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atures of Korean Webtoon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 윤기헌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애니메이션 전공) ;
  • 정규하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최인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최해솔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1.28
  • Accepted : 2015.03.04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study that had been conducted two months by a research team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at the request of Korea Manwha Contents Agency in Dec. 2013 is about the statistical analysis on 'Korean Webtoon DB and its Flow Report' which resulted from the complete survey of Korean webtoons which had been published with payment in official media from early 2000 to 2013. Webtoon which means the cartoons published on web has become a typical type of Korean cartoons and has developed into a main industry since 2000s when traditional published cartoons had declined and social environments had changed. Today, it represents cultural contents in Korea. This study collected the webtoons officially published in media with payment, among Korean webtoons having been published from the early 2000s to Ja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t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ebtoons, including cartoonists, the number of cartoons, distribution chart of each media, genre, and publication cycl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a great deal of Korean webtoons are still published in main portal websites, but their platform is being diversified and a webtoon's publication cycle tends to be shortened. In terms of genre, traditional popular genres, such as drama, comic, fantasy, and action, are still popular, and the genres of history, sports, and food are on the rise along with a social trend. Regarding webtoon application, such events as relay webtoon and brand webtoon, and a new type of webtoon featuring PPL commercialism appear. Such phenomena can realize the common profits of cartoonists, media, and ordering bodies, and are various trials to test the possibility of webtoons. In addition, what needs to pay attention on in the expansion of webtoons is increasing webtoons for adults. The study subjects are the webtoons published with payment, excluding free webtoons. However, this study failed to collect the webtoons published on the online websites already closed, and the lost information on cartoonists and their lost webtoon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lete survey on all webtoons including free ones. Despite th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s that it categorized and analyzed Korean webtoons accoridng to official media, webtoons, cartoonists, and genres and that it provided a fundament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webto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ctivating more research on webtoons and producing more supplementary data which will be used for the Korean cartoon industry and academia.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2013년 12월부터 약 2개월간 한국만화영상원의 의뢰를 받아 2000년 초부터 2013년까지 원고료를 지급받고 공식매체에서 연재된 한국 웹툰을 전수 조사한 '한국 웹툰DB 및 흐름 정리 연구' 자료를 토대로 통계 분석한 자료이다. 웹에 연재되는 만화를 의미하는 Webtoon은 전통적인 출판만화의 쇠퇴와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2000년대 이후 한국만화의 대표적 형식이자 주류 산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 불리고 있다. 본 조사연구는 웹툰이 시작된 2000년대 초부터 2014년 1월까지 총 13여 년간에 걸친 우리나라 웹툰 중에서 원고료를 받고 매체에 정식연재가 된 웹툰을 대상으로 수집, 정리되었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작가, 작품의 수와 매체별 분포도, 장르와 연재 주기 등 전반적인 웹툰의 특성을 분석했다. 데이터 분석과 통계작업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웹툰은 주요 포털의 연재 비중이 아직 높지만 서서히 플랫폼의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작품의 연재 주기는 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장르적 특성으로는 드라마, 개그, 판타지, 액션 등의 만화의 전통적 인기장르는 여전히 건재하며 최근 사회적 트렌드에 맞게 역사물, 스포츠, 요리 등의 분야가 증가추세에 있다. 웹툰의 활용도 면으로는 릴레이 웹툰, 브랜드 웹툰과 같은 이벤트와 PPL식 상업성을 표방한 새로운 형태의 웹툰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작가와 매체, 발주자의 공동이익이 실현되는 한편, 나아가 웹툰의 가능성을 다양하게 실험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웹툰의 저변확대가 활발해 지면서 성인물의 증가세도 눈여겨 볼만 하다. 본 연구대상은 무료웹툰을 제외한 원고료를 받는 작품을 기준으로 했으나 온라인 사이트의 속성 상 폐쇄되거나 유실된 작가와 작품을 모두 수집하지 못한 한계를 갖고 있으며, 무료 웹툰을 총망라한 전수조사가 앞으로 필요하다 하겠다. 그럼에도 한국 웹툰을 최초로 정식매체와 작품, 작가, 장르를 분류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웹툰의 현재를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웹툰연구가 활성화되고 보완되는 자료들이 한국의 만화산업과 학문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효경(2013). 웹툰의 언어적 특성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2. 박석환(2009). 웹툰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Vol.-No.4, p.128
  3. 정규하,윤기헌(2009).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p.6
  4. NAVER, www.naver.com, 네이버 웹툰, 2014.01.01.
  5. DAUM, daum.net, 만화 속 세상, 2014.01.01.
  6. 만화규장각, kcomics.net, 2014.01.01.
  7. 그 외 각 언론사, 웹진, 통신사 웹툰페이지,SNS만화 사이트 참조.

Cited by

  1.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for Pregnant Women Based o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vol.22, pp.2, 2017, https://doi.org/10.5720/kjcn.2017.22.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