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Learning App Inventor Programming of LT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Children's Motivation

LT 협동학습 기반의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전성균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4.08.27
  • Accepted : 2015.02.10
  • Published : 2015.03.29

Abstract

Excessive cognitive burdens caused by learning grammar should be reduced to cultivate high-level thinking skills in students through programing education. To this e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ing languag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block-based App Inventor that can used in real life have been introduced.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programing can be utilized as a leading problem solving tool by designing and producing an app that can be easily used by students in their real life. In particular, given the developmental ph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fic operational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this reason, an App Inventor that can be proposed to enable dynamic interactions with the real world based on various smartphone sensors during the process of programing has significance as an educational programing langua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designed App Inventor program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can be used in their daily life. The results of applying the education in fifth graders showed its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rograming. LT collaborative learning where the students cooperated with each other, the theme of learning, which enables the utilization of various smartphone sensors in real life, and the app inventor may have generated and sustained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문법을 익히는데 유발되는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줄여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블록 기반으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앱 인벤터가 소개되었다. 학생들이 실생활에 쉽게 활용 가능한 앱을 설계 제작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도구로 프로그래밍을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초등학생은 발달단계상 구체적 조작 활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를 기반으로 실세계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제시할 수 있는 앱 인벤터는 초등학생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였다.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프로그래밍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협력하는 LT 협동학습과 스마트폰의 여러 가지 센서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주제 그리고 앱 인벤터의 활용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지속시켰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준, 이은경. (2008). 정보교육의 본질과 전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3), 1-11.
  2. 유헌창, 길준민. (2008). 2007 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선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지, 2(1), 3-15.
  3.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4. 안정오. (2005). 홈볼트의 유산. 서울:푸른사상
  5. 이영준 외.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전성균, 이영준. (2014). EPL을 활용한 예술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한국컴퓨터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4), 149-158.
  7. 이영준, 서영민. (2013).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4), 47-54.
  8. 안상진, 서영민, 이영준. (2012).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 동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 139-142.
  9. 전성균, 이영준. (2012). 초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촉진을 위한 CPS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2), 1-8.
  10. 김병호. (2013).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2), 467-472. https://doi.org/10.6109/JKIICE.2013.17.2.467
  11. Morelli, R., de Lanerolle, T., Lake, P., Limardo, N., Tamotsu, E., & Uche, C. (2011). Can Android App Inventor Br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In Proc. 42nd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SIGCSE'11).
  12. Uludag, S., Karakus, M., & Turner, S. W. (2011). Implementing IT0/CS0 with scratch, app inventor for android, and lego mindstorms. In Proceedings of the 2011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ACM, 183-190.
  13. Wolber, D. (2011). App inventor and real-world motivation. In Proceedings of the 42nd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601-606.
  14. http://appinventor.mit.edu/
  15. Jorg H. Kloss, 이승현 역. (2013).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 서울: 에이콘
  16. Hsu, Y. C., Rice, K., & Dawley, L. (2012). Empowering educators with Google's Android App Inventor: An online workshop in mobile app desig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3(1), E1-E5.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1.01241.x
  17. 이동원. (1997). 인간 교육과 협동 학습. 서울:성원사.
  18. 정문성, 김동일. (1999). 열린 교육을 위한 협동 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형설출판사.
  19. 강명희, 김민정, 김혜정, 엄소연, 정혜윤 (2010). 웹기반 협력학습의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협력지향성과 자기 효능감의 예측력 규명. 교육학연구, 48(1), 157-180.
  20. Johnson, D. W., & Johnson. R. T. (1999). Learning and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1.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
  22. 박수경. (1998). ARCS 전략을 적용한 구성 주의적 수업이 과학개념 획득과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