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tilization of Big Data's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학과) ;
  • 김용문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4.10.20
  • Accepted : 2014.11.15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In today's data-driven society, we've been hearing a great deal about the power of Big Data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At the same time, it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the problems is caused by the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Moreover, Big Data has a wide applications ranging from situation awareness, decision-making to the area to enable for the foreseeable future with man-made and analysis of data. It is necessary to process data into meaningful information given that the huge amount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being created in the private and the public sector, even in disaster management. This data should be public and private sector at the same time for the appropriate linkage analysi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efficient Big Data to derive the revitalizatio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study obtained data on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to leverage Big Data for promotio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pla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promote common development challenges related to the openness and sharing of Big Data, technology and expansion of infrastructure,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were discussed.

최근 들어 빅 데이터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중심의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동시에 데이터의 수집, 관리 및 활용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빅 데이터는 가공과 분석에 따라 상황인식, 의사결정, 그리고 미래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심지어 재난관리에 있어서도 민간 및 공공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엄청난 양의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들을 의미 있는 정보로 가공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를 위해 공공과 민간 데이터가 동시에 연계 분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 연구 통해 국가 재난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재난관리의 빅 데이터 활용 촉진 방안에 대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역할을 각각 도출하였다.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는 재난관련 빅 데이터의 공개 및 공유, 기술 및 인프라의 확충, 법 및 제도적 정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 정보전달 시스템의 구축, 빅데이터 전문 인력의 양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민규, 최지영, "방재분야 발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과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1호, pp.88-94, 2014.
  2. T. C. Vincent and M. Jeryl, "Risk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an historical perspective," Reprinted from Risk Analysis, Vol.5, No.2, pp.103-120, 1985. https://doi.org/10.1111/j.1539-6924.1985.tb00159.x
  3. K. Louis Comfort, Designing Policy for Action: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L. K. comfort(ed), Managing Disaster, Do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Press, pp.3-21, 1988.
  4. 김태윤, "국가재해재난관리체계의 구조와 기능", 한국방재학회, 제4권, 제2호, pp.6-20, 2004.
  5. 채진, 효과적 재난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4.
  6. 채승병, "정보홍수 속에서 금맥찾기: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삼성경제연구소 경영 노트, 제91호, 2011.
  7. I DC, Digital Universe study, 2011.
  8. McKinsey & Company,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2011.
  9. P. Zikopoulos, C. Eaton, D. deRoos, T. Deutsch, and G. Lapis, Understanding Big Data: Analytics for Enterprise Class Hadoop and Streaming Data, McGraw Hill, 2012.
  10. Philip Hunter, "Journey to the center of Big Data," Engineering & Technology, Vol.8, No.3, pp.56-59, 2013.
  11. 김정숙, "빅 데이터 활용과 관련기술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1호, pp.34-40, 2012. https://doi.org/10.20924/CCTHBL.2012.10.1.034
  12. 이성훈, 이동우,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 고찰 및 시사점",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pp.229-233, 2013.
  13. Gartner, "How to Plan, Participate and Prosper in the Data Economy," Gartner Group, Vol.1, 2011.
  14. B. Danah and C. Kate, "Critical Questions for Big Data,"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5, No.5, pp.662-679, 2012. https://doi.org/10.1080/1369118X.2012.678878
  15. W. E. Forum, "Big Data, Big Impact: New Possibilitie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World Economic Forum, 2012.
  16. R. W. Marcus, and C. Roger, "Big Data's Big Unintended Consequences," Published by the IEEE Computer Society, pp.46-53, 2013.
  17.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 "빅 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제25권, 제10호, pp.37-74, 2013.
  18. 정지선, 新가치창출 엔진, 빅데이터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응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9. 최한석, 김세진, "공공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pp.18-25, 2013.
  20. 김현곤, "스마트국가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기상기술정책, 제6권, 제2호, pp.14-31, 2013.
  21. 최선화, 김진영, 이종국, "재난관리의 새로운 해결 방안, 빅데이터", 기상기술정책, 제6권, 제2호, pp.77-87, 2013.
  22. 송진희, 김정숙, "빅데이터 서비스의 선진사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2-37, 2014. https://doi.org/10.20924/CCTHBL.2014.12.1.032
  23. 임상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재난관리전략", 한국위기관리학회, 제10권, 제2호, pp.23-43, 2014.
  24. C. Pu and M. Kitsuregawa, "Big Data and Disaster Management: A Report from the JST/NSF Joint Workshop," Technical Report No. GIT-CERCS-13-09;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ERCS, pp.1-28, 2013.
  25. S. Kate, P. Leysia, L. H. Amanda, and V. Sarah, "Chatter on the red: What hazards threat reveals about the social life of microblogged information," CSCW, pp.1-10, 2010.
  26. 최우정, 이종국, 여운광,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안전 '스마트 빅보드 개발 착수 - 재난관리 3.0을 선도하는 새로운 플랫폼", 물과 미래, 제46권, 제9호. pp.73-78, 2013.
  27. 정창섭,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 구축연구", 한국지역정보개발원, pp.1-113, 2013.
  28.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115000659&md=20140118004436_BK
  29. 김배현, "해외 주요국가의 빅데이터 정책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38-4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038
  30. http://www.csmonitor.com/Innovation/Tech/2013/0607/How-big-data-helps-big-cities
  31. 윤미영, "신가치창출을 위한 주요국의 빅 데이터 추진전략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pp.1-25, 2012.
  32. 일본 총무성, "知識情報社會の實現に向けた情報通信政策の在り方 : Active Japan ICT 戰略", 자료39-3-2, 2012.
  33. 안문석, "정부3.0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융합전략", 기상기술정책, 제6권, 제2호, pp.6-13, 2013.
  34. H. Amur, J. Cipar, V. Gupta, R. G. Gregory, A. K. Michael, and K. Schwan, "Robust and Flexible Power-Proportional Storage," ACM, pp.1-12, 2010.
  35. 조영복, 우성희, 이상호, "중소기업에서 정부 3.0 기반의 빅 데이터 활용정책", 중소기업정보기술융합학회, 제3권, 제1호, pp.15-22, 2013.
  36. C. Yiu, "The Big Data Opportunity: Making government faster, smarter and more personal," Policy Exchange, pp.1-36, 2012.
  37. 이창범, "개인정보보호법제 관점에서 본 빅 데이터의 활용과 보호방안", 법학논집, 제37권, 제1호, pp.509-559, 2013.
  38. 김한나, "빅 데이터의 동향 및 시사점", 방송통신 정책, 제24권, 제19호, pp.49-67, 2013.
  39. 최선화, "빅데이터 기반 재난 전조 감지 모델",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2호, pp.149-157, 2014.
  40.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55515
  41. 김기봉, 김근채, 최새봄, "모바일 융합 R&D 전문 기업 육성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4호, pp.85-92,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4.85
  42. 정한민, 송사광, "빅 데이터 시대의 인재 양성전략",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3권, 제3호, pp.48-53, 2012.
  43. 김재생, "빅 데이터 분석기술과 활용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14-2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