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Marine Pollution Management Cause using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해양오염관리 유인(誘因) 분석

  • Moon, Jung-Hwan (Department of Coast Guard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 Ha, Min-Jae (Department. of Coast Guard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un, Jong-Hwui (Department of Coast Guard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문정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하민재 (전남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 윤종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Received : 2014.08.29
  • Accepted : 2015.02.02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dynamic phenomenon of the marine pollution management that i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by using system dynamics analysis. The method used herein is based on system dynamics analysis that analyzed the sub-systems for marine pollution management. Furthermore designed feedback loop between system elements. And made total casual map of marine pollution management. The main results of the paper are the following : 1. It's necessary to equipments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law revision for feedback loop slump of initial measures delay in oil spill. 2. It should be come up with partnerships and new business for community corrosion non-proliferation caused by social conflicts. 3. Marine pollution management should be an obligation that must be minimized to include social conflicts in the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besides oil spill response on-site. This model confirmed the hidden cause of delay by existing response plans, manuals and programs. And oil spill response in broader sense is more important from now on. The result can be useful in the guidance of marine pollution and management.

이 논문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해양오염관리의 동태적 현상을 파악하고 해양오염 및 관리 유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해양오염 및 관리에 대한 하위 시스템을 분석하고 시스템 구성요소간의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오염관리의 전체적인 인과지도(Casual map)를 작성하였다. 이 논문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름유출시 초동방제 유인간 시간지연에 따른 피드백 루프 침체에 대한 장비 및 기술개발, 법률적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갈등으로 발생된 부식공동체 확산방지를 위한 협력체 구성 및 신사업 창출을 통한 생계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기름유출의 해양오염관리를 단순히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방제뿐만 아니라 유출로 인한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의 사회적 갈등까지 최소화시켜야할 책무도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양오염관리 모델을 통해 기존 방제계획, 매뉴얼 및 대응 프로그램의 개선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시간지연 등의 숨은 유인(Hidden cause)을 확인하고, 광의의 방제활동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인지하여,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oo, B. J., Jung Y. S.(2006), "Analysis of residents participation cause using system dynamics" ,The Korea Loacl Administration
  2. Kim, D. H., Moon, T. H., Kim D. H.(2001), System Dynamics, Daeyoung
  3. Kim, S. W.(2008), "Hebei spirit oil spill and response system improvement plan",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4. Kwon, K. S.(2012), "The development of multi-joint Liquid Spill Stopper"
  5. Peter M Senge(1996), The Fifth Discipline, pp. 501-518.
  6. Yun, J. H., Gook, S. K., Kim S. W., Moon J. H., Yun H. S.(2010), "A Study on improvement of current national response capability",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Cited by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Risk Mapping Program for Marine Oil Spills vol.22, pp.5, 2016, https://doi.org/10.7837/kosomes.2016.22.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