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태음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표병

  • Choi, Ae-Ryun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Shin, Mi-Ran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Lee, Eui-Ju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iy)
  • 최애련 (대구한의과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신미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이의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Received : 2015.03.02
  • Accepted : 2015.03.11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pres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for Tae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This CPG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wide experts committee consisting of SCM professors. Methods First,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literature related to SCM such as Donguisusebowon, Text book of SCM, Clinical Guidebook of SCM and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as performed. Secondly, journals related to clinical trial or Human complementary medicine of SCM were searched. Finally, 7 articles were selected and included in CPG for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Results & Conclusions The CPG of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in Taeeumin Disease include classification, definition and standard symptoms of each pattern.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consists of two aspects : Esophagus-Cold (Wiwanhan) and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is classified into mild and moderate pattern by severity. Mild pattern of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is classified into Supraspinal Exterior (Baechu-pyo) initial and Wheezing-Dyspnea (Hyocheon) pattern. Moderate pattern of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is classified into Cold-reversal (Hanguel) and Cold-reversal (Hanguel) advanced pattern. And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is classified into severe and critical pattern by severity. Severe pattern of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is classified into Dry-Cold (Johan) pattern and Dry-Cold (Johan) advanced pattern. Critical pattern of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consists of Dry-Cold (Johan) intense pattern (Eumhyeol-mogal handa pattern).

Keywords

Ⅰ. 緖 論

太陰人 病證은 胃脘受寒表寒病과 肝受熱裏熱病으로 表病과 裏病을 개괄하고 있으며, 表病인 胃脘受寒表寒病은 胃脘寒病과 胃脘寒肺燥病으로 구분되고 裏病은 肝熱病과 肝熱肺燥病으로 구분된다. 表病은 태음인이 肺小한 특징을 지니므로 그의 腑인 胃脘이 상승하는 힘이 부족하고 肺의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出表하는 기운이 부족하여 발생한다.

胃脘寒病은 表病의 順證으로 身寒, 無汗, 身體痛 등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병증형성경과의 초입인 胃脘寒病輕證과 但惡寒不發熱의 구간을 가지는 胃脘寒病重證으로 구분된다. 胃脘寒病輕證은 背顀表病初證과 哮喘病證으로 구분되며, 胃脘寒病重證은 寒厥證과 寒厥尤證으로 구분된다. 胃脘寒肺燥病은 表病의 逆證으로 胃脘寒의 병증이 심화되어 나타난 偏小之臟 本元인 肺局의 呼散之氣 부족에서 오는 燥病證으로 氣液의 비정상적인 편재 및 소모병증으로 나타난다. 태음인의 胃脘寒肺燥病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과 함께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肺局의 呼散之氣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胃脘寒肺燥病險證과 胃脘寒肺燥病危證으로 구분된다. 胃脘寒肺燥病險證은 燥寒病證과 燥寒病尤證으로 구분되며, 胃脘寒肺燥病危證은 肺元의 손상이 심한 상태로 신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이미 소모되어 고갈에 이른 상태의 병증으로,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이 해당된다.

태음인 병증분류 및 정의와 관련하여 선행연구1-3가 있었으나, 아직 표준 진단 알고리즘이나, 표준증후에 대한 공통된 연구가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2012년부터 실제 임상편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국내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 사상체질과 교수님들을 중심으로 임상진료지침 개발 작업을 진행하였다. 2013년 소음인 임상진료지침이 작성되었고 2014년 소양인 임상진료지침이 작성되었다.

여기서는 태음인 병증 중 胃脘受寒表寒病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의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硏究對象 및 方法

1. 문헌검색

본 연구는 태음인 표병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CPG)을 작성하기 위하여 『東醫壽世保元⋅辛丑本』, 사상의학 교과서4, 사상체질과 임상편람5,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6 및 태음인 표병 관련 논문 등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및 정리 작업이 이루어졌다. 논문 검색 방법은 김 등7의 선행 연구 방법을 따랐다. 논문을 검색하기 위하여 각 학회1)의 학회지를 창간호부터 수기 검색을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도 실시하였다. 온라인 검색은 각 학회의 홈페이지와 전통의학정보포털(http://oasis.kiom.re.kr)을 활용하였다. 국외 논문의 경우 pubmed와 Cochrane library를 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임상시험 혹은 임상연구(Clinical trial or Clinical study) and 임상 혹은 인간(Clinical or Human)을 사용하였다.

2. 문헌평가 및 자료추출

문헌의 1차 선택은 김 등4의 연구에 따라 총 17종의 한의학 학술지에서 온라인과 수기로 검색한 논문 12,653편과 국외 database를 검색한 논문 41편에 대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중 In vivo, In vitro, 문헌고찰 논문을 제외한 1,004편의 임상논문을 1차적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그 후 임상진료지침 각각의 위원들이 신뢰성 있고, 학문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사상체질과 관련된 논문 2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5편의 논문 중 태음인 병증과 관련 없는 논문 6편을 제외하였다. 나머지 19편의 논문 중 위완 한병과 관련 없는 논문 18편을 제외하고, 추가된 논문 1편을 포함하여 위완한병과 관련된 논문 2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한편, 19편의 논문 중 위완한폐조병과 관련 없는 논문 13편을 제외하고, 위완한폐조병과 관련된 논문 6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Figure 1, Figure 2, Table 1, Table 2).

Figure 1.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in Taeeumin disease

Figure 2.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in Taeeumin disease

Table 1.Characteristics of Trials

Table 2.Characteristics of Trials

3. 임상진료지침 작성

『東醫壽世保元⋅辛丑本』에 실린 내용 가운데 태음인 표병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표준증후2)를 작성하였으며,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태음인 표병 관련1-3 논문 등을 참조하여 임상진료지침(CPG) 표준보고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작성하였다. 근거수준과 권고수준은 2013년 한의학연구원(KIOM)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팀 권고안을 따랐다.

 

Ⅲ. 結 果

1. 胃脘受寒表寒病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개론

身寒, 無汗 등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태음인이 肺小한 특징을 지니므로 그의 腑인 胃脘이 상승하는 힘이 부족하고 폐의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出表하는 기운이 부족하여 발생한다. 順病에 해당되는 胃脘寒病과 逆病에 해당되는 胃脘寒肺燥病으로 구분하였다.

1) 胃脘寒病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개론

身寒, 無汗, 身體痛 등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胃脘이 쇠약해서 表局이 허약한 틈을 타 寒邪가 침범하여 正邪相爭하여 발생한다. 胃脘寒病은 병증형성 경과의 초입인 胃脘寒病輕證과 但惡寒不發熱의 구간을 가지는 胃脘寒病重證으로 구분하였다.

(1) 胃脘寒病輕證 Esophagus-Cold (Wiwanhan) mild pattern

개론

胃脘寒病輕證의 경우 지속발열이 있으며, 麻黃湯을 모델로 하는 背顀表病初證과 여기에 哮喘證이 있는 哮喘病證으로 구분된다.

① 背顀表病初證 Supraspinal Exterior (Baechu-pyo) initial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지속적 發熱과 喘을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胃脘이 쇠약해서 表局이 허약한 틈을 타 寒邪가 침범하여 正邪相爭하고 榮血不利하여 발병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背顀表病初證의 진단은 寒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의 공통증상과 胃脘寒病의 공통증상인 身體痛 외에 지속적 發熱과 喘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3). 치료는 肺陽升氣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麻黃發表湯 등을 활용한다4). 그 외에 背顀表病初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背顀表病初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 發熱, 喘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麻黃發表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3. 背顀表病初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Ⅳ, 권고수준C)

② 哮喘病證 Wheezing-Dyspnea (Hyocheon)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지속적 發熱과 喘을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胃脘이 쇠약해서 表局이 허약한 틈을 타 寒邪가 침범하여 나타난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哮喘病證의 진단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無汗의 공통증상과 胃脘寒病의 공통증상인 身體痛 외에 지속적 發熱과 哮喘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5). 치료는 肺陽升氣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麻黃定喘湯 등을 활용한다6). 麻黃定喘湯의 안정성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되거나, 천식 유사 증상을 가진 태음인 26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대조군 예비연구에서는 麻黃定喘湯 경구 복용 2주후 안정성과 관련된 지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365) 麻黃定喘湯 경구 복용 후 1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천식 중증도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8. 그 외에 哮喘病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哮喘病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 哮喘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麻黃定喘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Ⅰb, 권고수준 A)

3. 哮喘病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Ⅳ, 권고수준C)

(2) 胃脘寒病重證 Esophagus-Cold (Wiwanhan) moderate symptomatology

개론

胃脘寒病重證의 경우 但惡寒不發熱의 기간에 따라 寒厥證과 寒厥尤證으로 구분한다.

① 寒厥證 Cold-reversal (Hanguel) pattern

서론

태음인 表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과 發熱無汗(或 微汗出)이 수일의 간격을 두고 교대로 나타나는 간헐적 發熱을 주 증상으로 하는 병증으로 勞心焦思하여 胃脘이 쇠약해지고 表가 虛薄해져서 寒邪를 이기지 못하고 寒邪에 에워싸여 正氣와 邪氣가 서로 싸우는 형세인데 客이 이기고 주인이 약한 것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寒厥證의 진단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의 공통증상과 胃脘寒病의 공통증상인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이 있는 간헐적 發熱을 주요증상으로 한다7). 치료는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寒多熱少湯 등을 활용한다8). 태음인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사상의학적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상의학치료군 20명과 증치의학적 치료군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환자 대조군 연구 결과 사상의학 치료군의 경우 寒多熱少湯의 사용빈도가 29%로 높았으며, 사상의학적 치료군과 증치의학적 치료군의 비교에서 淸涕에서 사상의학적 치료군에서 더 빠른 호전을 보였고, 전체 호전도 점수의 변화에서 사상의학적 치료군이 더 빠른 호전을 보였다9. 그 외에 寒厥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寒厥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 간헐적 發熱을 주증상으로 한다.(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寒多熱少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Ⅱa, 권고수준 B)

3. 寒厥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Ⅳ, 권고수준C)

② 寒厥尤證 Cold-reversal (Hanguel) advanced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을 주증상으로 하는 병증으로 勞心焦思하여 胃脘이 쇠약해지고 表가 虛薄해져서 寒邪를 이기지 못하고 寒邪에 에워싸여 正氣와 邪氣가 서로 싸우는 형세인데 주인이 극도로 약한 상황에서 客이 이긴 것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寒厥尤證의 진단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의 공통증상과 胃脘寒病의 공통증상인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不汗出을 주요증상으로 한다9). 치료는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寒多熱少湯 등을 활용한다10). 그 외에 寒厥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寒厥尤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 但惡寒不發熱不汗出을 주증상으로 한다.(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寒多熱少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3. 寒厥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Ⅳ, 권고수준C)

2) 胃脘寒肺燥病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개론

胃脘寒肺燥病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과 함께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공통된 증상으로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가 있다. 胃脘寒의 병증이 심화되어 나타난 偏小之臟 本元인 肺局의 呼散之氣 부족에서 오는 燥病證으로 氣液의 비정상적인 편재 및 소모병증으로 나타난다. 胃脘寒肺燥病은 肺局의 呼散之氣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胃脘寒肺燥病險證과 胃脘寒肺燥病危證으로 구분된다.

(1) 胃脘寒肺燥病險證 Esophagus-Cold Lung- Dry (Wiwanhan-paejo) severe pattern

개론

胃脘寒肺燥病險證으로 燥寒病證과 燥寒病尤證이 해당된다. 小便量 減少, 浮腫을 공통증상으로 한다.

① 燥寒病證 Dry-Cold (Johan)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肺燥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와 더불어 胃脘寒肺燥病險證의 증상인 小便量 減少, 浮腫이 있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燥寒病證의 진단은 胃脘寒肺燥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외에 小便量 減少, 浮腫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11). 치료는 發汗시켜 肺陽上升을 도와주고 潤燥시켜 氣液之氣의 순환을 도와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太陰調胃湯을 활용한다12). 그 외에 燥寒病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사상체질과 비만 및 비만 환자의 임상 증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중감량 목적으로 내원한 비만 환자 12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후비교 연구한 결과, 대상자 중 태음인이 102명이였으며, 비만 치료 후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표증 환자의 비율이 59.8%였으며, 太陰調胃湯과 調胃升淸湯을 사용되었다10. 사상체질과 비만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김 등의 연구에서 비만환자 461명을 대상으로 전후비교 연구한 결과, 태음인이 전체의 70.2%를 차지하였으며, 이침요법과 太陰調胃湯을 처방하여 치료하여 태음인이 가장 많은 체중감소를 보였다11. 太陰調胃湯과 전기침을 결합한 치료가 비만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태음인 비만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6주간 전기침 치료와 太陰調胃湯을 투여한 전향적 연구 결과, 평균체중, 평균 BMI, 평균 비만도, 평균 체지방율, 평균 복부비만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 淸肺瀉肝湯과 太陰調胃湯이 절식요법 시행 후 태음인 비만 환자의 체성분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태음인 비만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한 증례 보고 결과, 태음인 비만 환자 중 35명에게 太陰調胃湯을 33일간 투여한 결과, 체지방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근육량, 기초대사량, HDL-cholesterol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3.

또한 태음인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사상의학적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상의학 치료군 20명과 증치 의학적 치료군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환자 대조군 연구 결과 사상의학 치료군에서 콧물, 전체 호전도의 점수변화가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여 더 빠른 치료효과가 나타났으며, 사상의학 치료군의 경우 太陰調胃湯, 熱多寒少湯, 葛根解肌湯의 순으로 처방이 사용되었다9.

국내의 권고사항

1. 燥寒病證은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외에 小便量 減少, 浮腫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太陰調胃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3. 비만 환자로서 태음인의 경우에 太陰調胃湯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Ⅱb, 권고수준 B)

4.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로서 태음인의 경우에 太陰調胃湯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Ⅱa, 권고수준 B)

5. 燥寒病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Ⅳ, 권고수준 C)

② 燥寒病尤證 Dry-Cold (Johan) advanced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肺燥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와 더불어 胃脘寒肺燥病險證의 증상인 小便量 減少, 浮腫이 있다. 燥寒病證과 구별되는 특징적인 증상은 怔忡甚化, 口乾(不多飮)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燥寒病尤證의 진단은 胃脘寒肺燥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외에 小便量 減少, 浮腫이 필수적이다13). 燥寒病尤證은 燥寒病證과 구별되는 怔忡甚化, 口乾(不多飮)이 주된 증상이다. 치료는 發汗시켜 肺陽上升을 도와주고 潤燥시켜 氣液之氣의 순환을 도와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調胃承淸湯을 활용한다14). 그 외에 燥寒病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사상체질과 비만 및 비만 환자의 임상 증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중감량 목적으로 내원한 비만 환자 12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후비교 연구한 결과, 대상자 중 태음인이 102명이였으며, 비만 치료 후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表證 환자의 비율이 59.8%였으며, 太陰調胃湯과 調胃承淸湯을 사용되었다10. 調胃承淸湯 加減方을 투여하여 비만 치료의 효과 및 부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비만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調胃承淸湯 加減方을 투여한 전후비교 연구 결과, 대상자 중 태음인이 1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태음인의 경우 체중감량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

국내의 권고사항

1. 燥寒病尤證은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小便量 減少, 浮腫 외에 怔忡甚化, 口乾(不多飮)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調胃承淸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3. 비만 환자로서 태음인의 경우에 調胃承淸湯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Ⅱb, 권고수준 B)

4. 燥寒病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근거수준 Ⅳ, 권고수준 C)

(2) 胃脘寒肺燥病危證 Esophagus-Cold Lung- Dry (Wiwanhan-paejo) critical pattern

개론

胃脘寒肺燥病危證은 肺元의 손상이 심한 상태로 신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이미 소모되어 고갈에 이른 상태의 병증으로,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이 해당된다.

①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 Dry-Cold (Johan) intense pattern (Eumhyeol-mogal handa pattern)

서론

태음인 胃脘寒肺燥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와 더불어 耳聾目暗, 腿脚腰痛, 皮膚毛髮爪甲乾燥, 或 夢泄, 或動風이 주된 증상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은 胃脘寒肺燥病의 기본 증상인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외에 耳聾目暗, 腿脚腰痛, 皮膚毛髮爪甲乾燥, 或 夢泄, 或 動風이 주증상으로 한다15). 치료는 發汗시켜 肺陽上升을 도와주고 潤燥시켜 氣液之氣의 순환을 도와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補肺元湯, 鹿茸大補湯을 활용한다16). 그 외에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은 身寒, 無汗,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 외에 耳聾目暗, 腿脚腰痛, 皮膚毛髮爪甲乾燥, 或 夢泄, 或 動風이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補肺元湯, 鹿茸大補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을 치료하기 위해 肺陽升氣를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Ⅳ, 권고수준 C)

2. 表病 표준증후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表病 표준증후를 작성하였다 (Table 3, Table 4).

Table 3.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Esophagus-Cold (Wiwanhan) Symptomatology in Taeeumin Disease

Table 4.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Esophagus-Cold Lung-Dry (Wiwanhan-paejo) Symptomatology in Taeeumin Disease

 

Ⅳ. 考 察

胃脘受寒表寒病의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CPG)은 『東醫壽世保元⋅辛丑本』,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태음인 表病 관련 논문 등을 참조하여 집필위원 내부 회의에서 초안을 작성한 다음 전체 집필위원회의를 통한 의견을 반영하여 여러 차례 집필위원 내부회의를 통한 의견수렴, 합의, 수정 등의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 자문위원의 승인을 통하여 결정되었다.

본 임상진료지침에서 설정한 태음인 胃脘受寒表寒病 분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중분류에 胃脘寒病과 胃脘寒肺燥病으로 분류하였다. 胃脘寒病은 소분류에 胃脘寒病輕證과 胃脘寒病重證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 胃脘寒病輕證은 背顀表病初證과 哮喘病證으로 세분류하고, 胃脘寒病重證은 寒厥證과 寒厥尤證으로 세분류하였다. 胃脘寒肺燥病은 소분류에 胃脘寒肺燥病險證과 胃脘寒肺燥病危證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 胃脘寒肺燥病險證은 燥寒病證과 燥寒病尤證으로 세분류하였고, 胃脘 寒肺燥病危證은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으로 세분류하였다.

胃脘寒病은 胃脘이 쇠약해서 表局이 허약한 틈을 타 寒邪가 침범하여 正邪相爭하여 나타나는 태음인 表病의 順證으로, 태음인 表病의 공통증상인 身寒, 無汗 등 表寒 증상이 나타나며, 身體痛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 身寒은 面色靑白, 전신적 惡寒 및 전신, 두면부, 사지, 피부 등의 부분적 자타각적 冷證을 포괄하며 無汗은 거의 땀이 나지 않는 상태이거나 땀이 나도 증상이 충분히 풀어지지 않는 상태 등을 포괄하며 身體痛은 腹痛을 제외한 頭面 및 項强部 痛症, 腰背痛, 四肢肢節痛 등을 포괄한다(Table 3).

胃脘寒病輕證은 병증형성 경과의 초입으로 身寒, 無汗, 身體痛의 胃脘寒病의 공통증상과 함께 지속 發熱을 주증상으로 하며, 麻黃湯을 모델로 하는 背顀表病初證과 여기에 哮喘證이 있는 哮喘病證이 해당된다. 背顀表病初證은 身寒, 無汗, 身體 痛과 함께 지속적 발열과 喘을 주증상으로 하며, 哮喘病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과 함께 지속적 發熱과 哮喘證을 주증상으로 한다.

胃脘寒病重證은 勞心焦思하여 胃脘이 쇠약해지고 表가 虛薄해셔서 寒邪를 이기지 못하고 寒邪에 에워싸여 正氣와 邪氣가 서로 싸우는 형세인데 客이 이기고 주인이 약한 것으로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의 구간을 갖는 것을 주증상으로 하며, 간헐發熱의 양상을 보이는 寒厥證과 지속적으로 但惡寒不發熱을 나타내는 寒厥尤證이 해당된다. 寒厥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과 發熱無汗 혹은 微汗出이 수일간의 간격을 두고 교대로 나타나는 것으로 수일 간격으로 수일간 지속되는 發熱이 있는 것을 주증상으로 하고, 寒厥尤證은 身寒, 無汗, 身體痛과 더불어 但惡寒不發熱不汗出이 지속되는 주증상을 나타내고 혹은 두면부가 不淸한 증상으로 말이 어눌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미각 청각 시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胃脘寒病重證의 경우 但惡寒不發熱의 기간에 따라 輕重을 구분한다(Table 3).

胃脘寒肺燥病은 胃脘寒의 병증이 심화되어 나타난 偏小之臟 本元인 肺局의 呼散之氣 부족에서 오는 燥病證으로 氣液의 비정상적인 편재 및 소모병증으로 나타나며, 肺局의 呼散之氣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胃脘寒肺燥病險證과 胃脘寒肺燥病危證으로 구분된다. 表病의 주요 증상인 身寒, 無汗과 함께 素證으로 性情偏急甚化證(怔忡), 平居泄瀉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공통된 증상으로 大便泄, 食後痞滿, 腿脚無力, 氣短, 結咳가 있다. 性情偏急甚化證(怔忡)은 恒心에 해당하는 怯心이 性情의 편급으로 인한 心병증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이때의 怔忡이란 외적인 자극 없이 생기는 가슴 두근거림 및 심리적 불안감 두려움 놀라는 것 등을 말한다. 食後痞滿은 胃脘의 上升之力이 약화되고 肺局의 呼散之氣 또한 약화되어 위장관 내에서 輕淸한 氣液의 생성이 부족해지고 氣液의 비정상적 정체로 인해 소화능력도 저하되어 나타나는 상부 위장관 증상을 의미한다. 腿脚無力은 근골격계의 순환장애로 기육에서의 기액순환 장애와 비정상적인 정체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 무력감, 피로감, 重感을 포괄한다. 氣短은 숨이 고르게 이어지지 않는 것이며, 結咳는 매핵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기침을 하려하고 가래를 뱉어 내려 해도 잘 나오지 않는 것이다 (Table 4).

胃脘寒肺燥病險證은 胃脘寒肺燥病의 기본 증상과 더불어 小便量 減少, 浮腫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肺局의 呼散之力 약화로 氣液의 비정상적인 정체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胃脘寒肺燥病險證은 燥寒病證과 燥寒病尤證으로 구분되며, 燥寒病尤證은 燥寒病證보다 怔忡이 심화되어 불안, 불면 등의 빈도나 강도가 심해지는 怔忡甚化, 口乾(不多飮)의 증상이 뚜렷해진다 (Table 4).

胃脘寒肺燥病危證은 肺元의 손상이 심한 상태로 신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이미 소모되어 고갈에 이른 상태의 병증으로,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이 해당된다. 胃脘寒肺燥病危證은 肺局의 呼散之力이 약화된 상태이고 肝局의 吸聚之氣도 강하지 않은 상태로 胃脘寒肺燥病險證보다 식욕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燥寒病甚證(陰血耗竭寒多證)은 태음인 胃脘寒肺燥炳의 기본 증상과 더불어 耳聾目暗, 腿脚腰痛, 皮膚毛髮爪甲乾燥의 외형의 두드러진 변화를 동반하게 되며, 夢泄이나 慢驚風, 中風과 같은 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耳聾目暗은 두면부가 不淸한 증상으로 청각, 시각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고, 腿脚腰痛은 腿脚無力보다 심한 증상으로 근골격계의 허증성 통증 및 무력감을 의미한다 (Table 4).

胃脘受寒表寒病 CPG 작성 중에 중분류에서 背顀表病으로 명칭할 것인가 胃脘寒病으로 명칭할 것인가에 대한 지적과 논의가 있었으며, 세분류에서 ‘初證’과 ‘尤證’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胃脘寒病 輕證, 重證 분류의 주증상이 되는 發熱, 但惡寒不發熱에 따른 병의 輕重에 대한 구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初證’은 병의 형성과정 초입에 해당하는 것이고 ‘尤證’은 병증이 그 단계에서 더 심화된 단계로, 지속 發熱에서 간헐 發熱, 但惡寒不發熱의 단계로 병의 정도가 중한 정도로 파악하였다. 胃脘寒病의 용어 사용은 초기 태음인 CPG 작성단계에서는 胃脘受寒表寒病에서 順證과 逆證의 개념을 좀 더 명확히 보이고자 하는 견해에서 順證은 胃脘寒病으로 逆證은 胃脘寒肺燥病으로 명칭하여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후 실무위원 논의과정에서 『東醫壽世保元⋅辛丑本』에서 背顀表病輕證, 胃脘寒證이란 명칭이 제시되고 있고 胃脘寒證에 太陰調胃湯 사용례가 제시되고 있으며, 사상의학교과서에 胃脘受寒表寒病을 背顀表病과 胃脘寒證으로 구분한 내용이 있으며, 기존 胃脘寒證에 대한 부분과 태음인 CPG에서 중분류에서 順證에 胃脘寒病으로 새롭게 명명한 부분이 혼란을 초래할 위험성이 제시되었다. 기존 교과서와의 혼란과 충동을 고려하여 중분류에서 背顀表病으로 소분류에서 背顀表病輕證과 背顀表病重證을 1차 수정하여 CPG작성 작업이 진행 되었다. 이후 자문위원의 검토과정에서 다시 중분류에 대한 지적과 견해로 기존 용어에 대한 새로운 용어의 사용에 신중하자는 의견과 함께 초기 順逆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제시 되었던 중분류에서의 胃脘寒病과 胃脘寒肺燥病의 구분과 명명에 대한 지지 의견이 강하게 제시 되었다. 이에 실무위원의 의견을 다시 물어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였고, 실무위원들의 동의를 얻어 최초의 취지를 살려 중분류에서 胃脘寒病으로 소분류에서 胃脘寒病輕證과 胃脘寒病重證으로 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기존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임상지침 권고안이 『東醫壽世保元』 등의 한의학 문헌과 전문가 합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분류에서 胃脘寒病의 사용에서와 같이 중요한 병증 분류 단계와 용어의 사용에서 합의가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 많은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태음인 胃脘寒病과 관련된 임상논문의 수가 적어 임상진료 지침 근거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치료에 있어 『東醫壽世保元』 원문에 나와 있는 처방을 위주로 하고, 실제 임상에서 활용되는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없는 것도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이 임상지침에 대한 연구를 근간으로 향후 잘 디자인된 임상연구와 논문화 작업이 꾸준히 이어져 임상진료지침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정작업을 통해 임상지침에 대한 타당성을 높여 간다면 실제 임상에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진료지침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Lee JH, Lee EJ, Koh BH. The Study on the Energy and Fluid Metabolism and the Pathology and Symptomatology of Taeeumin based on The Discourse on Viscera and Bowels of Donguisusebowon.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4):1-6.(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4.1
  2. Lee JH, Lee EJ, Koh BH. A study on the schematic organization of the sub-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aeeum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1):63-78. (Korean)
  3. Shin SW, Lee EJ, Koh BH, Lee JH.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Algorithm of Taeeumin Symptom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4):28-39.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4.28
  4. Dep.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ll colleges of Korean med. in Korea(compilation).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12. (Korean)
  5.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 The Clinical Guide 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The Literature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nd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2010. (Korean)
  6. Koh BH.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nal Medicin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KIOM). 2008. (Korean)
  7. Kim JS, Hwang MW, Lee JH, Lee EJ, Koh BH, Yoo JH, et al.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1):23-3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1.23
  8. Park SJ, Choi NR, Kin K, Yoo Lee SW, Joo JC.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e Formula Mahwangjeongcheon-tang on patients with Asthmatic Symptom: A Preliminary Study. J Sasang Constitute Med. 2013;25(4):373-383.(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4.373
  9. Kim HG, Lee SK, Song IB, Ko BH. A Clinical Stud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reatment Effectiveness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in Taeumin. J Sasang Constitute Med. 2006;18(1):138-146.(Korean)
  10. Kim EY, Kim JW. A Clinical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inal Med. 2004;16(1):100-11. (Korean)
  11. Kim DR, Baek JH.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319-33. (Korean)
  12. Jang YJ, Cho JH, Song Bj. Effect of Taeyeumjowee-Tang and Electroacupuncture Combined-therapy on. J. of Korean Oriental Association for Study of Obesity. 2001:1(1):77-83. (Korean)
  13. Song MY, Lee JS, Kim SS, Shin HD. Study on the Effect of Chungpaesagantang and Taeeumjowitang on Taeeumin Obesity after Pinotherapy. J of Oriental Rehab. 1998;8(1):34-56. (Korean)
  14. Seo DM, Lee SH, Lee JD. Clinical Observation on Effects and Adverse Effects of Choweseuncheng-tang on Obesity Patients. The J.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5;22(3):145-53.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