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Content Repertoire Development and Difference Analysis: Focus on the Entertainment Content

미디어-콘텐츠 레퍼토리 개발 및 유형별 특성 분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10.24
  • Accepted : 2014.12.2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Media-content repertoire', which indicates the set of favorite media-content combinations of media users and extracted five media user types based on those combinations. We used the range of media(i.e., smartphone, tablet, PC, and TV) and entertainment content(i.e., movie, broadcasting, music, and game) for the analysis. Also,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ype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buying behavior and we foun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among them. Those include 'non-user'(i.e., lower level of media use), 'screen user'(i.e., 50s, TV-centered media use), 'variety seeker'(i.e., 20s. heavy public transport user), 'selective focus'(i.e., 20,30s, movie&broadcasting-centered media use), and 'heavy user'(i.e., high level of media use and consumption). The results provide both academic implications(e.g., extension of media repertoire concept) and practical implications(e.g., direction to the target marketing for each user type).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 레퍼토리'(미디어 이용자들이 주로 소비하는 미디어-콘텐츠 조합)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이용자들의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TV의 네 가지 미디어와 영화, 방송, 음악, 게임의 네 가지 콘텐츠로 미디어-콘텐츠 조합을 구성하여 각 조합 별 이용 시간에 따라 5개의 레퍼토리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 별 인구통계 변수, 개인 성향, 콘텐츠 구매 행태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미디어 이용 및 콘텐츠 구매가 적은 저이용군, 50대 이상으로 주로 TV를 이용하는 스크린이용군, 20대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간이 많은 버라이어티군, 20,30대 중심으로 영화 및 방송을 이용하는 선택적 집중군, 30,40대 중심으로 콘텐츠 이용량이 많은 헤비유저군 등 5개 레퍼토리 군집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의 개념을 확장하고 레퍼토리 별 특성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플랫폼 운영자와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각 이용자 그룹의 특성을 제공하고 세부 타깃별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준, 조성동, "다채널 시대 시청행태 변화에 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5권, 제2호, pp.7-45, 2007.
  2. 박승우, "N 스크린 시대 한국영화콘텐츠 이용자의 이용매체 및 이용동기 차이 분석: 한.중.일이용자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655-66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655
  3. 신동희, 김희경,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1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001
  4. 이재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 멀티플랫포밍 이론의 구성과 적용", 방송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285-317, 2006.
  5. H. Taneja, J. G. Webster, E. C. Malthouse, and T. B. Ksiazek, "Media consumption across platforms: Identifying user-defined repertoires," New Media & Society, Vol.14, No.6, pp.951-968, 2012. https://doi.org/10.1177/1461444811436146
  6. E. J. Yuan and J. G. Webster, "Channel repertoires: Using peoplemeter data in Beij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0, No.3, pp.524-536, 2006.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5003_10
  7. 이찬구, "다매체 시대, 군집 유형에 따른 미디어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상대적 미디어 이용자 수를 이용하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p.201-242, 2009.
  8. C. Heeter and B. S. Greenber, Cableviewing, Ablex Norwood: NJ, 1988.
  9. C. Heeter, "Program selection with abundance of choi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1, pp.126-152, 198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5.tb00070.x
  10. D. A. Ferguson and S. R. Melkote, "Leisure time and channel repertoire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14, No.2, pp.189-194, 1997. https://doi.org/10.1080/08824099709388660
  11. K. A. Neuendorf, D. J. Atkin, and L.W. Jeffres, "Reconceptualizing channel repertoire in the urban cable environ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5, No.3, pp.464-482, 2001.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503_6
  12. 강남준, "다채널 수용자의 채널이용 집중과 분극-채널레퍼토리 구성차이에 따른 채널이용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152-178, 2008.
  13. 심미선, "지상파 텔레비전에서의 프로그램 레퍼토리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85-125, 2005.
  14. 윤해진, 문성철, "지상파 프로그램 레퍼토리 유형화와 레퍼토리 형성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3호, pp.251-301, 2011.
  15. J. Reagan, B. Pinkleton, C. Chen, and D. Aaronson, "How do technologies relate to the repertoire of information sourc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12, No.1, pp.21-27, 1996. https://doi.org/10.1016/0736-5853(94)00035-R
  16. 황용석, "웹 레퍼토리와 집중도 연구", 방송통신 연구, 제54권, 제13호, pp.371-398, 2002.
  17. K. Van Rees and K. Van Eijck, "Media repertoires of selective audiences: The impact of status, gender, and age on media use," Poetics, Vol.31, No.5, pp.465-490, 2003. https://doi.org/10.1016/j.poetic.2003.09.005
  18. 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미디어 레퍼토리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1호, pp.62-95, 2009.
  19. 강미선, "매체조합(Media Set)으로 본 다중매체 소비행동연구", 광고연구, 제77권, pp.9-35, 2007.
  20. 윤해진, 문성철,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콘텐츠 소비",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325-369, 2010.
  21. 이현우, 오형일, "지상파 콘텐츠 시청서비스 조합유형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4호, pp.251-293, 2013.
  22. 김성태, "청소년 미디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1호, pp.82-106, 2010.
  23. 심미선, "다매체 시대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351-390, 2007.
  24.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01-21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01
  25. S. C. S. Li,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s to adopt internet shopping and cable television shopping in Taiwan," New Media & Society, Vol.6, No.2, pp.173-193, 2004. https://doi.org/10.1177/1461444804038274
  26. J. Reagan, B. Pinkleton, A. Thornsen, M. Miller, and J. Main, "Motivations as predictors of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s: Traditional media and new technologi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15, No.1, pp.1-10, 1998. https://doi.org/10.1016/S0736-5853(98)00001-X
  27. R. Agarwal and E. Karahanna,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Vol.24, No.4, pp.665-694, 2000. https://doi.org/10.2307/3250951
  28. 송치웅, 김왕동, 창조산업의 기술 및 수요기반 미래전망: 엔터테인먼트 산업(방송드라마, 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보고서, 2012.
  29. Harold L. Vogel, Entertainment Industry Economics, Cambridge Univ Pr, 2003.
  30.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년 콘텐츠산업 전망, KOCCA 보고서, 2014.
  31. 김민철, 신지형, 2013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32. S. W. Edison and G. L. Geissle, "Measuring attitudes towards general technology: Antecedents, hypotheses and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Targeting,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Marketing, Vol.12, No.2, pp.137-156, 2003. https://doi.org/10.1057/palgrave.jt.57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