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Practicum on Teaching Practicum through Metaphor Analysis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5.02.14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more proper teaching practicum chances through getting practical implication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acticum through investig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acticum using metaphors. Participants were 12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freshmen and sophomores who did not experience teaching practicum. The opened survey expressing metaphors about teaching practicum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suggested 114 metaphors and those were coded and divide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11 types including 'It is hard but also fruitful.', 'It is a new experience.', 'It is hard and difficult.', 'It is meaningful and important.', 'I am afraid and worried.', 'I learn a lot.', 'I have to go though it.', 'I have to make an effort.', 'It is pleasant.', 'I am evaluated.' and 'others'.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give a chance to review what the teaching practicum mean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ake plan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repare the teaching practicum with proper perception.

본 연구는 은유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해 학교현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1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114개의 은유를 제시하였고, 이를 코드화하여 분류한 결과, 힘들지만 보람 있어요, 새로운 경험이에요, 힘들고 어려워요, 의미 있고 중요해요, 두렵고 걱정돼요, 많이 배워요, 꼭 거쳐야 해요, 노력해야 해요, 즐거워요, 평가 받아요, 기타의 11가지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에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 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미, 선미현 (2008).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관련 스트레스에 미치는 내.외적 요인.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329-349.
  2. 교육부 (2014). 2014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세종시: 교육부.
  3. 김미경 (2011).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2), 135-160.
  4. 김선영, 서원경 (2010).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에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 아동학회지, 31(2), 135-150.
  5. 김안나 (2011). 교육실습에 비춰진 예비유아교사의 감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9-49.
  6. 김정규 (2004). 유아교육실습. 서울: 동문사.
  7. 김창본, 김근규, 이일랑 (2013). 미국 예비유아교사의 사전실습에 대한 연구: 현장참여와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1), 163-193.
  8. 김현자 (2007). 실천적 지식 형성에 비추어 본 예비유아교사의 보육 실습 경험. 영유아교육연구, 10, 77-102.
  9. 류진희 (2006). 교육실습과 교육활동. 경기: 양서원.
  10. 류칠선 (1998).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실습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6, 287-310.
  11. 박수경 (2000). 유치원 교육실습생들이 실습 전후에 느끼는 불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은미 (2009).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불안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195-218.
  13. 박은혜, 조운주 (2013).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실습. 서울: 창지사.
  14. 박정운 (2001). 개념적 은유 이론. 언어와 언어학, 28, 85-107.
  15. 박지선, 이대균 (2013). 장기현장실습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양성기관과 유치원현장,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515-541.
  16. 성은영 (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특성 및 교수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37-163.
  17. 신은희 (200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안지령 (2014).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이야기: 반성적 내러티브를 통하여. 유아교육연구, 34(2), 165-184.
  19.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사교육, 20(2), 223-248.
  20. 윤희경 (2007).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실습생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 분석. 영유아교육연구, 10, 33-54.
  21. 이명순 (2000). 유치원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은희 (2001). 유치원 실습지도교사가 인식한 실습생과의 갈등.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이주헌 (2010).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편성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13, 17-32.
  24. 이진화, 유준호 (2009). 교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정서의 의미. 육아지원연구, 4(1), 47-68.
  25. 이현중 (2002).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5, 259-286.
  26. 조채영, 좌승화 (2014).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3(2), 193-213.
  27. 주영은, 이은희 (2010). 사전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35-48.
  28. 차영숙, 강민정, 유희정 (2011).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실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5(3), 369-394.
  29. 천은숙 (1995). 교육실습을 통한 교사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한은미 (2014). 유아와 유아교사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메타포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Caruso, J. (2000).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phases of development. Young Children, 55(1), 75-81.
  32.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Marshall, H. H. (1990). Metaphor as an instructional tool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 reflection. Theory into Practice, 29(2), 128-132. https://doi.org/10.1080/00405849009543443
  34. Moser, K. S. (2000).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 - 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On-line Journal], 1(2). Retrieved from: http://www.qualitative-research.net/index.php/fqs/article/view/1090/2387
  35. Narayanan, S. (1997). A computational model of metaphoric reasoning about events. Retrieved from: http://www.icsi.berkeley.edu/-snarayan/metaphor.html
  36. Rand, M. K., & Shelton-Colangelo, S. (2003). Voices of student teachers(2n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37. Ray, A., Bowman, B., & Robbins, J. (2006). Prepa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uccessfully educate all children: The contribution of four-year undergraduat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Chicago: Erikson Institute.
  38. Schnitzer, M. L. & Pedreira, M. A. (2005). A neuropsychological theory of metaphor. Language Sciences, 27(1), 31-49. https://doi.org/10.1016/j.langsci.2004.10.001
  39. Schon, D. (1993). Generative metaphor: A perspective on problem solving in social policy. In a. Ortony(Ed.), Metaphor and thought (2nd.) (pp.137-163).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Spodek. (1989). Implication theories early childhood teacher: Foundations for professionalism. In B. Spodek, D. N. Saracho & D. L. Peters(Eds.), Professionalism and early childhood practices.

Cited by

  1. 역할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은유분석 vol.18, pp.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7.18.2.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