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Work-family Related Valu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Focused on Married Working Woman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5.27
  • Accepted : 2015.06.05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is article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ue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Participants were 311 married working women, who were in the thirties fif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orientation and extrinsic work value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addition that both of work-orientation and family-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facilitation, it was revealed that family-orienta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on work-orientation and work-family facilitation. Third, the varia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work-family facilitation was twice as much as on work-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value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were important factors as well as were worthy of notice when it comes to work-family facilitation.

본 연구는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가치관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0대-50대 기혼여성근로자 31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지향성과 외재적 일가치는 일-가정 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지향성과 가족지향성은 일-가정 촉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지향성은 일지향성과 일-가정 촉진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일지향적이면서 가족지향적인 가치관은 일-가정 촉진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 변인들이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을 설명하는 총 설명변량을 비교해 본 결과, 일-가정 갈등보다 일-가정 촉진을 2배 이상 더 많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 변인이 일-가정 촉진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며, 학문적 관심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I. Ajzen, Attitude, personality and behavior, Chicago: The Dorsey Press, 1989.
  2. S. H. Schwartz and W. Bilsky, "Toward a theory of the universal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Extentions and cross-cultural re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878-89,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78
  3. 김명원, 강민주, "맞벌이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8호, pp.25-35,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8.025
  4. 유계숙, "유교적 근로관과 성역할태도가 일.가족 지향성과 가족친화제도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91-108, 2010.
  5. 나은영, 차유리,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 1998, 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4호, pp.63-93, 2010.
  6. M. K. Choe, L. L. Bumpass, N. O. Tsuya, and R. R. Rindfuss, "Nontraditional family-related attitudes in Japan: Macro and micro determinant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40, No2, pp.241-271, 2014. https://doi.org/10.1111/j.1728-4457.2014.00672.x
  7. 한지숙, 유계숙,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 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5호, pp.143-166, 2007.
  8. 천혜정, 한나,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및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3권, 제4호, pp.53-72, 2009.
  9. 최유정, "기혼 남녀의 일.가족 양립 태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일고찰", 조사연구, 제14권, 제2호, pp.77-111, 2013.
  10. M. Seong, "Gender role attitudes and determinants in the early 21 century in South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27, No.2, pp.289-316, 2011.
  11. 김현동, 김명희,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여성연구, 제81권, 제2호, pp.33-67, 2011.
  12. J. Williams, Unbending gend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3. 최숙희, 강우란, 박준, 정지은, "노동관의 국제비교: 일의 보람과 관계의 만족을 중심으로", 삼성 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657호, 2008.
  14. T. M. Lodhol and M. Kejner,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49, No.1, pp.24-33, 1965. https://doi.org/10.1037/h0021692
  15. 이혜정, 다수준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6. K. W. Smola and C. D. Sutton, "Generational differences: Revisiting generational work values for the new millennium,"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3, pp.363-382, 2002. https://doi.org/10.1002/job.147
  17. A. Tolbize, Generation differences in the workplace,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on Community Living, University of Minnesota, 2008.
  18.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계문사, 1979.
  19. 김혜영, 김상돈, 박선애,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
  20.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26권, 제2호, pp.95-140, 2006.
  21. 김경신,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6권, 제10호, pp.145-160, 1998.
  22. 나은영, 민경환, "한국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4권, 제1호, pp.75-93, 1998.
  23. 박기남,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 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5권, 제2호, pp.37-71, 2009.
  24. 손영미, "학령기 아동이 있는 가족의 여가 문화 활성화: 기혼 여성근로자의 일과 삶 가치관 비교문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한국여가문화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123-129, 2014.
  25. 손영미, 박정열,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9권, 제2호, pp.161-190, 2014.
  26. 손영미, 박정열,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조직문화와 지원제도의 영향력 비교", 한국웰니스학회지, 제9권, 제4호, pp.111-124, 2014.
  27. 김주현, 문영주,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26, 2010.
  28. J. G. Grzywacz and A. B. Butler,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work-to-family facilitation: Testing a theory and distinguishing a construc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10, pp.97-109, 2005. https://doi.org/10.1037/1076-8998.10.2.97
  29. L. Wadsworth and B. Owen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AR, Vol.56, No.2, pp.75-87.
  30. 최화영, 정철영, "국내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산업교육연구, 제28호, pp.65-92, 2014.
  31. K. Byron,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7, No.2, pp.169-198, 2005.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32. 이진숙, 최원석,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 일가족양립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 호, pp.5-30, 2012.
  33. 김옥선, 김효선, "다중 역할의 상호향상 효과: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경영학 연구, 제39권, 제2호, pp.375-407, 2010.
  34. 류임량,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 전이에 대한 연령 계층별 차이 연구", 페미니즘 연구, 제9권, 제2호, pp.119-156, 2009.
  35. A. Demaris and M. A. Lonmore, "Ideology power and testing competing explanations for perception of fairness in household labor," Social Force, Vol.74, No.3, pp.1043-1071, 1996. https://doi.org/10.1093/sf/74.3.1043
  36. 강기연,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 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7. N. M. Bu and C. McKeen, "Work goals among male and female business students in Canada and China: The effects of culture and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2, No.2, pp.166-183, 2001. https://doi.org/10.1080/713769602
  38. J. G. Grzywacz and N. F. Marks,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111-126, 2000. https://doi.org/10.1037/1076-8998.5.1.111
  39. 정병석, 탁진국, "일중독성향의 선행변인과 결과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2호, pp295-317, 2009.
  40. 한주희, "보험설계사의 직무동기와 직무특성이일-가족 갈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험개발연구, 제16권, 제3호, pp.3-31, 2005.
  41. 강은주, 한주희, "일-가족 갈등의 선행변수로서 개인적 특성",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4호, pp.1937-1960, 2009.
  42. 박정열, 손영미,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8권, 제2호, pp.75-10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