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ion of Multicultural Concepts in Bestselling Children's Picture Books

베스트셀러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 김미애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윤재희 (영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05.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Ninety-eight bestselling children's picture books from 2008 to 2014 were analyz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riteri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d Culture, Diversity, Identity, Equity, Anti-bias, and Cooperation that were drawn from Kim & Park (2011). An examination of the books revealed that they contained concepts of Cooperation, Identity, Culture, and Diversity in their orders of frequency while ideas of Equity and Anti-bias were barely depicte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translated books were found. Translated picture books reflected Diversity more frequently than domestic ones. Under a criterion of Culture, Recogniz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as more frequently portrayed in translated books while Respecting for Cultures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domestic ones.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bestselling picture books' limitations of dealing with critical multicultural issues, domestic picture books' lack of reflection of changing multicultural realities, fantasy picture books'dealing with critical multicultural issues through metaphors, and possible problems of the books conveying biased or confusing messages. It was suggested that an adult's role is essential when the bestselling literature is used for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deliberate guidance can help young children engaged in critical issues of race, gender, and ability and develop their multicultural sensitivities through literature.

본 연구의 목적은 2008~2014년 사이 국내 베스트셀러 그림책 98권의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화, 다양성, 정체성, 평등, 반편견, 공동체적 협력 등 6가지 범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은 협력, 정체성, 문화 및 다양성의 순이었으며 반편견과 평등 등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둘째, 국내작가 그림책보다 국외작가 그림책에서 다양성 내용이 많이 다루어졌다. 문화 관련 내용 중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는 국외작가의 그림책에서 문화에 대한 존중심 갖기는 국내작가의 그림책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환상동화와 생활동화가 6가지 범주의 다문화교육내용을 고르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책들이 편중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다루고, 비판적이며 현실적인 주제를 다루지 못하고, 주류의 관점을 반영하며, 모호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환상적 요소를 통한 은유적인 다문화개념을 내포한다고 논의했다. 또한 본 연구는 베스트셀러 그림책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성인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미, 현은자, 권영희, 이신애 (2014).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5-44.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권영희 (2012). 국내 가족 그림책에 부수적 인물로 나타난 노인 인물 분석. 한국사회학회 후기 사회학대회 자료집, 949-965.
  4. 김민정 (2003). 유아의 연령 및 선호하는 동화 장르에 따른 소망에 대한 믿음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민정, 현은자, 정지영 (2014).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141-163.
  6. 김민진 (2013).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79-107.
  7. 김선옥, 윤정빈, 지은주, 유승희 (2006).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그림책 선호 경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291-318.
  8.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9.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아 환경동화에 나타난 환경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97-326.
  10. 김시내 (2003). 권장도서의 선정현황과 특성분석: 유아도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영옥, 서현, 박형신, 정상녀, 윤경선, 박미나, 이나영 (2011). 유아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2. 김정원, 남규, 이정아 (2010).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고양: 공동체.
  13. 김정화, 김봉선, 강은진 (2009). 그림책에 나타난 장애인물 분석: 장애인물의 역량과 사회적 태도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18(4), 99-115.
  14. 김주희 (1998).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지선 (2008). 다문화도서를 통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나은숙, 김세희 (2003). 어린이 문학교육을 위한 패러디그림책의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4(2), 99-116.
  17. 대한출판문화협회 (2015). 2014년도 출판 현황. http://www.kpa21.or.kr/(출력일 2015년 6월 27일).
  18. 문명희 (2014).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4), 157-180.
  19. 민경록 (2008). 포스트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패러디 그림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자료집, pp. 89-110.
  20. 서정숙, 정진 (2007).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특성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8(2), 21-43.
  21. 선안나 (2010). 지난 10여년간 동화, 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문제. 아동청소년 문학연구, 6, 7-32.
  22. 신세니, 조희숙 (2009a).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연구, 29(5), 287-314.
  23. 신세니, 조희숙 (2009b). 비전통적 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 분석: 주제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8(3), 51-75.
  24. 유순이, 구태미, 윤재희 (2014).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소개된 동화에 표현된 젠더에 관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3), 453-475.
  25. 유향선 (2013). 그림책과 영상매체를 활용한 다문화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인종편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137-164.
  26. 윤갑정, 지은주, 이혜은 (2009). 다문화 그램책에 대한 내용분석 및 유아반응: 국내 다문화가정을 반영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45-72.
  27. 이계녀, 김용미 (2010).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3), 159-174.
  28. 이대균, 백경순, 송정원, 이현정 (2013).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고양.
  29. 정대련 (2005).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그림책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1), 23-44.
  30. 정상녀, 이현경, 민순옥, 홍현이 (2007).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타인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pp. 704-705.
  31. 정지현, 박선미 (2009).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른 그림책 분석: 인종과 타문화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8(1), 91-118.
  32.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33. 현은자, 박성연 (2003).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2), 101-124.
  34. 현은자, 장혜미 (201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 등장인물 분석. 유아교육연구, 31(2), 189-206.
  35. 황순선 (2012). 레오리오니 우화그림책에 나타난 예술적 창의성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30, 27-36.
  36. Baker-Sperry, L., & Grauersholz, L. (2013). The pervasiveness and persistence of the feminine beauty ideal in children's fairy tales. Gender & Society, 15(5), 711-726.
  37. Bishop, R. S. (1997). Selecting literature for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V. J. Harris (Eds.), Using multiethnic literature in the K-8 classroom (pp.1-20). Norwood, MA: Christopher-Gordon.
  38. Boutte, G. S., Hopkins, R., & Waklatsi, T. (2008). Perspectives, voices, and worldviews in frequently read children's book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6), 941-962. https://doi.org/10.1080/10409280802206643
  39. Campbell, S. (2010). Windows and mirrors: A case for more multi cultural children's books on Illinois children's choice award lists. Illinois Reading Council Journal, 38(4), 33-38.
  40. Crisp, T., & Hiller, B. (2011). "Is this a boy or a girl?": Rethinking sex-role representation in Caldecott medal-winning picturebooks, 1938-2011.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2, 196-212. https://doi.org/10.1007/s10583-011-9128-1
  41. Derman-Sparks, L., & Edwards, J. O. (2010).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ourselve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2. Dewitt, A. L., Cready, C. M., & Seward, R. (2013). Parental role portrayals in twentieth century children's picture books: More egalitarian or ongoing stereotyping? Sex Roles, 69 , 89-106. https://doi.org/10.1007/s11199-013-0285-0
  43. Mccabe, J., Fairchild, E., Grauerholz, L., Prescosolido, B. A., & Tope, D. (2011). Gender in twentieth-century children's books: Patterns of disparity in titles and central characters. Gender & Society, 25(2), 197-226. https://doi.org/10.1177/0891243211398358
  44. Mendoza, J., & Reese, D. (2001). Examin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Possibilities and pitfall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3(2). Retrieved from http://ecrp.uiuc.edu/v3n2/mendoza.html.
  45. Morgan, H. (2009). Picture book biographies for young children; A way to teacher multiple perspectiv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7, 219-227. https://doi.org/10.1007/s10643-009-0339-7
  46. Nodelman, P. (2005). The pleasure of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김서정 옮김). 서울: 시공주니어(원판 1996).
  47. O'Neil, K. (2010). Once upon today: Teaching for social justice with postmodern picturebooks.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1, 40-51. https://doi.org/10.1007/s10583-009-9097-9
  48. Roper, E., A., & Cliftobn, A. M. (2013). The representation of physically active girls in children's picture books. Research Quarterly for Excercise and Sports, 84, 147-156. https://doi.org/10.1080/02701367.2013.784844
  49. Singer, A. E. (2011). A novel approach: The sociology of literature, children's books, and social in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 10(4), 307-302. https://doi.org/10.1177/160940691101000401
  50. Sipe, L., & Pantaleo, S. (2010). 포스트모던 그림책 (조희숙 역). 파주: 교문사. (원저 2008출간)
  51. Smith-D'Arezzo, W. M. (2003). Diversity in children's literature: Not just a black and white issue.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4(1), 75-94. https://doi.org/10.1023/A:1022511917336
  52. Yoo-Lee, E., Fowler, L., Adkins, D., Kim, K., & Davis, H. N. (2014). Evaluating cultural authenticity in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 collaborative analysis for diversity education. Library Quarterly: Information, Community, Policy, 84(2), 324-347. https://doi.org/10.1086/676490
  53. Yoon, B., Simpson, A., & Haag, C. (2010). Assimilation ideology: Critically examining underlying messages in multicultural literature.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54(2), 109-118. https://doi.org/10.1598/JAAL.54.2.3
  54. Weitzman, L. J., Eifler, D., Hokada, E., & Ross, G. (1972). Sex-role socialization in picture books for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7(6), 1125-1150. https://doi.org/10.1086/225261

Cited by

  1.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식사 및 식생활 교육 내용 분석 vol.26, pp.1, 2015, https://doi.org/10.17495/easdl.2016.2.26.1.11