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the Transitional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 송진영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 송진숙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5.04.15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e child's characteristics(temperament and ego-resiliency), the mother's characteristics(parenting stres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er's characteristics(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searcher surveyed 314 parents and 56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32 early childhood institutes in Daejeon.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seen below. First, the child's gender and mother's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 variance in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More boys than girls showed more problem behaviors and children of mothers who graduated university showed less problem behavior. Second,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in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Children who ha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showed less problem behavior and children who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showed more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consulting and developing program to prevent and treat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유아, 교사 및 부모의 관련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학령전환기에 있는 만 5세 유아와 그들의 부모, 그리고 만 5세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의 기질, 유아의 자아탄력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인성특성, 교사-유아관계, 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변인과 부모변인, 교사변인이 각각 그리고 상호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문제행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실천에서의 통합모델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은정 (1996).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태순 (1996). 유아의 기질과 대인관계 문제해결력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구선라 (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옥 (2002). 유아의 기질과 사회인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희, 장기숙, 한세영 (200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관리학회지, 46(5), 73-87.
  7. 김현순 (2005).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현희 (2008). 어머니가 지각하는 Parenting Daily Hassles가 육아스트레스 및 부적절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문상희, 이경님 (2012).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3), 69-89
  10. 소언주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양명숙 (198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여연승 (2003).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17(4), 53-73.
  15. 이경희 (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유아의 기질, 가정 양육환경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지희 (2008).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진숙 (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8. 이진숙 (200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23-134.
  19. 이찬숙 (2007).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환경 및 지역 사회 변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현정 (1997).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8(3), 569-592.
  22. 전경아, 이진숙 (2003). 유아의 또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659-668.
  23. 정현희, 최경순 (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4.
  24. 조상흔 (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최미나, 신나나 (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83
  26. 최영희 (1990).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하정 (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Abidin, R. R. (1990a).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9. Abidin, R. R. (1990b).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0. Barron, A. P., & Earls, F. (1984). Relation of temperament and social factors to behavior problem in 3 years old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5, 23-33.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4.tb01716.x
  31. Belsky, J. & Vondra, J. (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 In T. Luster and L. Okagaki (Ed.),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27-250). NJ: Lawrence Erlbaum.
  3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33.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d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34. Cicchetti, D. J. (1993).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eactions, reflections, projections, Developmental Review, 13, 471-503. https://doi.org/10.1006/drev.1993.1021
  35. Feil, E., Severson, H. & Walker, H. (1998). Screening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elays : The early screening project,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1(3), 252-265. https://doi.org/10.1177/105381519802100306
  36. Garbarino, J. & Vondra, J. (1987). Psychological maltreatment : Issues and perspective. Psychological maltreatment of children and youth. NY: Pergamon.
  37. Garmezy. (1993).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4, 416-430.
  38. Hwang, H. J. & St James-Roberts, I. (1998).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7), 973-979. https://doi.org/10.1111/1469-7610.00400
  39. McGuire, J. & Richman, N. (1988). The preschool behaviour checklist handbook. UK: NFER-NELSON.
  40. Mitchell (1996). Child-teacher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ProQuest-Disseration Abstracts, AAC 9621496 (George Mason University, MAI-A 57-03, 1018).
  41. O'connell-Higgins. (1983).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capacity for intimacy, qualifying paper. Ha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2. Rothbart, M. K.,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W. Damon, and N. Eins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 1-77). NY: John Wiley and Sons.
  43. Snyder, J. (1991). Discipline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stress and mood on child conduct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3, 263-276.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307
  44. Sroufe, L. A. (1983). The role of infant-caregiver attachment in development. In J. Belsky. and T Nezworski. (Ed.),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 18-3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 Bruner/Mazel.

Cited by

  1. 한국 유아용 Burks 행동평정척도(K-BBRS-2)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vol.12,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59
  2.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3, pp.3,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3.083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기질적 까다로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중재효과 vol.13,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