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Control of Agro-meteorological Data Measured at Suwon Weather Station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기상청 수원기상대 농업기상 관측요소의 품질관리

  • Received : 2014.11.11
  • Accepted : 2015.01.21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pplied a procedure of quality control (QC) to the agro-meteorological data measured at the Suwon weather station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QC was conducted through six steps based on the KMA Real-time Quality control system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RQMOD) and four step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ISMN) QC modules. In addition, we set up our own empirical method to remove erroneous data which could not be filtered by the RQMOD and ISMN methods. After all these QC procedures, a well-refined agro-meteorological dataset was complied at both air and soil temperatures. Our research suggests that soil moisture requires more detailed and reliable grounds to remove doubtful data, especially in winter with its abnormal variations. The raw data and the data after QC are now available at the NCAM website (http://ncam.kr/page/req/agri_weather.php).

농업기상 관측자료의 QC는 원자료의 튀는 값을 의심자료로 분류하거나 제거하는 사후 성격의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기상대의 2012, 2013년 농업기상 관측요소에 대하여 처음으로 QC를 시행하고, 관련 절차를 문서화하였다. QC 방법은 기상청의 실시간 품질관리 시스템을 참고하였고, 토양수분은 국제 토양수분관측망 QC 모듈을 참고하였으며, 그 외의 경우는 경험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고안한 기준을 적용하였다. 농업기상 관측자료에 이상의 품질검사 알고리즘들을 적용한 결과, 튀는 값과 비정상적인 값들이 사라지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가 확보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통계값이 산출되었다. 연직 기온, 토양온도 등의 온도 요소는 품질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토양온도의 튀는 값이 여름철에 집중된 것으로 볼 때, 강우에 따른 대비와 관측 장비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편, 온도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에는 각각의 자료 특성에 맞는 품질관리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토양수분은 연직으로 깊이 들어가더라도 그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강수량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앞에 제시한 일부 QC 방법은 0.10m 토양수분에 한정되어 있는 점이 한계로 작용하였다. 수원기상대에서 나타나는 토양수분의 겨울철 이상 변동은 ISMN 방식의 QC 모듈로도 걸러지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토양수분 QC에서 플래그가 부여된 의심자료들을 오류값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더욱 확실한 근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원기상대의 경우, 여러 해 동안 측정된 토양수분 관측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원기상대에서의 토양수분의 변화 양상이 매년 어떻게 반복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단기적으로는 이번 QC 연구에서 자료의 신뢰도가 낮아 제외되었던 복사 변수와 지면온도 변수에 대한 QC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원 이외의 다른 농관 지점의 관측자료에 대해서도 QC가 속히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중기적으로는 QC된 자료를 바탕으로 농업기상 정기보고서 작성 및 배포가 가능하다. 장기적으로는 기상청 및 KoFlux의 자동화 QC 프로그램,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선형 변분 QC(예로, Lee et al., 2011) 등을 기반으로 농업기상 관측요소별 QC 수행의 고도화 및 자동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체계적인 개선을 통해 농업기상 관측자료의 품질경영이 한층 더 성취되면, 지상기상 관측자료에 버금가는 고품질의 농업기상 관측자료가 생산되어, 국내 유관기관, 학술 연구자, 농림업 현장 종사자 등 많은 이용자들에게 제공 및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원자료 및 품질관리 결과 자료는 국가농림기상센터의 웹사이트(http://ncam.kr/page/req/agri_weather.php)에서 소정의 절차를 거쳐 이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S., S.-J. Lee, J. Kim, B. L. Lee, K. R. Kim and B. C. Choi, 2014: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Circumstances of KMA and their Improvement Plan. Proceedings of Autumn Meeting of KMS, 315-316.
  2. Dorigo, W. A., A. Xaver, M. Vreugdenhil, A. Gruber, A. Hegyiova, A. D. Sanchis-Dufau, D. Zamojski, C. Cordes, W. Wagner and M. Druch, 2012: Global Automated Quality Control of In Situ Soil Moisture Data from the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Vadose Zone Journal 12(3), 21pp.
  3. Hur, B., J. Lee, Y. Chu, J. Kim, N. Park, J. Jo, S. Oh, M. Noh and Y. Lee, 2005: Statistical Analysis of AWS Observation Data to Calculate the Quality Control Threshold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 RQMOD. Proceedings of Autumn Meeting of KMS, 390-391.
  4. Kim, J., R. Yuan, S. Park, M. Kang, Y. Ryu, J. Lee, J. Hong, U. Byun, J. Yoo, D. Lee, S. Moon and S. Kim, 2007: Quality Control Manual for KoFlux Micrometeorological Data. Biometeorological Laboratory at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in Yonsei University, 56pp.
  5. KMA, 2011a: Quality Control Manual for National Climate Data, 44pp.
  6. KMA, 2011b: Study on Suitability for Relocation of Agri-Meteorological Equipment, 59pp.
  7. Kwon, H., S. Park, M. Kang, J. Yoo, R. Yuan and J. Kim, 2007: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of Eddy Covariance Data at the Two KoFlux Sit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4), 260-267. https://doi.org/10.5532/KJAFM.2007.9.4.260
  8. Lee, S.-J., D. F. Parrish, S.-Y. Park, W.-S. Wu, S. J. Greybush, W.-J. Lee, and S. J. Lord, 2011: Effects of 2-m air temperature assimilation and a new near-surface observation operator on the NCEP Gridpoint Statistical-Interpolation System.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7(4), 353-376. https://doi.org/10.1007/s13143-011-0022-y
  9. Lee, Y., D. Kim, K. Kim, J. Lee, H. Kim and S. Jeong, 2013: Quality Control for AWS Observation Data: Analysis of Irregularity Inspection of Temperature Data. Proceedings of Autumn Meeting of KMS, 28-29.
  10. Lee, Y., W. Sim and S. Oh, 2007: Study on QC Method for Temperature Data using Spectrum Analysis.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300-301.
  11. Park, C. and Y. Choi, 2012: Validation of Quality Control Algorithms for Temperature Data of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2(3), 299-307.
  12. WMO, 2013: Guide to the Global Observing System (WMO No. 488). Geneva.

Cited by

  1.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s with WRF/Noah-MP in Cheongmicheon Farmland in Korea During the 2014 Special Observation Period vol.17, pp.4, 2015, https://doi.org/10.5532/KJAFM.2015.17.4.384
  2.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Environment and Periodic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vol.17, pp.2, 2015, https://doi.org/10.5532/KJAFM.2015.17.2.144
  3. Development of an Urban High-Resolution Air Temperature Forecast System for Local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Statistical Downscaling vol.9, pp.5, 2018, https://doi.org/10.3390/atmos9050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