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nge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on Women Entrepreneurial Intentions

창업생태계 변화가 여성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Jeon, Hyejin (Dept. of Entrepreneurship, Chung Ang University) ;
  • Park, JaeWhan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Chung-Ang University)
  • Received : 2014.09.16
  • Accepted : 2015.04.24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Korea is one of low-ranked countries i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among OECD nations because well-educated females are not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Regardless of current state of our society, opening a business is being considered as a effective method for job creation.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female business founders can lead to female job creation which promotes even growth of foundation and job creation and augments women's economic activity rat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foundation and inspires foundation factors and aims at increasing social re-participation through vitalization of business foundation by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For this study,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have attained entrepreneurial education using five- point scale by Likert and analyzed with SPSS Windows 18.0. The analysis set up 3 hypotheses with independent variables of psychological traits,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Also, I looked if there is the modify effect when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To summarize the positive analysis result, Firstly, all psychological traits,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had similar positive affects on career interrupted wom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ly, when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had similar effects as a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implies that psychological traits,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re all important for the career interrupted wom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re are so many women who are going through both profess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network's severance. Therefore, optimized entrepre neurship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help those women return to economic activity considering their psychological traits. Additionally, we should put emphasis on producing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that can positively convert others' perceptions and construct those women's personal network. There seems to be more productive information for the strategies which can induce those women's actual business foundation if the social problems of the women who have highly willing to open a business are treated in the future. Also, considering that psychological traits,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ll ha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re should be more related follow-up study on this.

창조경제의 핵심은 개개인들의 역량을 경제적 가치로 연결하는데 있다. 개인들의 경제가치 창출에 있어 여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성들은 이미 다수가 경제활동인구로 활동을 하고 있는데 반해 비경제활동인구의 여성들을 경제활동인구로 전환시켰을 때 더 큰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우수한 여성인력들이 실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사장되어 있어 여성사회참여도 여성경제활동률 등이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창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인 접근방법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근로자를 충분히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여성창업자의 증가는 여성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창업과 취업의 고른 성장을 이끌며 여성의 경제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높이는 방안을 찾는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창업, 성장, 회수, 재투자/재도전이 선순환 되는 창업생태계 중 창업자의 심리적특성과 창업지원기관의 창업교육 그리고 창업환경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창업환경이 조절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고학력자와 경력자 등의 우수인력을 다시 사회로 끌어내기 위해 연구의 대상은 정규교육과정에 있는 학생이 아닌 경력단절여성으로 한정지어 진행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심리적특성, 창업교육, 창업환경이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특성과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창업환경이 조절효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경력의 단절과 개인 네트워크의 단절이 함께 일어나게 되면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교육의 기회에서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특성, 창업교육, 창업환경 등의 창업생태계가 여성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확인하였다. 정부는 창업생태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그 중 경력단절 여성의 개인네트워크 구축이나 여성창업에 대한 주변인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창업환경 조성에 대한 노력을 보탠다면 더욱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경제활동 복귀를 돕기 위해 심리적특성을 고려하며,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는 일에 역점을 두어 경력단절여성창업활성화 및 사회 재 참여율 증가를 가져 오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정책 방안 수립을 위해 후속연구를 통해 창업생태계의 다양한 요인들을 더 살펴보고 하위 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후속 연구가 꾸준히 배출되었으면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