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Ranking Determination of Comb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식중독 세균과 주요 축산식품 및 가공품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 Hong, Soo-Hye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Park, Na-Yo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Jo, Hye-J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Ro, Eun-Yo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Ko, Young-Mi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Na, Yu-J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Park, Keun-Cheol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Choi, Bum-Ge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 Min, Kyung-J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angan University) ;
  • Lee, Jong-Ky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Women's University) ;
  • Moon, Jin-San (Veterinary Pharmaceutical Management Division, Animal and Quarantine Agency) ;
  • Yoon, Ki-S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hee University)
  • 홍수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나윤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조혜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노은영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고영미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나유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근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범근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민경진 (장안대학교 식품영양과) ;
  • 이종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4.07.22
  • Accepted : 2014.11.19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isk ranking of the combination of pathogen-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public health risks and to prioritiz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irst, we reviewed foodborne outbreak data related to livestock products and determined main vehicles and pathoge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outbreak and case. Second, expert's opinion about management priority of pathogen-livestock product pairing was surveyed with 19 livestock experts in the university, research center, and government agency. Lastly, we used the outcome of Risk Ranger (semi-quantitative risk ranking tool) of 14 combinations of pathogen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We have classified the combination of pathogen-livestock products into group I (high risk), II (medium risk), and III (low risk) according to their risk levels and management priority. Group I, which is the highest risk for foodborne outbreak, includes Salmonella spp./egg and egg products, Campylobacter spp./poultry, pathogenic E. coli/meat and processed ground mea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specific guideline of mid- and long-term planning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prioritization of the combination of pathogen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가공협회: 식육가공품 생산 및 판매 현황. Available from http://www.kmia.or.kr/infocenter/infocenter2.html. Accessed on June 15, 2014 (2014).
  2. Lund, B.M., Baird-Parker, T.C. and Gould, G.W.: The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food. Aspen Publishers, Inc., Maryland, pp. 361-383 (2000).
  3. Borch, E. and Arinder, P.: Bacteriological safety issues in red meat and ready-to-eat meat products, as well as control measures. Meat Sci., 62, 381-390 (2002). https://doi.org/10.1016/S0309-1740(02)00125-0
  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 발생 현황.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e-stat/index.do. Accessed on Dec. 16, 2013 (2013).
  5. FDA's fresh produce risk ranking tool. Available from http://www.foodrisk.org/exclusives/RRT/. Accessed on June 1, 2013 (2010).
  6. Australia's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Risk Ranger.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centere.com.au/riskranger.php. Accessed on June 1, 2013 (2010).
  7. Ross, T. and Sumner, J.: A simple, spreadsheet-based, food safety risk assessment tool. Int. J. Food Microbiol., 77, 39-53 (2002). https://doi.org/10.1016/S0168-1605(02)00061-2
  8. Sumner, J., Ross, T., Jenson, I. and Pointon, A.: A risk microbiological profile of the Australian red meat industry: risk ratings of hazard-product pairings. Int. J. Food Microbiol., 105, 221-232 (2005).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5.03.016
  9. Mataragas, M., Skandamis, P.N. and Drosinos, E.H.: Risk profiles of pork and poultry meat and risk ratings of various pathogen/product combinations. Int. J. Food Microbiol., 126, 1-12 (2008).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8.05.014
  10. Perni, S., Beumer, R.R. and Zwietering, M.H.: Multi-tools approach for food safety risk management of steam meals. J. Food Prot., 72, 2638-2645 (2009).
  11. Chen, Y., Dennis, S.B., Hartnett, E., Paoli, G., Pouillot, R., Ruthman, T., and Wilson, M.: FDA-iRISK-A comparative risk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ng and ranking food-hazard pairs: case studies on microbial hazards. J. Food Prot., 76, 376-385 (2013). https://doi.org/10.4315/0362-028X.JFP-12-372
  12. FAO/WHO. Risk assessments of Salmonella in eggs and broiler chickens. (2002).
  13. 윤장원: 국내 시가독소원성 대장균 감염증 관련 연구에 관한 제언. Safe Food, 4, 33-36 (2009).
  14. 이종경, 박인희, 윤기선, 김현정, 조준일, 이순호, 황인균: 최근 2년간 (2009-2010)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역학조사 보고서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7, 366-374 (2012).
  15. ECDC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ve and Control): Annual epidemiological report on communicable diseases in Europe. (2009).
  16. 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 focus on Campylobacter jejuni. (2010).
  17. CJ 품질안전센터. Available from http://cjfoodsafety.tistory.com/126. Accessed Oct. 23, 2013 (2013).
  18. Ro E.Y.: Survival of pathogenic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and control with calcium oxide in frozen meat products.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2014).
  19. 황원무, 이성모, 황현순, 한정희: 인천지역 도축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7, 7-15 (2004).
  20. 나인택, 임홍규, 조미영, 이양수, 이병동: 소와 돼지 도체 표면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 검색.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5, 9-14 (2002).
  21. 김주영, 이주형, 기노준, 이정학: 서울지역에서 도축된 식육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 검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8, 215-223 (2005).
  22. 강호조, 김용환, 손원근: 식중독균의 정량시험에 의한 시판 식육 및 계육의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 204-208 (2000).
  23. 양정임, 이선민, 이길, 이환주, 김민규, 정은정, 차용준: 국내유통 축산물에서의 Staphylcoccus arueus 오염도 및 항생제 감수성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528-533 (2008).
  24.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25. 황원무, 이성모, 황현순, 한정희: 인천지역 도축장에서 생산된 닭고기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예방수의학회지, 28, 59-65 (2004).
  26. 우용구: 우리나라 도계장 수거계육의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조사. 미생물학회지, 43, 186-192 (2007).
  27. 나호명, 고바라다, 박성도, 김용환: 도계장 도계의 Campylobacter 균 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0, 77-84 (2007).
  28.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 평가. (2001).
  29.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 평가. (2004).
  30. 민경진, 황인균, 이순호, 조준일, 윤기선: Risk Ranger를 활용한 잠재적 위해식품과 미생물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6, 91-99 (2011).
  3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연보 (2006).
  32.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연보 (2007).
  33.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연보 (2008).
  34. 성명숙, 김기석, 탁연빈: 도계과정에서의 Salmonella 속 균의 오염에 대하여. 한국예방수의학회지, 26, 195-205 (2002).
  35. Chang Y.H.: Prevalence of Salmonella spp. in poultry broilers and shell eggs in Korea. J. Food Prot., 63, 655-658 (2000).
  36. 우용구: 1996년도 서울.경기지역에서의 시판계육과 계란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미생물학회지, 41, 38-46 (2005).
  37. Baek S.Y., Lim S.Y., Lee D.H., Min K.H. and Kim C.M.: Incidence and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omestic and imported foods in Korea. J. Food Prot., 63, 186-189 (2000).
  38. 김영조, 문진산, 박현정, 허은정, 김지호, 이희수, 위성환: 국내산 조제유류에서 위해 미생물 모니터링.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5, 341-345 (2010).
  39. 황지연, 이지연, 박종현: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의 미생물 품질분석과 위해세균 모니터링.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8, 555-561 (2008).
  40.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결과보고서: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균의 위해순위 결정을 위한 도구 개발. (2012).
  41. Moon J.S., Lee A.R., Jaw S.H., Kang H.M., Joo Y.S., Park Y.H., Kim M.N. and Koo H.C.: Comparison of antibiogram, Staphylococcal enterotoxin productivity, and coagulase genotypes among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animal and vegetable sources in Korea. J. Food Prot., 70, 2541-2548 (2007).
  42. 박승용, 박정민, 양진오, 정후길, 전호남, 이병훈: 한국에 서 생산되는 UHT 우유의 살균 후 오염과 미생물학적 품질. 한국유가공기술학회지, 24, 9-18 (2006).
  43. 박경진: 국내 주요 가공식품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200-203 (2009).
  44. 박경진, 하상도, 오덕환: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식품 및 식중독 세균 우선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8, 36-40 (2013).

Cited by

  1. Analysis of the Recovery Rate of Food-borne Pathogens according to Sample Preparation Methods in Animal Origin Foods vol.31, pp.6, 2016, https://doi.org/10.13103/JFHS.2016.31.6.406
  2. Effect of ionized calcium on bacteria contamination in chicken carcass under slaughter process vol.8, pp.11, 2018, https://doi.org/10.1007/s13205-018-14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