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Mathematical Process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 Received : 2015.05.10
  • Accepted : 2015.06.16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mathematical processes elaborat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Ten mathematical processes were extracted: (a) learning of concepts, principles, laws, and skills; (b) problem solving; (c) reasoning; (d) communication; (e) representation; (f) connections; (g) creativity; (h) character-building; (i) self-directed learning; and (j)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is study specified the meaning of such processes and their sub-domains, notic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curricul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include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xt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본 연구는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4개국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10가지의 요소 즉, 개념 원리 법칙 기능의 학습, 수학적 문제해결력, 수학적 추론 능력,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수학적 표현 능력, 수학적 연결 능력, 수학적 창의력, 수학적 인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긍정적 태도를 추출하였고, 이에 대한 교육과정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김도한, 박혜숙, 이재학, 김홍종, 백석윤, 박경미 외 (2009). 2009년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3. 김선희(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4. 김선희, 박경미, 이환철(2015).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수학교육, 54(1), 65-81.
  5. 김수진, 박지현, 김현경,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외(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11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3.
  6. 김지원, 박교식, 이정은(2014). 2011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CCSSM 비교.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79-296.
  7.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13-6-1.
  8.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9.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10.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 정창우, 최정순, 박문환 외(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7.
  11.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12. 이근호,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2013).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
  13. 이대현(2013). 중국 연변 수학 교과서의 실천과 종합응용 영역에 나타난 학습내용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319-335.
  14. 일본문부성(2008). 소학교학습지도요령. 동경: 대장성인쇄국.
  15. 장혜원, 김민선(2013). 초등 수학 수업을 위한 수학적 과정의 적용.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9-37.
  16. 조윤동, 윤용식(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
  17. 중국교육부(2011). 의무교육 수학과정표준. 북경: 북경사범대학집단.
  18.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Retrieved from http://www.corestandards.org/Math/
  19. Mullis, I. V., Martin, M. O., Ruddock, G. J., O'Sullivan, C. Y., & Preuscholl, C. (2009). TIMSS 2011 assessment framework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Chestnut Hill, MA: Boston College.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1.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22. OECD (2013).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OEC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