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Hwangjangsan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 Lee, Jung-Yun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
  • Oh, Jang-Geu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 Jung, Se-Hoon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s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a-Song (Namdo Ecology Research Institute, Koguryeo College)
  • 이정윤 (자연환경복원연구원) ;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
  • 정세훈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 김하송 (고구려대학교 남도생태연구소)
  • Received : 2015.09.01
  • Accepted : 2015.10.30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Forest vegetation of Hwangjangsan (1,077.3 m) in Worak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riparian forest, afforestation and other vegetation. Including 55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4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the total of 59 communities were researched; mountain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28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12 communities of mountain valley forest, 3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2 communities of riparian forest, 10 afforestation and 4 other vegetation.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ccount for 65.928 percent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Fraxin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akes up 41.459 percent of mountain valley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holds 86.100 percent of mountain coniferous forest holds.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Fraxinus rhynchophylla, and Quercus serrata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in a forest vegetation reg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because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Fraxinus rhynchophylla which are climax species in the area.

본 연구는 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 강화와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키 위해 고축적 식생전자지도 필요에 의하여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 식생도 중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1,077.3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습성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 식생은 암벽 식생, 벌채지, 2차초지 등으로 세분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28개군락, 산지습성림 12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3개 군락, 하반림 2개 군락, 식재림 10개 군락, 기타 식생 4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23,963,489.92m^2$의 21.567%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굴참나무군락이 $10,106,547.81m^2$의 9.096%를 차지하고 있으며, 황장산 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65.928%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전체의 86.100%로서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물푸레나무 - 신갈나무군락이 전체의 41.459%를 차지하고 있으며, 물푸레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합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5개 군락으로 전체의 94.652%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90.202%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자작나무군락이 5.790%, 리기다소나무군락이 1.751%, 아까시나무군락이 1.228%로 4개 수종이 전체의 98.971%로 대부분이 이들 4종에 의하여 분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산지습성림은 물푸레나무 등에 의하여 우점될 것으로 보이며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식생연구는 식물군락과 관련된 조사가 비교적 연구되어 왔으나 다소 미흡한 실정으로 기존에 발표되었던 월악산 식생도 관련 연구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에 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크게 보완 향상된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ack, S.J., H.K. Kang and S.H. Kim. 2013.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 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7(4): 487-497.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
  3. Choi, S.H., K.K. Oh, H.S. Cho and H.M. Kang. 2005.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s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106-111.
  4. Kim, C.H. 1992.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the secondart succession in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Ph. D. Thesis. Won Kwang Univ., 156p.
  5. Kim, G.T. and G.C. Choo. 2005. 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75-82.
  6. Kim, J.W. 2004. The Forest Vegetation. World science. 308p.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 Natural resources survey report on Woraksan national park. 581p.
  8.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https://doi.org/10.11110/kjpt.1978.8.1.001
  9.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0.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2.
  11. Oh, K.K., S.K. Park, H.Y. Shim and T.H. Kim. 2005.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119-129.
  12. Shin, H.K., H.Y. Kwon and H.K. Song. 2011.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Young-bong Area in W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1): 4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