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ility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코트라스)이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 김소영 (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과) ;
  • 이근민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Received : 2015.04.07
  • Accepted : 2015.05.20
  • Published : 2015.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ildren for recovering the visual perception and ADL ability in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is purpose, 3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visual perception and ADL disorders participated in a clinical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They all have 5 common conditions in intellectual disability for objective experimental result. All participant were evaluated with Korean-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2(K-DTVP-2),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before and after the planned intervention sessions. All intervensions were intensively carried out for 20weeks, 1 time a week. The result were as follows. K-DTVP and Wee-FIM scor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pre-interven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effect on various group and lots of participants.

본 연구는 시지각 장애와 일상생활 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시지각과 일상생활 기능에 임상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통된 특성이 있는 지적장애 아동 3명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총 20회 실시하였다. 시지각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K-DTVP-2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 기능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WeeFIM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아동의 시지각 기능 특히 비운동성 시지각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일상생활 활동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들은 지적장애가 있는 아동 중 특히 시지각 기능에 결여를 보이는 아동에게 아동용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인지능력의 하위부분인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에 향상을 보임을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균, 감각 운동 지각 훈련,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4.
  2. 권재성, 김영근, 김지연, 육진숙, 조형진, 홍승표, 작업치료사를 위한 인지재활, 퍼시픽북스. 2008.
  3. 김영근,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75-87, 2011.
  4. 김영근, 한국형 컴퓨터기반 인지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5. 김영근, 이민정,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C)이 발달장애아동의 시지각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제17권, 제3호, pp.391-414, 2013.
  6. 김정기, 백현희, 정복희. "뇌졸중 환자에게 시지각 치료의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4권, 제1호, pp. 21-27, 2010.
  7. 김창걸, 송병섭, "발달장애 학생의 선호자극 선별을 위한 통합 자극 기기의 개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1권, pp. 32-34, 2010.
  8. 김창걸, 류근재, 송병섭, "지적장애인을 위한 리허설 기능이 포함된 e-러닝 시스템 개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4권, pp. 119-121, 2012.
  9. 박평문, 양점홍, 이명수, 강문선, "수지운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인지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1호, pp.649-656, 2007.
  10. 안용재, 안구운동 훈련이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학습준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1. 양영미,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과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여광응, 시지각훈련 프로그램: 이론과 실제,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4.
  13. 여광응, 시지각훈련 프로그램: 이론과 실제,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1.
  14. AAMR. Contributions of the definition of mental retardation inclusive a current disability, Miguel Angel Verdugo Alonso, 2002.
  15. J. Batchelor,, E. Shores, J. Marosszeky, J. Sandanam, M. Lovarini, "Cognitive rehabilitation of severely closed-head-injured patients using computer-assisted and noncomputerized treatment techniques" J.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3, no.3, pp.78-85, 1988. https://doi.org/10.1097/00001199-198809000-00012
  16. G. Blundon, E. Smits, "Cognitive rehabilitation: A pilot surveu of therapeutic modalities used by Canadian occupational therapist with survivors of traumatic brain injury", Canadi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67, no.3, pp.184-196, 2000.
  17. R. Fielder, C. Granger, "Uniform data systems for medical rehabilitation: report of first admissions for 1996", American J.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vol.77, no.5, pp.444-450, 1998. https://doi.org/10.1097/00002060-199809000-00019
  18. C. Kranowitz, The out-of-sync child: recognizing and coping with sensory processing disorder, A Skylight Press Book/A Perigee Book, 2005.
  19. G. Marshall, C. Wortman, R. Vickers, J. Kusulas, L. Hervig,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s a framework for personality-health research" J.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2, pp.278-286,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7.2.278
  20. D. Mercer, 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olumbus, OH: Merrill Pub, 1987.
  21. M. Neistadt, "A critical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for perceptual deficits in adults with brain injury"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44, no.4, pp.299-304, 1990. https://doi.org/10.5014/ajot.44.4.299
  22. M. Ohta, Y. Nagai, H. Hara, M. Sasaki, "Parental perception of behavioural symptoms in Japanese autistic children", J.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17, no.4, pp.549-563, 1987. https://doi.org/10.1007/BF01486970
  23. L. Pormey, M. Watkins,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1993.
  24. P. Sperle, K. Ottenbacher, S. Braun, S. Lane, S. Nochajski, "Equivalence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WeeFIM) administration methods",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1, no.1, pp.35-41, 1997. https://doi.org/10.5014/ajot.51.1.35
  25. C. Van Ravensberg, D. Tyldesley, R. Rozendal, H. Whiring, "Visual perception in hemipleg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65, no.1, pp.304-309,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