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dvanced Manufacturing Process of Light Interference Pearl Pigment

광 간섭 펄 안료의 신규 제조 공정 개발

  • Son, Hong Ha (LG Household & Health Care Co., Ltd./Research Institute) ;
  • Yu, Jae Won (LG Household & Health Care Co., Ltd./Research Institute) ;
  • Kim, Kyung Seob (LG Household & Health Care Co., Ltd./Research Institute)
  • 손홍하 (LG생활건강기술원 화장품연구소) ;
  • 유재원 (LG생활건강기술원 화장품연구소) ;
  • 김경섭 (LG생활건강기술원 화장품연구소)
  • Received : 2015.06.12
  • Accepted : 2015.06.2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In general, the pearlescent pigment is a pigment which was used for optical characteristics like pearl, rainbow and metallic luster. Titanium dioxide coated mica plate developed by DuPont in 1965 is currently being used as a main part of pearlescent pigment for cosmetics. Although the smooth and clear surface substrate laminated with 2 ~ 3 ingredients is thicker than a previous monolayer coated substrate, it has been applied for cosmetics as the optical interference powder to realize stronger shine and brighter interference color than monolayer on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optical interference powder with thinner and higher chroma than a current pearlescent pigment for the strong luster and bright interference color. It was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coated titanium dioxide precursor was changed and crystallized by coating and heat treatment process with a half of dividing the coated amount of titanium dioxide. We confirmed the dense coating of titanium dioxide grain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measured superior crystallization degree compared with a monolayer coated pearlescent pigment by X-ray Diffraction. It is concluded that our new pearlescent pigment had higher reflectivity of light and stronger interference color than previous products.

일반적으로 진주광택안료(pearlescent pigment)라고 하는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분체는 진주광택, 무지개 빛, 금속광택느낌을 주기 위해서 이용되는 광학적 효과를 갖는 안료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용 진주광택 안료는 1965년 듀퐁사에 의해 개발된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기판 안료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강한 광택과 선명한 간섭색상을 위하여 평활하고 깨끗한 표면의 기판(substrate)을 이용하는 경우나 기판 위에 단층이 아닌, 2 ~ 3 가지 성분을 광학적 설계에 의해 다양한 두께로 적층하여 기존의 단층 코팅 보다는 두께는 두껍지만 기존보다 우수한 광택과 채도가 높은 간섭색을 구현한 광간섭 분체도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광택과 선명한 간섭색상을 위하여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 광 반사율과 간섭현상에 의한 색상의 채도가 높은 광 간섭 분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그 방법으로서 피복되는 이산화티탄의 전구체를 변화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간섭색을 구현할 수 있는 이산화티탄의 피복량을 분할하여 코팅 및 열처리를 통해 결정화함으로써 일반적인 단층 코팅의 간섭광을 갖는 간섭펄보다 높은 광 반사율과 채도가 높은 간섭광을 나타내는 광 간섭 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개발된 광 간섭 분체는 피복된 이산화티탄 입자(grain)의 크기가 균일하고 조밀하게 피복된 것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고, XRD 측정을 통한 결정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공정으로 제조한 진주 광택안료가 일반적인 단층 코팅 간섭 펄 안료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광반사율과 간섭색상의 채도도 단층 일반적인 단층 코팅 간섭 펄 안료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U. S. Patent 2,278,907 (1942).
  2. U. S. Patent 3,087,828 (1963).
  3. U. S. Patent 3,087,829 (1963).
  4. G. Pfaff and P. Reynders, Angle-dependent optical effects deriving from submicron structures of films and pigments, Chem. Rev., 99, 1963 (1999). https://doi.org/10.1021/cr970075u
  5. G. Pfaff, Special effect pigments based on silica flakes, Inorganic Materials, 39(2), 123 (2003). https://doi.org/10.1023/A:1022138427835
  6. EU Patent 763, 573 (1995).
  7. G. B. Song, J. K. Liang, F. S. Liu, T. J. Peng, and G. H. Rao, Prepar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atase-rutile crystals in metal, Thin Solid Film, 491, 110 (2005). https://doi.org/10.1016/j.tsf.2005.05.035
  8. EU Patent 1,375,601 (2002).
  9. S. I. Seok, M. Vital, and J. A. Chang, Colloidal $TiO_2$ nanocrystals prepared from peroxotitanium complex solutions : Phase evolution from different precursors, J. Colloid. Interf. Sci., 346(1), 66 (2010). https://doi.org/10.1016/j.jcis.2010.0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