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on Spatial Recognition through Poet in Soswaewon Garden

시문을 통해 본 소쇄원의 공간인식에 관한 기초연구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5.07.27
  • Accepted : 2015.09.1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d spatial recognition in Soswaewon Garden through garden visitors poetry. It was content analysis in poetry and extract frequency from words based on relationship of auth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hip of authors who wrote Soswaewon Garden poetry was formed in companionship. In the Yang, San-Bo(梁山甫), poetry was written by Song, Soon(宋純), Kim, Un-Geo(金彦据) and Kim, In-Hu(金麟厚) as the central figure. Especially Kim, In-Hu w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oswaewon Garden poetry. He was wrote many of poetry and keep friends with Yang, Ja-Jeong(梁子渟) too. In the Yang, Ja-Jung, relationship of previous generation was sustained. In addition, Ko, Gyeong-Myeong(高敬命) and Kim, Seong-Won and Jeong, Chul(鄭澈) is more closely related than others. Because blood relationship by marriage. In the Yang, Jin-Tae(梁晋泰), He formed a relationship with a celebrity and attend to international activity. Since then Yang, Jin-Tae periord, Yang, Gyeong-Ji(梁敬之) and Yang, Chae-Ji(梁采之) formed relationship of previous generation was sustained. And surrounding people was written poetry as hold a banquet. Second, plant and ornament is a popular object for writing poetry. Bamboo grove and Fine tree with a high frequency of plant element in poetry. Bamboo grove is a typical species of trees in Soswaewon Garden. It was enclosed the Soswaewon Garden. Fine tree was often used target of poetry as a single tree. Meanwhile, ornament of the wall has been used most frequently. Descendants wrote a poem to see it because Kim, In-Hu's poetry was left. This phenomenon is involves respect for the ancient sages with high frequency. In addition, behavior of viewing the landscape was mainly appeared. Third, spatial recognition of Soswaewon Garden can be divided into landscape cognition,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al cognition. In a aspect of landscape cognition, early Soswaewon Garden was recognized as a pavilion. That was used garden name to 'Soswaewon Garden' since Yang, Ja-Jung's period. That is to say, Soswaewon Garden expanded from pavilion area surrounded by trees into the whole appearance is equipped garden area. Behavior cognition was consisting drink and enjoys a landscape. In the Yang, San-Bo, authors enjoyed drinking and viewing a landscape besides walking, writing poetry, viewing the moon. But after Yang, San-Bo's period other than drinking and enjoy a landscape has appeared a low frequency. These results were changed from internal place to blood relationship into external place to companionship. In the Yang, San-Bo's emotional cognition was sorrow and yearning about leave to Soswaewon Garden with an idly atmosphere. Pleasant emotion was sustained all generation. And emotion of respect for the ancient sages was appeared since Yang, Cheon-un.

본 연구는 소쇄원과 관련하여 시문을 남겼던 인물들의 공간 인식을 살펴보고자 소쇄원 관련 시문의 수집과 작자의 교유관계 분석을 기반으로 시문 속 단어의 빈도추출과 내용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쇄원 관련 시문을 저작한 인물들의 관계성은 원림의 소유주와의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양산보 대에는 송순과 김언거, 김인후 등 인척관계를 중심으로 그들과 교유한 인물들이 소쇄원에서 시문을 남겼다. 특히 김인후는 총 10편의 시문을 남겼으며, 양자정과도 교유하는 등 소쇄원 관련 시문에 주도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양자정 대에는 임억령, 김성원 등 선대의 교유인물들이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양진태 대에는 송시열, 김수항 등 당시 문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명인사와의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적극적인 대외활동에 힘썼다. 이후 양경지, 양채지를 중심으로 교유관계가 나타나는데 조경망, 조정만과 김창흡 등 선대에 형성된 관계가 후손들에게도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모임을 개최함에 따라 주변 문인들이 소쇄원에서 시문을 저작하였다. 둘째, 소쇄원 관련 시문을 대상과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시문에서 주로 언급되는 관심의 대상은 수목과 점경물을 들 수 있다. 수목의 경우 왕대와 소나무가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데 왕대는 소쇄원도나 현존식생에서도 소쇄원을 둘러싸고 있는 대표적 수종으로 나타났으며 소나무는 단목으로서 주요 시문의 대상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점경물 중 시문에 주로 이용된 담장은 김인후의 시문이 남겨져 있어 후손들이 이를 바라보며 다수의 시문을 저작하는 등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으나 현재는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소쇄원에서의 행위로는 원림 내 공간구성요소 각각의 대상을 개별경관으로 감상하는 사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감회와 관련한 내용으로는 과거 선현에 대한 존숭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는 김인후의 시가 남겨진 담장을 시문으로 읊는 양상과 관련지을 수 있다. 셋째, 소쇄원 관련 인물관계와 시문의 교차분석 결과 소쇄원에 대한 공간 인식의 양상은 경관 인식, 행위와 관련된 인식, 정서와 관련된 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쇄원에서의 경관인식은 양산보 대에 수목 중심의 장면이 주로 묘사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소쇄원 조영 초기의 모습은 수목에 위요된 정자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양자정 대부터 소쇄원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당시 소쇄원을 방문한 이들이 단순한 정자위주의 공간에 전체적인 모습이 갖추어진 원림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행위와 관련된 인식의 경우 소쇄원의 경관을 감상하고 술을 마시는 행위가 주를 이루고 있다. 양산보 대에는 작시, 소요, 망월 등의 행위가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나 양자정 대 이후에는 소쇄원에서 술을 마시며 원림을 감상하는 행위 외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혈연관계의 내향적 향유행위가 소쇄원을 찾는 이가 다수로 확장됨에 따라 향유행태의 성격이 외향적으로 변화되면서 단편화 되었다. 정서와 관련된 인식으로는 양산보 대 소쇄원을 떠나는 아쉬움과 그리움이 주로 확인되었으며, 소쇄원에서 느끼는 분위기는 대체로 한가롭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양자정 대에는 소쇄원에서의 즐거웠던 시간을 그리워하는 시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양천운 대에는 소쇄원에서의 즐거운 감정, 선대에 대한 존경 등이 수반되고 있다. 양진태와 양택지 대, 양경지와 양채지 대에는 선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는 시문이 특징적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an, J. S.(1985). Study on the aesthetic system of Architectural space, represented in artistic space, so se w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4): 16-21.
  2. Kwon, S. Y.(2008). A Study on The History And Humanities activities Of Soswaewon. Doctorate thesi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 Kim, D. H.(2000). Study of Bang-Am Yang Kyungji's Soshaewon thirty poems. Literary Korea Society. 45(-): 31-48.
  4. Jeong, D. O.(1973). On the Soswe Won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 27-33.
  5. Kim, H.(1993).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etreating Villa Sosewon Garden through a Woodcut of Sosewon Garden and the analysis of the Kim, In Hu's 48 Poem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1(-): 11-19.
  6. Cheon, D. Y. and Han, S. H.(1994). The Elements of Soshaewon from the View of 'Pictorial Map of Soshaewon' and 'Forty-eight Poem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3(2): 67-90.
  7. Park, I. S.(2000).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of SO-SHAE-WON. Journal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8(-): 1-9.
  8. So, H. S.(201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ochaewon Landscape Garden Featuring Borrowed Scenery -Focusing on the Soshaewon Sisun and the Thirty Poems of Soshaew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 Jeong, D. O.(1977). Gardening Plants in Soswaewon.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9(-): 135-155.
  10. You, J. E.(1999). Analysis of Gardening Plants in Soswaewon. Journal of the Myungji natural science. 18(-): 70-82.
  11. Joo, M. K.(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lue Recognition of Tourism Resources and the Satisfaction. Kyonggi University. master thesis.
  12. Yang, J. I. and Lee, T. H.(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 experience on the awareness of the Brand value and Love Marks for Tourism Destina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5(6): 59-78.
  13. Nam, S. K.(1999). Impulsive Purchasing Behavior and Personal Valu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2(1): 1-11.
  14. Shin, E. J.(2011). Conception Structure of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The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Cognition, Benefits and Attribut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thesis.
  15. Hwang, B. H.(2015). Effect on a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 Value Recognition toward Traditional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thesis.
  16. Park, J. W.(2008). A study for the properties of Korean pavilion(樓亭) and "pavilion poems(樓亭題詠)" in 16th century.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32(-): 255-284.
  17. Hwang, M. S.(2011). A study of Pungyoungjeong rhyme-borrowing poems.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28(-): 203-240.
  18. Jeff Malpas(2014). Place and Experience. ECO-LIVRES Publishing; Seoul, Korea.
  19. Kim, D. J.(2007). Soswaewon People. Sunin publishing; Seoul, Korea.
  20. Kim, D. J.(2011). Soswaewon People 2. Snl Factory; Seoul, Korea.
  21. The compilation committee for Soswaewonsisun(1995). Soswaewonsisun. Gwangmyeong publishing: Gwangju, Korea.
  22. Naver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http://hanj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