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slide Hazard Evalua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V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UAV 기반의 공간정보와 무한사면해석모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교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5.08.11
  • Accepted : 2015.11.27
  • Published : 2015.12.10

Abstract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rainfall patterns has triggered landslide and debris flow with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is study constructed DSM and Orthophoto by using UAV surveying technique and evaluated landslide risk area by applying GIS data into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of slope stability in a site, the slope instability has $SI{\leq}1.0$ with cover area 46,396m2, and the distribution percentage was 18.2%. The most dangerous section has $SI{\leq}0.0$ with its cover area 7,988m2, and the ratio was 0.8%. The reviews regarding the risk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by stability index and river channel analysis respectively help being able to designate the hazard zone due to heavy rainfall.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will need to reinforce soil slope and plan their safety measures in the future.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AV 측량기술을 활용하여 산사태 평가에 필요한 DSM과 정사영상을 신속하게 구축하였으며, 이를 무한사면해석모형에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산사태 위험도 구간인 $SI{\leq}1.0$에서의 분포면적이 $46,396m^2$로 분석되었으며 분포비율로는 전체지역의 18.2%로 나타났다. 특히 산사태 발생이 매우 심각하여 사면보강 대책을 시급히 시행해야 되는 구간인 $SI{\leq}0.0$의 면적은 $7,988m^2$로서 전체지역의 0.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면안정지수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와 물골분석에 의한 토석류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집중호우 시 산사태에 따른 토석류 위험지역을 선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은 향후 사면보강이나 주민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구(2014), 무인비행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정보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 김성삼(2007), 무인헬기기반 영상정보취득체계에 의한 홍수재해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소방방재청(2012), 집중호우를 고려한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정밀평가기법 및 지반재해위험지도 개발,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보고서 (NEMA-자연-2012-58).
  4. 송병웅.길기오.김범석.김운형(2012), 광역지역에서 토석류 위험도 평가를 위한 무한사면 설계인자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19-224.
  5. 송병웅.윤현석.김성문(2013), 토석류 발생량 평가를 위한 현장시험 방법,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4권, 제7호, pp.31-38.
  6. 오경두.강병화.이창희.박선희.황신범(2012), SINMAP을 이용한 우면산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918-1921.
  7. 유환희.박장환.심재현.김성삼(2006), 저고도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지도 제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7-47.
  8. 장현익.김경석.이상돈.유병옥(2008), 영동 고속도로 토석류의 SINMAP 해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972-2975.
  9. 정남수.유광호.박혁진(2011),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과 SINMAP 모델을 이용한 보은지역의 사면재해 안정성분석,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35-240.
  10. 정성혁.임형민.이재기(2010), 무인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3D 공간정보 취득, 한국측량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61-168.
  11. 차아름(2014), 지형특성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편단을 위한 비교,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5권, 제6호, pp.67-73.
  12. 최경아.이임평(2009), UAV기반 저가 멀티센서 시스템을 위한 무기준점 AT를 이용한 영상의 Georeferencing, 한국측량학회지, 제27권, 제2호, pp.249-260.
  13. 최경아.이지훈.이임평(2011),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1-31.
  14. Jordan, C.(2011), Combined Hydrology and Slope Stability Assessment of the Olympic Region of Washington State, Master Thesi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p.15-30.
  15. Kang-tsung Chang, Shou-hao Chiang, Yi-chin Chen, Alessandro C. Mondini(2014), Modeling the spatial occurrence of shallow landslides triggered by typoons, Geomorphology, Vol.208, pp.137-148. https://doi.org/10.1016/j.geomorph.2013.11.020
  16. Michael Fuchs, Jewgenij Torizin, Friedrich Kuhn(2014), The effect of DEM resolution on the computation of the factor of safety using an infinite slope model, Geomorphology, Vol.224, pp16-26. https://doi.org/10.1016/j.geomorph.2014.07.015
  17. Pack, R.T., Tarboton, D.G., Goodwin, C.N(1998), The SINMAP ap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the 8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18. Pack, R.T., Tarboton, D.G., Goodwin, C.N., Prasad, A.(2005), SINMAP User's Manual, Utah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