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f Interpretations of Grandmothers' Childrearing Experiences

손자녀 양육지원 경험에 대한 할머니들의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 An, Heela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Gwangju University) ;
  • Kim, Seonmi (Dept. of Family Welfare, Gwangju University)
  • 안희란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복지전공)
  • Received : 2014.12.31
  • Accepted : 2015.02.06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interpretations of grandmothers' experiences rearing their grandchildren. For this study, 13 participants provided in-depth interview data, which was analyzed according to Spradely's ethnographic method. Based on the pattern of interpretations, nine concep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 repentance (compulsive decisions, passivity of the childrearing activity, non-compensation); (ii) sorrow (restrictions on everyday life, renunciation of occupational careers, worsened health); and (iii) satisfaction (decreased isolation in old age, proof of existence for their children, intimacy development with their grand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randmothers have a higher appreciation for the benefits of relational compensation than for personal cos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family welfare.

Keywords

References

  1. 정진웅(2012). 노년의 문화인류학. 파주: 한울.
  2. 강유진(2003).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31-146.
  3.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1). 맞벌이 가정내 조부모의 양육현황 및 지원방안 연구 : 영아가정을 중심으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4.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5. 김문정(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6), 914-923.
  6. 김은정(2008). 여성 노인의 생애구술을 중심으로 본 노년기 자아정체성의 형성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0(1), 27-67.
  7. 김은정(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1, 77- 213.
  8. 김은정(2011). 영유아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취업모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김은정.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 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177-213.
  10.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11. 김정석.김익기(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12. 노영주(1998).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박경숙.김영혜(2005). 생애를 통해서 본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역할의 의미. 경제와 사회, 68, 133-160.
  14. 박재흥(2003).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37(3), 1-23.
  15. 배진희(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육형 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16. 안희란.김선미(2014). 맞벌이 자녀를 둔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지원 양태와 그에 따른 삶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20.
  17. 육아정책연구소(2014). 손자녀 양육 경험이 중.노년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18. 윤현숙(2003).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3(3), 15-28.
  19. 이영숙(2010). 조모의 손자녀 돌봄만족과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취업모가정의 동거조모와 비동거조모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15-26. https://doi.org/10.5934/KJHE.2010.19.1.015
  20. 이은희.하주영.이정란.황은희(2009). 맞벌이 자녀를 둔 조모의 손자(녀) 돌봄 경험. 질적연구, 10(1), 1-13.
  21. 이현수(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심리적 체험연구. 질적연구, 8(1), 67-78.
  22. 이현지.윤은주(2011). 영유아 양육책임유형에 따른 조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4), 179-200.
  23.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 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3.
  24. 원서진(2011).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세대 가족과 비3세 대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33-56.
  25. 정재원.김문정(2010).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88-296. https://doi.org/10.4069/kjwhn.2010.16.3.288
  26. 조윤주(2006). 손자녀를 양육하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21.
  27. 통계청(2013). 2012년 맞벌이가구 통계. 통계청.
  28. 한경혜(2004).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노년학, 24(4), 87-106.
  29.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 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0.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여성노동의 변화와 여성.가족의 삶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1. Arthur, S., Snape, D., & Dench, G. (2003). The moral eco-nomy of grandparenting. London: National Center for Social Research.
  32. Becker, G. S., & Thomes, N. (1976). Child endowments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4, 142-163.
  33. Boulding, K. E. (1973). The economy of love and fear: A pre-face to grants economics. Belmont. CA: Wadsworth.
  34. Erikson, E. H. (1997).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paperbook.
  35. Fuller-Thomson, E., & Minkler, M. (2001). American grandparents providing extensive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Prevalence and profile. The Gerontologist, 41, 201-209. https://doi.org/10.1093/geront/41.2.201
  36. Hank, K., & Buber, I. (2009). Grandparent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Findings from the 2004 Sur-vey of Health, Aging, and Retirement in Europe. Journal of Family Issues, 30, 53-73. https://doi.org/10.1177/0192513X08322627
  37. Hannich, H. J . (2011). "A Salutogenic Analysis of Developmental Tasks and Ego Integrity vs. Despair" Aging and Human Development, 73(4), 351-369. https://doi.org/10.2190/AG.73.4.e
  38. Hayslip, B. & Shore, R. (1998).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the impact of grandchildren with problems on role satisfaction and role mean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53(3), S164-S173.
  39. Homans, G. C. (1974).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40. Kataoka-Yahiro, M. R., Ceria, C., & Yoder, M.(2004). Grandparent caregiving role in Filipino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Cultural Diversity, 11, 110-117.
  41. Katras, M. J., Zuiker, V. S., & Bauer, J. W.(2004). Private safety net: Childcare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 53, 201-209.
  42. Lecompte, M. D, & Preissle, J.(1993).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43. Lee, J., & Bauer, J. W.(2010). Profiles of grandmothers providing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1, 455-475.
  44. Lee, Min-Ah and Margaret J. Weber(2000) "Intergenerational Reciprocal care and Elderly Living Arrangem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3), 129-142.
  45.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46. Lowenstein, A., Ruth, K. and Nurit, G. Y. (2007). "Reciprocity Child Exchang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 Cross-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Issue, 63(4), 865-883. https://doi.org/10.1111/j.1540-4560.2007.00541.x
  47. Pearson, J. L., Hunter, A. G., Ensminger, M. E., & Kellam, S. (1990). Black grandmothers in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Diversity in family structure and parenting involvement in the Woodlawn Community. Child Development, 61, 434-442. https://doi.org/10.2307/1131105
  48. Spradley, J. (1997). The Ethnographic Interview.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49. Uttal, L. (1999). Using kin for child care: Embedment in the socioeconomic networks of extended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845-857. https://doi.org/10.2307/354007
  50. Yunong, H. (2012). "Family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Different Hukous in China" Aging and Society, 32(1), 19-40. https://doi.org/10.1017/S0144686X11000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