (2010).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 아동과 권리, 14(2), 193-217.
  25. 오채미, 공인숙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39-149.
  26. 이영분, 김나예 (2012).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9, 151-180.
  27. 이은영, 김경혜 (2005).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0(1), 105-119.
  28. 이재성, 문영경, 최형임 (2012).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1(2), 233-246.
  29. 조은정 (2012).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학대경험 아동집단과 비경험 아동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9, 138-164.
  30. 조은정 (2013). 사회적 지지가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1(1), 17-26. https://doi.org/10.6115/khea.2013.51.1.017
  31.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 2013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32. 하명선, 이순복 (200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3), 247-258.
  33.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Al-Fayez, G. A., Oheari, J. U., & Gado, O. M. (2012). Prevalence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abuse among a nationwide sample of Arab high school students: Association with family characteristics, anxiety,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7(1), 53-66. https://doi.org/10.1007/s00127-010-0311-2
  35. Appleton, J. V., & Sidebotham, P. (2012). Child protection and mental health. Child Abuse Review, 21(3), 153-156. https://doi.org/10.1002/car.2220
  36. Arata, C. M., Langhinrichsen-Rohling, J., Bowers, D., & O'Farrill-Swails, L. (2005). Single versus multi-type maltreatment: An examination of the long-term effects of child abus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1(4), 29-52. https://doi.org/10.1300/J146v11n04_02
  37. Christoffersen, M. N., & DePanfilis, D. (2009).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and improvements in child development. Child Abuse Review, 18(1), 24-40. https://doi.org/10.1002/car.1029
  38. Cicchetti, D., & Toth, S. (1995).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of child maltreatmen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4(5), 541-565. https://doi.org/10.1097/00004583-199505000-00008
  39. Eckenrode, J., Laird, M., & Doris, J. (1993). School performance and disciplinary problems among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53-62. https://doi.org/10.1037/0012-1649.29.1.53
  40. Gil, D. G. (1971). Violence agains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4), 637-648. https://doi.org/10.2307/349436
  41. Grusec, J. E., & Goodnow, J. J. (1994). Impact of parental discipline methods on the child's internalization of values: A reconceptualization of current points of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30(1), 4-19. https://doi.org/10.1037/0012-1649.30.1.4
  42. Kim, J., & Cicchetti, D. (2010). Longitudinal pathways linking child maltreatment, emotion regulation, peer relations,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1(6), 706-716.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9.02202.x
  43. Kinard, E. M. (2001). Perceived and actual academic competence in maltreated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25(1), 33-45. https://doi.org/10.1016/S0145-2134(00)00219-2
  44. Koizumi, M., & Takagishi,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emotion recognition. PLoS ONE, 9(1), 1-4.
  45. Ladd, G. W. (1990).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1(4), 1081-1100. https://doi.org/10.2307/1130877
  46. Lee, V., & Hoaken, P. N. S. (2007). Cognition, emotion, and neurobiological development: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maltreament and aggression. Child Maltrement, 12(3), 281-298. https://doi.org/10.1177/1077559507303778
  47. Marshall, B. D. L., Galea, S., Wood, E., & Kerr, T. (2013).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types of childhood trauma and suicidal behavior among substance users: A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3(9), e69-e75. https://doi.org/10.2105/AJPH.2013.301257
  48. Mastern, A. S., & Coatsworth, J. D. (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https://doi.org/10.1037/0003-066X.53.2.205
  49. Maughan, D., & Moore, S. C. (2010). Dimensions of child neglect: An exploration of parental neglect and its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Child Welfare, 89(4), 47-65.
  50. Norman, R. E., Byambaa, M., De, R., Butchart, A., Scott, J., & Vos, T. (2012). The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of child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Medicine, 9(11), 1-31.
  51. Rees, S., Silove, D., Chey, T., Ivancic, L., Steel, Z., & Creamer, M. (2011). Lifetime prevalence of gender-based violence in women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6(5), 513-521. https://doi.org/10.1001/jama.2011.1098
  52. Shields, A., & Cicchetti, D. (2001). Parental maltreat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risk factors for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 349-36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003_7
  53. Snoeren, F., Hoefinagels, C., Evers, S. M. A. A., & Lamers-Winkelman, F. (2013). Design of a prospective study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altreated children(aged 5-16 years) after a report to an advice and reporting center on child abuse and neglect. BMC Public Health, 13(1), 1-21. https://doi.org/10.1186/1471-2458-13-1
  54. Spann, M. N., Mayes, L. C., Kalmar, J. H., Guiney, J., Womer, F. Y., & Pittman, B. (2012). Childhood abuse and neglect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adolescents. Child Neuropsychology, 18(2), 182-189. https://doi.org/10.1080/09297049.2011.595400
  55. Sperry, D. M., & Widom, C. S. (2013). Child abuse and neglect, social support, and psychopathology in adulthood: A prospective investigation. Child Abuse & Neglect, 37(6), 415-425. https://doi.org/10.1016/j.chiabu.2013.02.006
  56. Widom, C. S., Czaja, S. J., Bentley, T., & Johnson, M. S. (2012).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physical health outcomes in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New findings from a 30-year follow-up.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6), 1135-1144. https://doi.org/10.2105/AJPH.2011.300636
  57. Wodarski, J. S., Kurtz, P. D., Gaudin, J. M., & Howing, P. T. (1990). Maltreatment and the school age child: Major academic, socioemotional, and adaptive outcomes. Social Work, 35(6), 506-513. https://doi.org/10.1093/sw/35.6.506
  58. Young, R., Lennie, S., & Minnis, H. (2011).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emotional neglect and control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2(8), 889-897. https://doi.org/10.1111/j.1469-7610.2011.02390.x
  59. Zimmerman, M. A., Ramirez-Valles, J., Zapert, K. M., & Maton, K. L. (2000).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buffering effects for urban African American mal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8(1), 17-33.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200001)28:1<17::AID-JCOP4>3.0.CO;2-I
  60. Zolotor, A., Kotch, J., Dufort, V., Winsor, J., Catellier, D., & Bou-Saada, I. (1999). School performance in a longitudinal cohort of children at risk of maltreatment.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3(1), 19-27. https://doi.org/10.1023/A:1021858012332

Cited by

  1. 부모의 방임·학대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vol.12,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19
  2.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neglect, emotional problems and mobile phone usage: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pproach to a longitudinal study vol.27, pp.4, 2015, https://doi.org/10.14816/sky.2016.27.4.115
  3.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관적응에 미치는 효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3, pp.1,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